구글과 네이버 웹 마케팅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 인터넷 정보검색 사이트의 현황

Ⅱ. 본론
1. 구글과 네이버의 사업모델 비교 분석
2. 포털 및 인터넷 기반의 사업환경 분석
3. 구글 및 네이버의 강약점
4. 기업서비스의 목표와 관점과 그의 반영

Ⅲ. 결론
1. 구글의 국내 진출 전략과 네이버의 대응방안

본문내용

하는 경우를 자주 겪으며 사용자는 짜증을 낸다. 사용자들이 싫어하는 투명 플래시 광고를 집행하는 이유 역시 사용자보다는 광고주와 회사 이익을 더 생각하기 때문이다. 결국 사용자들의 많은 비난을 듣고 첫 화면의 전면플래시광고를 철수시켰다. 하지만 아직도 뉴스 홈을 비롯한 하위 차림표에는 투명 플래시 광고가 집행되고 있다. 말로는 모두가 사용자 중심을 외치지만 이를 실천으로 옮기는 기업은 많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다.
< 초창기 구글 첫 화면(왼쪽)과 더 시원해진 2006년의 구글 첫화면(오른쪽) 여전히 검색창만 있다 >
< 초창기 네이버 첫 화면(왼쪽)에 비해 2006년의 네이버 첫 화면(오른쪽)은 많이 복잡해졌다 >
Ⅲ. 결론
1. 구글의 국내 진출 전략과 네이버의 대응방안
곧 국내진출을 앞두고 있는 구글은 세계적인 검색사이트인 야후나 msn의 한국 진출 실패사례를 본보기 삼아 단순히 자사의 방식을 국내 네티즌들이 받아들이기를 강요하기보다는 막대한 기술력과 자본력, 정보제공 능력을 기본으로 해서 국내 유저들의 입맛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지화 전략을 시행해야 한다고 본다. 한국에서의 성공을 위해서 네이버가 이미 사용자들에게 익숙하게 만들어 둔 한국형검색을 따라갈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변신은 구글의 기본적인 경영철학을 배신하는 결과를 낳게 되기 때문에 구글의 근본적인 변신은 쉽지 않다. 하지만 단기적인 안목으로 당장 네이버와 비슷한 포털체제를 갖추어서 경쟁하기 보다는 인수합병이나 전략적 제휴를 통한 국내진출을 추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것 이라 생각한다. 구글은 한국의 초고속인터넷 보급율이 미국보다 2배정도 앞서고 있고, 언어의 특수성이 검색엔진의 운영에 차이를 만드는 점 그리고 지역, 문화, 생활권에서 다양하게 분화된 미국과 단일적 성향이 강한 한국의 특성 등에 대해 정확히 인식해야한다. 국내 안정적인 점유율을 확보한 사이트를 인수하여 여기에 구글의 뛰어난 검색기능을 강화하여 사업을 진행 해 나갈 수 있다. 또는 기업고객과 키워드검색의 사용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미 구글은 개인고객뿐 아니라 기업고객을 상대로 하여 구글의 검색엔진을 대여 해 주는 방식의 영업을 진행 해 왔다. 실제 미국에의 Cisco system, Sony, WashingtonPost.com, P&G등을 포함한 130여개 업체와 정부기관에서 구글의 검색기능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터넷쇼핑몰이나 국내기업들과의 검색기능사용 계약을 맺고 이를 운영하여 국내에 안정적인 수익원을 두는 전략을 펼 수 있다. 또한 구글은 국내 포털업체들이 제공하는 다양한서비스를 기술력에 기반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위성사진을 보여주는 Google Earth, PC내 멀티미디어 이미지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Picasa 등은 이미 한글화되어 선보였다. 그밖에도 블로그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Blogger와 지역 정보를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Local for mobile, 피씨 환경 관리를 위한 Google Desktop 서비스 등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들의 인터넷 환경 연동이 추가된다면 한국적 특성인 고객에 의한 업데이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구글만의 장점을 지닌 부가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글의 한국 진출이 네이버에게 어느 정도의 위협요인이 될지는 지켜 볼 문제이다. 하지만 구글의 막강한 기술력과 자본력에 대항하여 네이버가 현재의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문제점들을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구글이 한국에 진출 한 후 한국형 검색DB를 개발한다고 해도 검색광고 영업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경쟁력인 검색의질을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자연어 검색과 지식검색은 그 개념이 다르며 DB확보에 있어 선점업체인 네이버를 따라가기까지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네이버는 이 사이에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하기보다는 고객과의 신뢰관계를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 인터넷사이트의 큰 특징은 유저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선호이다. 이러한 문화를 선도해 온 네이버는 향후 지식in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신뢰성을 높이고 이 부분에 있어 타 경쟁업체들에 비해 독창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네이버가 구글과 비교해 가장 약한 부분은 DB의 양적인 문제이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엠파스가 제안한 것과 같은 열린 검색 시스템을 도입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의 소비자들이 네이버의 정보수준에 만족하고 있을지라도 구글의 방대한 정보량을 경험한 후에는 네이버의 정보량이 미약하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분은 엠파스와 같이 국내 정보 업체들간 DB의 공유를 통해 더 큰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기적으로 볼 때 현재의 폐쇄적인 정보검색 형태가 높은 시장점유율을 확보한 네이버에게는 유리할 수 있지만 구글과의 경쟁을 대비하기 위해서 더 많은 DB의 확보도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검색 서비스의 발전 형태와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앞으로 네이버와 구글은 그 모습이 닮아갈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메일과 쇼핑, 블로그 등은 현재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고 여기에 구글은 최근 적극적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모으는 비즈니스에 뛰어들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구글 베이스이다. 이는 인터넷사용자들의 광범위한 개인 아이템정보를 구글이 유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무료로 연결해주는 것으로 일종의 오픈소스 서비스이다. 즉 개인들이 자신의 블로그에 다양한 정보를 올릴 경우 이러한 정보들은 구글 베이스를 통해 무료 검색과 연결이 가능해진다. 이는 현재네이버에서도 실시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구글과 네이버는 오프라인 도서를 온라인에 서비스하는 구글 프린트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시행하고 있고 네이버측도 최근 도서본문 검색 서비스를 시작했다. 네이버는 또한 데스크톱 검색 서비스인 내PC검색을 출시하고 데스크톱 검색시장에 진출하여 이미 구글이 실시한 서비스에 도전장을 내민 상황이어서 두 업체의 경쟁은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4.1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8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