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진의 관광산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구목적

2. 조사 및 분석 방법

3. 조사지역의 특성

4. 조사 분석 내용
1) 강릉시 강동면 일대의 관광 명소
정동진역
정동진 해수욕장
모래시계 공원
정동진 조각공원
고성산
강릉통일공원
정동진 해안단구
2) 지역축제
3) 매스컴의 관심과 관광 상품의 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

5. 요약 및 제언

본문내용

인구가 2000명 미만으로 줄어들면서 열차도 거의 운행하지 않을 정도로 한산했던 이 지역이 텔레비전 드라마 <모래시계>가 인기를 끌면서 드라마 촬영의 배경이 된 정동진역 일대가 전국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전국에서 바다와 가장 가까운 역으로 철길과 해변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 이곳은 특히, 1997년부터는 해돋이 관광열차가 운행하면서 해수욕장 역시 전국적인 관광지로 발돋움하였다. 단순히 드라마의 촬영 배경이 되었다는 매스컴의 관심을 뛰어넘어 정동진역은 물론이거니와 모래시계와 해돋이 관광열차 그밖에 다른 관광지를 모두 상품화 했고, 이제는 관광수입이 지역 경제의 최대 수입원이 되기에 이르렀다. 폐광촌과 모래시계의 만남이 너무나 절묘하게 잘 맞아 떨어진 것이었다.
최근에 우리나라의 관광 상품을 보면 이렇게 정동진처럼 드라마나 영화의 촬영 배경이 되었던 장소가 세간의 많은 관심을 받아 상품화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드라마의 촬영 장소였던 남이섬이나 섭지코지 역시 실제로 관광 상품화되어 지역의 관광수입에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제 예전처럼 공장이나 높은 빌딩을 세워야만 지역경제가 활성화되는 시대는 지난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매스컴을 잘 활용해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또 그것을 잘 운용해 나간다면 그 이상의 소득을 올릴 수 있을뿐더러, 침체된 지역경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거기에는 지역민의 자발적인 노력과 계회적인 개발관리가 함께 뒤따라야 할 것이다.
3년 전에 정동진을 가본 적이 있었는데 플랫폼과 붙어있는 백사장, 동해의 푸른 바다와 해돋이 어느 것 하나 인상적이지 않은 것이 없었다. 사람들은 정동진을 보면서 예전의 운치가 사라졌다느니,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느니 하는 우려의 말을 하기도 한다. 탄광촌에서 일약 관광 명소로 충분한 준비가 없이 시급한 개발이 이루어졌기에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을 낳았을 수도 있지만 간이역사의 모습을 꿋꿋이 지키고 있는 정동진역을 보면 그래도 가슴이 따뜻해진다. 단지 눈으로 보며 즐기는 관광지의 개발이 아니라 정동진 본래의 제 모습을 가꿔나가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일시적인 붐으로 끝나지 않길 바란다.
* 참고문헌*
강릉대신문사,『강릉대신문』, 2003.
조경애,『image가 형성한 관광지 정동진』, 경희대교육대학원, 2003.
최미선,『대한민국 최고 여행지를 찾아라』, 랜덤하우스중앙, 2005.
유연태,『내가 꿈꾸는 주말여행』,선미디어, 2002.
강동면사무소 http://www.gangneung.gangwon.kr/dong/gd/main.jsp
관광강릉 http://www.gntour.go.kr/CMSList.do?pid=5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5089
소구리 문화지도 http://www.soguri.com/
정동진 가이드 http://iboa.co.kr/
정동진 닷컴 http://www.jungdong.com/
정동진 역 http://www.jeongdongjin.co.kr/jrman.htm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4.30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2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