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췌장암.pancreas cancer
원인, 증상, 진단, 합병증, 내.외과적 중재
2. 급성 췌장염 acute pancreatitis
원인, 증상, 진단, 합병증, 내.외과적 중재
3. 만성 췌장염 chronic pancreatitis
원인, 증상, 진단, 합병증, 내.외과적 중재
4. periampullary cancer
원인, 증상, 진단, 합병증, 내.외과적 중재
5. 기타 - IPMT(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pseudocysts vs cystic neoplasm (표로 비교)
원인, 증상, 진단, 합병증, 내.외과적 중재
2. 급성 췌장염 acute pancreatitis
원인, 증상, 진단, 합병증, 내.외과적 중재
3. 만성 췌장염 chronic pancreatitis
원인, 증상, 진단, 합병증, 내.외과적 중재
4. periampullary cancer
원인, 증상, 진단, 합병증, 내.외과적 중재
5. 기타 - IPMT(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pseudocysts vs cystic neoplasm (표로 비교)
본문내용
ry L/N와 metastatic L/N의 감별 어려움.
⑦ MRI
⑧ ERCP
⑨ PTC: 단점(bleeding, biliary leakage)
⑩ Angiography: vascular invasion 여부 알수 있음.
⑪ UGI(gastrografin): duodenal obstructioin이 의심될때
⑫ FNA: tumor cell dissemination 위험성 있음. 완치수술 고려시 시행말 것, 단, 수술하지 않고 chemo Tx or RT시행예정인 경우에만 시행
5. 치료
1) Palliative Tx.(환자의 50%에서 시행, 목적: jaundice, vomiting, pain 경감)
① jaundice
- stent insertion
- PTC(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edochostomy)
- PTCD(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edochoduodenostomy)
- Surgical decompression
ex) hepaticojejunostomy or cholecystojejunostomy
② Duodenal obstruction
- palliative gastroenterostomy
③ Double bypass
- gastojejunostomy + choledochojejunostomy
Ⅴ. 기타
♠ IPMT(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1. 정의
Pancreatic duct안에 퍼져 있는 papillary neoplasm으로서 Thick Mucin을 분비. 췌관의 Dilatation이 되어 있고 그 안에는 Mucus가 차있다. 천천히 자라고 전이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예후가 좋다. pancreas head에 호발.
2.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췌장암과 비슷.
3. 병태생리
췌관의 상태세포에서 생기며 Duct system을 따라 진행. Main pancreatic duct가 Mucus Plug로 막히므로 Obstructive Pancreatitis가 유발하므로 증상은 췌장염증상과 비슷. 췌장의 두부에 일반적이며 주로 60~70세의 남자.
cf) pancreatic mucinous cystic tumor는 췌장 실질 조직에서 유래하며 duct
system을 따라 생기지 않으며 여자에서 많고 distal pancreas에 주로 생긴다.
♠ pseudocysts vs cystic neoplasm
구분
pseudocysts
cystic neoplasm
성별
남성
여성
나이
40대
60대
음주력
yes
unusual
급성, 만성 췌장염증상
yes
unusual(IPMT)
sono/CT
단방성(unilocular)
췌장 실질의 석회화 같은 만성 췌장염의 징후
다방성(multilocular)이거나 고형성분. 장액성 낭선종은 중심이 석회화된 성상의 반은, 점액성 낭선 암종에서는 테두리 석회화.
ERCP
70%에서 주췌관과 연결
주췌관, 부췌관 확장 소견
5%미만,주체관의 완전 폐쇄
주췌관 부췌관 확장 소견 관찰X
(but IPMT 췌관 확장관찰)
cytology
염증성 괴사조직 관찰
원주형,입방형 상피세포 관찰
amylase
usually high
(<10000IU/L)
low or high
CEA
low
low or high(>1000ng/mL)
낭의 내면
육아조직, 섬유조직으로 구성, 상피세포의 피복이 없음.
낭내벽에 상피세로로 피복
세침흡입
권유되지 않음.
* 치료
1. pseudocysts의 치료
① 보존적 치료 : 낭종 크기가 5cm미만, 경구용 췌장효소, 저지방식, Tx NPO
② 경피적 낭종 배액술: 가성낭종의 감염 의심시 감염 여부 확인위해, 반복적인 흡인술, 가성낭종이 췌관과 연결이 없는 경우 낭종 흡인술만으로 가성낭종 1/3 호전. 배액관 2~6주 정도 유지후 호전시 제거
③ 내시경적 낭종 배액술: 경유두적 /Transmural 경로를 통한 배액
④ 외과적 방법:Roux-en Y cystojejunostomy,Cystogastrostomy,
Cystoduodenostomy, DP. 낭종벽의 섬유화가 충분히 이루어진 6주후에 시행
2. cystic neoplasm의 치료 - 외과적 절개
① 크기가 작은 branch duct type으로서 mural nodule이 없는 경우
->limited resection
② 그렇지 않은 경우
->PPPD, subtotal pancreatectomy, Total pancreatectomy
⑦ MRI
⑧ ERCP
⑨ PTC: 단점(bleeding, biliary leakage)
⑩ Angiography: vascular invasion 여부 알수 있음.
⑪ UGI(gastrografin): duodenal obstructioin이 의심될때
⑫ FNA: tumor cell dissemination 위험성 있음. 완치수술 고려시 시행말 것, 단, 수술하지 않고 chemo Tx or RT시행예정인 경우에만 시행
5. 치료
1) Palliative Tx.(환자의 50%에서 시행, 목적: jaundice, vomiting, pain 경감)
① jaundice
- stent insertion
- PTC(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edochostomy)
- PTCD(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edochoduodenostomy)
- Surgical decompression
ex) hepaticojejunostomy or cholecystojejunostomy
② Duodenal obstruction
- palliative gastroenterostomy
③ Double bypass
- gastojejunostomy + choledochojejunostomy
Ⅴ. 기타
♠ IPMT(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1. 정의
Pancreatic duct안에 퍼져 있는 papillary neoplasm으로서 Thick Mucin을 분비. 췌관의 Dilatation이 되어 있고 그 안에는 Mucus가 차있다. 천천히 자라고 전이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예후가 좋다. pancreas head에 호발.
2.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췌장암과 비슷.
3. 병태생리
췌관의 상태세포에서 생기며 Duct system을 따라 진행. Main pancreatic duct가 Mucus Plug로 막히므로 Obstructive Pancreatitis가 유발하므로 증상은 췌장염증상과 비슷. 췌장의 두부에 일반적이며 주로 60~70세의 남자.
cf) pancreatic mucinous cystic tumor는 췌장 실질 조직에서 유래하며 duct
system을 따라 생기지 않으며 여자에서 많고 distal pancreas에 주로 생긴다.
♠ pseudocysts vs cystic neoplasm
구분
pseudocysts
cystic neoplasm
성별
남성
여성
나이
40대
60대
음주력
yes
unusual
급성, 만성 췌장염증상
yes
unusual(IPMT)
sono/CT
단방성(unilocular)
췌장 실질의 석회화 같은 만성 췌장염의 징후
다방성(multilocular)이거나 고형성분. 장액성 낭선종은 중심이 석회화된 성상의 반은, 점액성 낭선 암종에서는 테두리 석회화.
ERCP
70%에서 주췌관과 연결
주췌관, 부췌관 확장 소견
5%미만,주체관의 완전 폐쇄
주췌관 부췌관 확장 소견 관찰X
(but IPMT 췌관 확장관찰)
cytology
염증성 괴사조직 관찰
원주형,입방형 상피세포 관찰
amylase
usually high
(<10000IU/L)
low or high
CEA
low
low or high(>1000ng/mL)
낭의 내면
육아조직, 섬유조직으로 구성, 상피세포의 피복이 없음.
낭내벽에 상피세로로 피복
세침흡입
권유되지 않음.
* 치료
1. pseudocysts의 치료
① 보존적 치료 : 낭종 크기가 5cm미만, 경구용 췌장효소, 저지방식, Tx NPO
② 경피적 낭종 배액술: 가성낭종의 감염 의심시 감염 여부 확인위해, 반복적인 흡인술, 가성낭종이 췌관과 연결이 없는 경우 낭종 흡인술만으로 가성낭종 1/3 호전. 배액관 2~6주 정도 유지후 호전시 제거
③ 내시경적 낭종 배액술: 경유두적 /Transmural 경로를 통한 배액
④ 외과적 방법:Roux-en Y cystojejunostomy,Cystogastrostomy,
Cystoduodenostomy, DP. 낭종벽의 섬유화가 충분히 이루어진 6주후에 시행
2. cystic neoplasm의 치료 - 외과적 절개
① 크기가 작은 branch duct type으로서 mural nodule이 없는 경우
->limited resection
② 그렇지 않은 경우
->PPPD, subtotal pancreatectomy, Total pancreatectom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