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aration and Concentration Determination of Plasmid DNA from E. coli - Mini Scale Preparation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reparation and Concentration Determination of Plasmid DNA from E. coli - Mini Scale Preparati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날짜

3. 제출자 및 공동실험자

4. 실험목적

5. 실험원리

6. 시약 및 기자재

7. 실험방법

8. 결과

9. 고찰

10. 참고문헌

11. Further study

본문내용

ry시킨다.
ⅹ) Pellet을 TE(pH 8.0) with RNase(final 20μg/ml) 50μl에 녹인 후 37℃에서 30분간 incubation한 후 -20℃에 보관한다.
☞ 분리된 DNA의 정량
ⅰ) UV spectrophotometer를 10분 정도 미리 켜두어 발생되는 자외선을 안정화 시킨다.
ⅱ) 실험에서 얻은 DNA 용액을 100배 희석하여 0.1ml를 준비한다.
ⅲ) 희석한 DNA 용액을 수정 cuvette에 옮기고 260nm에서의 흡광도 및 280nm에서의 흡광도를 각각 측정한다. 260nm에서의 흡광도 값이 0.01-0.1 사이면 적당하다.
ⅳ) OD 값으로부터 DNA 농도를 계산한다.
* 260nm에서 double strand DNA의 농도는 OD260 값이 1.0일 때 50μg/ml이므로 DNA 농도는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DNA 농도 (μg/ml) = 측정된 A260값×50×희석배수
ⅰ) 측정된 260nm 및 280nm에서의 흡광도의 ratio로부터 분리된 DNA의 농도를 추정한다.
ⅱ) A260/A280이 1.8-2.0인 경우 순도가 높은 DNA로 볼 수 있다.
8. 결과
260nm(A260)에서의 흡광도 → 0.524
280nm(A280)에서의 흡광도 → 0.268
A260/A280 ratio → 1.958
DNA 농도 (μg/ml) = 0.524×50×100 = 2620
9. 참고문헌
ⅰ) 한국생화학회 (1999) 실험생화학, 탐구당, 서울
ⅱ) 생화학실험(1) 후반기 print (2004)
ⅲ) Biochemistry, Stryer 외, Freeman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4.2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