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안경사 제도의 도입과 그 배경
Ⅱ.미국의 안경사 제도
Ⅲ.호주의 검안사 교육제도
Ⅳ.일본의 안경사 제도
Ⅴ.중 국
Ⅵ.해외 안경관련학교
1)미국
2)영국
3)일본
Ⅱ.미국의 안경사 제도
Ⅲ.호주의 검안사 교육제도
Ⅳ.일본의 안경사 제도
Ⅴ.중 국
Ⅵ.해외 안경관련학교
1)미국
2)영국
3)일본
본문내용
등록이 안 되고 개인적으로 안경을 취급하는 안경원이 있으나, 일본인들은 각 협회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교육을 이수한 안경사에게 발급되는 인정안경원을 신뢰, 선호하고 있다.
Ⅴ. 국
중국에는 현재 약 20만명 정도가 안경원에서 일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 나라 의 경우처럼 국가면허 시험을 통해 안경사면허를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각 성(우리의 도나 직할시개념)에 개설된 안경학원이나 안경전문학교에서 짧게는 3개월 정도의 교육을 끝마치고 안경원에 취업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우리와 같은 전문교육을 이수한 안경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고 한다. 과거의 우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배안경사가 종사자를 두어 기술을 가르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보면 된다. 중국 내에서도 우려를 하고 있는 것은 정확한 이론과 기술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주먹구구식 교육에 대한 우려이다. 이러한 우려와 기술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몇몇 대학에서 안경광학과가 개설되어 운영 중에 있으나, 이는 극히 적은 인원에 불과하다고 한다. 안경 관련 전문교육기관은 1985년에 천진직업대학에 시광학 전업학교가 생긴 것을 필두로, 은주 학습소, 천진의과 대학, 광주중산의과 대학 등에서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있지만 매년 정규 교육을 받는 졸업생은 본과 2백명 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로 인해 중국 전역에 퍼져 있는 3만 여개 안경원에는 전문적인 안경사인력이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Ⅵ.해외 안경관련학교
1)미국
검안학 교육기관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검안사의 경우 대학원과정으로 의료과정을 2년 내지 4년을 수료한 후 진학할 수 있다.
알라바마대학교 검안대학 - 1969년 개교한 대학으로 대학내 병원에서 임상실습을 행하고 있다.
비클리대학교 검안대학 - 1923년 검안교육이 시작되었다. 검안대학은 버클리대학교의 교정에 있으며 각종 실험실, 부속 건물이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다.
뉴잉글랜드검안대학 - 1894년 세워진 검안대학으로 최고의 역사를 자랑한다. 이들은 검안환자의 일반적인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검안사를 양성하는 교육목표를 갖고 있다.
이들을 포함하여 미국내에는 검안대학이 15개 대학이 있다. 이와 함께 미국에는 안경조제만을 교육하는 교육기관(Opticianry School)이 매우 많이 있다. 전국에 걸쳐 교육기관이 산재하고 있다.
2)영국
영국의 경우도 많은 대학에서 안경광학에 대한 학과를 개설하고 있다. 런던시립대학, 웨일즈대학교, 런던전문대학 등 많은 대학에서 안경광학과를 개설하여 전문적인 안광학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런던시립대학교 - 검안, 시광학과를 개설하여 4년간의 교육을 행하고 있다.
런던전문대학 - 안경조제과를 설치하여 전문안경조제사를 양성하고 있다.
글라스고우 기술전문대학 - 검안교육 뿐만 아니라 안경조제를 위한 과정도 개설되어 있다.
3)일본
일본의 경우 전문학교가 다수 개설되어 있어 안경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학교나 학과에 따라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시력검사나 안경, 콘택트렌즈의 판매, 제작, 조정시 과학적인 지식을 갖고 컨설팅해주는 안경기술자, 안경테나 소재, 디자인, 컬러 등의 이미지에 맞게 선택해주는 패션조언자, 콘택트렌즈착용, 관리요령이나 착용지도를 지도해주는 콘택트렌즈 인스트럭터 등 세분화된 직종으로 진출하는 추세이다.
동경 옵토메트릭 칼리지 - 국제기준에 맞는 고도의 안경기술자를 육성할 목적으로 일본안경전문학교와 와세다안경전문학교가 통합하여 세운 학교이다. 2년제 통신교육과정과 3년제 전문기술 마스터과정이 있다.
기구찌안경전문학교 - 일본 내 유일의 4년제 안경교육기관이다. 국제기준에 맞춘 교육을 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Ⅴ. 국
중국에는 현재 약 20만명 정도가 안경원에서 일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 나라 의 경우처럼 국가면허 시험을 통해 안경사면허를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각 성(우리의 도나 직할시개념)에 개설된 안경학원이나 안경전문학교에서 짧게는 3개월 정도의 교육을 끝마치고 안경원에 취업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우리와 같은 전문교육을 이수한 안경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고 한다. 과거의 우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배안경사가 종사자를 두어 기술을 가르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보면 된다. 중국 내에서도 우려를 하고 있는 것은 정확한 이론과 기술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주먹구구식 교육에 대한 우려이다. 이러한 우려와 기술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몇몇 대학에서 안경광학과가 개설되어 운영 중에 있으나, 이는 극히 적은 인원에 불과하다고 한다. 안경 관련 전문교육기관은 1985년에 천진직업대학에 시광학 전업학교가 생긴 것을 필두로, 은주 학습소, 천진의과 대학, 광주중산의과 대학 등에서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있지만 매년 정규 교육을 받는 졸업생은 본과 2백명 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로 인해 중국 전역에 퍼져 있는 3만 여개 안경원에는 전문적인 안경사인력이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Ⅵ.해외 안경관련학교
1)미국
검안학 교육기관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검안사의 경우 대학원과정으로 의료과정을 2년 내지 4년을 수료한 후 진학할 수 있다.
알라바마대학교 검안대학 - 1969년 개교한 대학으로 대학내 병원에서 임상실습을 행하고 있다.
비클리대학교 검안대학 - 1923년 검안교육이 시작되었다. 검안대학은 버클리대학교의 교정에 있으며 각종 실험실, 부속 건물이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다.
뉴잉글랜드검안대학 - 1894년 세워진 검안대학으로 최고의 역사를 자랑한다. 이들은 검안환자의 일반적인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검안사를 양성하는 교육목표를 갖고 있다.
이들을 포함하여 미국내에는 검안대학이 15개 대학이 있다. 이와 함께 미국에는 안경조제만을 교육하는 교육기관(Opticianry School)이 매우 많이 있다. 전국에 걸쳐 교육기관이 산재하고 있다.
2)영국
영국의 경우도 많은 대학에서 안경광학에 대한 학과를 개설하고 있다. 런던시립대학, 웨일즈대학교, 런던전문대학 등 많은 대학에서 안경광학과를 개설하여 전문적인 안광학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런던시립대학교 - 검안, 시광학과를 개설하여 4년간의 교육을 행하고 있다.
런던전문대학 - 안경조제과를 설치하여 전문안경조제사를 양성하고 있다.
글라스고우 기술전문대학 - 검안교육 뿐만 아니라 안경조제를 위한 과정도 개설되어 있다.
3)일본
일본의 경우 전문학교가 다수 개설되어 있어 안경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학교나 학과에 따라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시력검사나 안경, 콘택트렌즈의 판매, 제작, 조정시 과학적인 지식을 갖고 컨설팅해주는 안경기술자, 안경테나 소재, 디자인, 컬러 등의 이미지에 맞게 선택해주는 패션조언자, 콘택트렌즈착용, 관리요령이나 착용지도를 지도해주는 콘택트렌즈 인스트럭터 등 세분화된 직종으로 진출하는 추세이다.
동경 옵토메트릭 칼리지 - 국제기준에 맞는 고도의 안경기술자를 육성할 목적으로 일본안경전문학교와 와세다안경전문학교가 통합하여 세운 학교이다. 2년제 통신교육과정과 3년제 전문기술 마스터과정이 있다.
기구찌안경전문학교 - 일본 내 유일의 4년제 안경교육기관이다. 국제기준에 맞춘 교육을 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