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 연구목적
II. 문헌고찰
미숙아
무호흡
황달
II. 본론
I. 연구기간 및 방법
II.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과정 적용
III. 결론
참고문헌
I. 연구목적
II. 문헌고찰
미숙아
무호흡
황달
II. 본론
I. 연구기간 및 방법
II.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과정 적용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터 깔아줌으로써 수유 능력이 향상되어 40cc/q3hr로 feeding중이며 moniliasis도 호전 증상 보였다.
-체중은 22일 2.20kg→30일 2.74kg으로 증가
t.protein
1/18
4.4g/dL
29
6.8g/dL
alb.
1/18
2.4g/dL
29
3.8g/dL
-fluid rate도 feeding량이 증가함에 따라 처음에 10cc/hr로 주었던 것을 24일 5cc/hr로 줄어들었고 25일 fluid stop.
정의: 대사요구량에 비해 영양을 부족하게 섭취하는 상태
#3. 광선치료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객관적 자료
-triple photo therapy 예방적 적용
-T.bil:5.8mg/dl
D.bil: 0.3mg/dl
AST(SGOT);61U/L
-eye shield 재부착한 자리가 redness(+)
<단기목표>
환아는 1월 29일까지 혈중 빌리루빈이 2mg/dl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환아는 1월 31일까지 피부손상 위험성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①duty때마다 피부의 색과 상태를 사정한다.
②손을 헝겊으로 감아주어 피부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한다.
③피부마찰을 최소화 하고 테이프의 사용을 절제한다.
④광선요법을 올바르게 적용한다.
⑤혈중 빌리루빈 수치를 확인한다.
①
1/21
공막, 피부 전체적으로 노랗다.
22
공막, 피부 전체적으로 노랗다.
23
공막, 피부 전체적으로 노랗다.
24
eye shield 부착한 자리에 redness(+)
25
eye shield 부착한 자리에 redness(+)
28
jaundice 호전보임
육안으로는 정상 피부상태를 유지함.
29
혈줄 빌리루빈 감소하여 Triple photo Tx에서 double photo Tx로 바꿈
②
-일반 신생아들은 베넷 저고리를 입고 있어 손이 밖으로 나오지 않아 얼굴이나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지만 광선요법을 받고 있는 신생아들은 기저귀만 차고 있기 때문에 잘못하면 손톱으로 얼굴이나 피부에 상처를 줄 수 있다.
-손싸개를 이용하여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하였다.
③
-eye shield를 붙일 때 피부에 duoderm을 먼저 붙이고 그 위에다가 eye shield를 붙였다.
④
-빛과의 거리를 15~20cm로 유지해주었다.
-측위 및 복위를 취해주고, 매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해주었다.
-빛이 한곳에만 집중적으로 쬐이지 않고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주어 국소부위의 화상위험성을 예방하였다.
-목욕 후 피부가 완전히 건조될때까지 기다린 후 광선요법을 시작하였다.
-수유할 때는 eye shield를 풀어 눈맞춤을 하였다.
-q6hr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고체온, 탈수, 건조 증상을 사정하였다.
1/21
06:00
36.5
25
06:00
36.5
12:00
36.6
12:00
37.1
18:00
37.1
18:00
36.6
22
06:00
36.7
28
06:00
36.5
12:00
36.5
12:00
36.6
18:00
36.5
18:00
37.1
23
06:00
36.5
29
06:00
36.7
12:00
36.7
12:00
36.5
18:00
36.5
18:00
36.5
24
06:00
36.5
12:00
37.0
18:00
36.8
⑤
-1/18 5.8mg/dl→1/29 1.9mg/dl
<단기목표달성>
1/29일 T.bil 1.9mg/dl 로 감소하였다.
<장기목표달성>
-혈중 빌리루빈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지 못하였으나 공막과 피부에서 황달 증상 호전 보였다.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감소하면서 Triple photo Tx에서 double photo Tx로 바뀌었다.
-탈수, 건조증상 보이지 않았다.(피부탄력성유지, 구강건조 증상 없음)
-eye shield 재부착한 자리가 redness(-)
정의: 피부가 비정상적으로 변화될 위험이 있는 상태
III. 결론
신생아 중환자실이라 환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 불가능으로 객관적 자료로만 문제점을 돌출한다는게 어려웠지만 환아를 돌보면서 더 애정을 쏟을 수 있었고 엄마라도 된 것처럼 울음소리만 들어도 뭐가 필요한지 알 것 같았다. 실습 전 아동간호학 공부를 하고 간게 많은 도움이 됐다.
실습을 하면서 고령의 산모일수록 미숙아나 선천적 기형의 아이를 출산 할 확률이 높다는 이론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제태기간이 36주 이하인 신생아의 대부분은 계면활샹제 부족과 면역결핍으로 호흡기계 질환에 이환되었다. 우리사회 복지제도의 개선과 여자만 아이를 돌봐야 한다는 선입견을 개선시키고 기형아 출산과 조기 유산을 막는 의료적 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것 같다.
정상 신생아로 태어났어도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번 case에서도 대상자는 건아로 분리되었지만 몇 시간도 되지 않아 apnea와 cyanosis를 보였다. 이 대상자에게 또 다른 문제점은 황달로서 photo therapy를 시행하였다. photo Tx하던 중 감각지각 변화(특히 시각)에 대한 간호와 피부손상 위험성 예방에 대한 간호를 실시해 주었다. 또한 feeding 진행이 잘되던 중 1/20일경 아이가 보채면서 우유를 안 먹으려해 observation 하던 중 moniliasis가 발견되어 그에 따른 치료를 해주었더니 수유능력도 향상되고 Bwt 증가를 보여 영양상태를 회복하게 되었다. 이렇게 여러 방면의 문제점을 찾아 그에 대한 간호를 실시하면서 대상자는 더 이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습을 알차게 한 것 같아서 뿌듯하고 case에 도움주신 전대병원 NICU 간호사 선생님들과 방학 중에도 실습지도로 바쁘신 교수님들께 감사드린다.
※ 참고문헌
① 최신 아동간호학 각론 수문사(2004) 김미예 외 13명
② 손쉽고 편리한 아동간호진단 현문사(2000) 조결자 외 4명
③ 건강사정 현문사(2001) 이강이 외
④ NANDA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2006) 김강미자 외 10명
⑤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1999) 서울대학교병원 편
⑥ 임상약리학 E*PUBLIC(2006) Sally S. Roach
⑦ 아동간호학 각론 정담(1998) 이화자 외
⑧ 임상검사와 간호 수문사(1998) 송경애 외
-체중은 22일 2.20kg→30일 2.74kg으로 증가
t.protein
1/18
4.4g/dL
29
6.8g/dL
alb.
1/18
2.4g/dL
29
3.8g/dL
-fluid rate도 feeding량이 증가함에 따라 처음에 10cc/hr로 주었던 것을 24일 5cc/hr로 줄어들었고 25일 fluid stop.
정의: 대사요구량에 비해 영양을 부족하게 섭취하는 상태
#3. 광선치료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객관적 자료
-triple photo therapy 예방적 적용
-T.bil:5.8mg/dl
D.bil: 0.3mg/dl
AST(SGOT);61U/L
-eye shield 재부착한 자리가 redness(+)
<단기목표>
환아는 1월 29일까지 혈중 빌리루빈이 2mg/dl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환아는 1월 31일까지 피부손상 위험성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①duty때마다 피부의 색과 상태를 사정한다.
②손을 헝겊으로 감아주어 피부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한다.
③피부마찰을 최소화 하고 테이프의 사용을 절제한다.
④광선요법을 올바르게 적용한다.
⑤혈중 빌리루빈 수치를 확인한다.
①
1/21
공막, 피부 전체적으로 노랗다.
22
공막, 피부 전체적으로 노랗다.
23
공막, 피부 전체적으로 노랗다.
24
eye shield 부착한 자리에 redness(+)
25
eye shield 부착한 자리에 redness(+)
28
jaundice 호전보임
육안으로는 정상 피부상태를 유지함.
29
혈줄 빌리루빈 감소하여 Triple photo Tx에서 double photo Tx로 바꿈
②
-일반 신생아들은 베넷 저고리를 입고 있어 손이 밖으로 나오지 않아 얼굴이나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지만 광선요법을 받고 있는 신생아들은 기저귀만 차고 있기 때문에 잘못하면 손톱으로 얼굴이나 피부에 상처를 줄 수 있다.
-손싸개를 이용하여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하였다.
③
-eye shield를 붙일 때 피부에 duoderm을 먼저 붙이고 그 위에다가 eye shield를 붙였다.
④
-빛과의 거리를 15~20cm로 유지해주었다.
-측위 및 복위를 취해주고, 매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해주었다.
-빛이 한곳에만 집중적으로 쬐이지 않고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주어 국소부위의 화상위험성을 예방하였다.
-목욕 후 피부가 완전히 건조될때까지 기다린 후 광선요법을 시작하였다.
-수유할 때는 eye shield를 풀어 눈맞춤을 하였다.
-q6hr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고체온, 탈수, 건조 증상을 사정하였다.
1/21
06:00
36.5
25
06:00
36.5
12:00
36.6
12:00
37.1
18:00
37.1
18:00
36.6
22
06:00
36.7
28
06:00
36.5
12:00
36.5
12:00
36.6
18:00
36.5
18:00
37.1
23
06:00
36.5
29
06:00
36.7
12:00
36.7
12:00
36.5
18:00
36.5
18:00
36.5
24
06:00
36.5
12:00
37.0
18:00
36.8
⑤
-1/18 5.8mg/dl→1/29 1.9mg/dl
<단기목표달성>
1/29일 T.bil 1.9mg/dl 로 감소하였다.
<장기목표달성>
-혈중 빌리루빈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지 못하였으나 공막과 피부에서 황달 증상 호전 보였다.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감소하면서 Triple photo Tx에서 double photo Tx로 바뀌었다.
-탈수, 건조증상 보이지 않았다.(피부탄력성유지, 구강건조 증상 없음)
-eye shield 재부착한 자리가 redness(-)
정의: 피부가 비정상적으로 변화될 위험이 있는 상태
III. 결론
신생아 중환자실이라 환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 불가능으로 객관적 자료로만 문제점을 돌출한다는게 어려웠지만 환아를 돌보면서 더 애정을 쏟을 수 있었고 엄마라도 된 것처럼 울음소리만 들어도 뭐가 필요한지 알 것 같았다. 실습 전 아동간호학 공부를 하고 간게 많은 도움이 됐다.
실습을 하면서 고령의 산모일수록 미숙아나 선천적 기형의 아이를 출산 할 확률이 높다는 이론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제태기간이 36주 이하인 신생아의 대부분은 계면활샹제 부족과 면역결핍으로 호흡기계 질환에 이환되었다. 우리사회 복지제도의 개선과 여자만 아이를 돌봐야 한다는 선입견을 개선시키고 기형아 출산과 조기 유산을 막는 의료적 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것 같다.
정상 신생아로 태어났어도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번 case에서도 대상자는 건아로 분리되었지만 몇 시간도 되지 않아 apnea와 cyanosis를 보였다. 이 대상자에게 또 다른 문제점은 황달로서 photo therapy를 시행하였다. photo Tx하던 중 감각지각 변화(특히 시각)에 대한 간호와 피부손상 위험성 예방에 대한 간호를 실시해 주었다. 또한 feeding 진행이 잘되던 중 1/20일경 아이가 보채면서 우유를 안 먹으려해 observation 하던 중 moniliasis가 발견되어 그에 따른 치료를 해주었더니 수유능력도 향상되고 Bwt 증가를 보여 영양상태를 회복하게 되었다. 이렇게 여러 방면의 문제점을 찾아 그에 대한 간호를 실시하면서 대상자는 더 이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습을 알차게 한 것 같아서 뿌듯하고 case에 도움주신 전대병원 NICU 간호사 선생님들과 방학 중에도 실습지도로 바쁘신 교수님들께 감사드린다.
※ 참고문헌
① 최신 아동간호학 각론 수문사(2004) 김미예 외 13명
② 손쉽고 편리한 아동간호진단 현문사(2000) 조결자 외 4명
③ 건강사정 현문사(2001) 이강이 외
④ NANDA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2006) 김강미자 외 10명
⑤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1999) 서울대학교병원 편
⑥ 임상약리학 E*PUBLIC(2006) Sally S. Roach
⑦ 아동간호학 각론 정담(1998) 이화자 외
⑧ 임상검사와 간호 수문사(1998) 송경애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