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비자)
1.애신
2.주도
3.유도
4.이병
5.간겁시신편
6.비내
7.해노
8.유로
9.설림
10.용인
11.공명
12.육반
13.오두
14.현학
15.심도
1.애신
2.주도
3.유도
4.이병
5.간겁시신편
6.비내
7.해노
8.유로
9.설림
10.용인
11.공명
12.육반
13.오두
14.현학
15.심도
본문내용
시 이왈인심 삼왈기능 사왈세위)
해석:
현명한 군주가 공업을 이루고 명성을 얻는 조건으로는 네 가지가 있는데, 그 첫째는 하늘의 때요, 둘째는 민심이며, 셋째는 기능이며, 넷째는 권세 있는 지위이다.
12.육반(六反)
且父母之於子也, 産男則相賀, 産女則殺之. 此俱出父母之懷, 然男子受賀, 女子殺之者, 慮其後便, 計之長利也. 故父母之於子也, 猶用計算之心以相待也, 而無父子之澤乎?
(차부모지여자야 산남즉상하 산녀즉살지. 차구출부모지회임 연남자수하 여자살지자 려기후편 계지장리야. 고부모지어자야 유용계산지심이상대야 이황무부모지택호)
해석:
부모의 그 자식에 대한 태도를 보면, 아들이 태어나면 반갑다하고, 여자아이가 태어나면 대수로이 여기지 않는다. 어느 편이나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났는데도 남자는 축복을 받고 여자는 반갑게 여기지 않는 것은 그 자식이 장래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영구적인 이익을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식을 다룰 때도 타산적인 배려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애정이 없는 다른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더 말할 것이 없는 것이다.
13.오두(五)
夫古今異俗, 新故異備.
(부고금이속 신고이비)
事異則備變.
(사이즉사이)
해석:
옛날과 지금은 관슴이 다르면, 시대에 따라서 방책도 달라야 되는 것이다.
사정이 달라지면 방책도 달라진다.
14.현학(顯學)
故不務德而務法
(고부무덕이무법)
해석:
생산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은 개간되지 않는 토지와 같고 바위덩이와 다를 것이 없다.
15.심도(心度)
時移而治不易者亂
(시이이법부역자란)
해석:
법률이 시대의 추이와 함깨 개혁되면 세상이 잘 다스려진다.
해석:
현명한 군주가 공업을 이루고 명성을 얻는 조건으로는 네 가지가 있는데, 그 첫째는 하늘의 때요, 둘째는 민심이며, 셋째는 기능이며, 넷째는 권세 있는 지위이다.
12.육반(六反)
且父母之於子也, 産男則相賀, 産女則殺之. 此俱出父母之懷, 然男子受賀, 女子殺之者, 慮其後便, 計之長利也. 故父母之於子也, 猶用計算之心以相待也, 而無父子之澤乎?
(차부모지여자야 산남즉상하 산녀즉살지. 차구출부모지회임 연남자수하 여자살지자 려기후편 계지장리야. 고부모지어자야 유용계산지심이상대야 이황무부모지택호)
해석:
부모의 그 자식에 대한 태도를 보면, 아들이 태어나면 반갑다하고, 여자아이가 태어나면 대수로이 여기지 않는다. 어느 편이나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났는데도 남자는 축복을 받고 여자는 반갑게 여기지 않는 것은 그 자식이 장래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영구적인 이익을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식을 다룰 때도 타산적인 배려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애정이 없는 다른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더 말할 것이 없는 것이다.
13.오두(五)
夫古今異俗, 新故異備.
(부고금이속 신고이비)
事異則備變.
(사이즉사이)
해석:
옛날과 지금은 관슴이 다르면, 시대에 따라서 방책도 달라야 되는 것이다.
사정이 달라지면 방책도 달라진다.
14.현학(顯學)
故不務德而務法
(고부무덕이무법)
해석:
생산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은 개간되지 않는 토지와 같고 바위덩이와 다를 것이 없다.
15.심도(心度)
時移而治不易者亂
(시이이법부역자란)
해석:
법률이 시대의 추이와 함깨 개혁되면 세상이 잘 다스려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