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효상의 웰컴시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개 요
▲ 설계의도
▲ 위치정보
▲ 도면정보
▲ 건축가의 다른 작품
▲ 사진자료
▲ 비슷한 경향의 건물
▲ 결론/평가

본문내용

사진자료
내부공간 (로비)
내부공간 (창 디테일)
내부공간
내부공간
외부전경
외부전경
외부전경
외부전경
외부전경 (개구부)
외부전경 (보이드 공간)
비슷한 경향의 건물
. 루이스 칸 - 솔크 생물학 연구소
솔크 생물학 연구소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라졸라(La Jolla)에 세워진 생물학 연구소이다. 이 연구소는 절벽에 위치하여 전면으로는 태평양이 내려다보이고, 위로는 맑고 깨끗한 하늘이 대지를 지붕처럼 덮고 있는 도시와는 떨어진 한적하고 평탄한 대지에 위치한다. 건축주인 조나스 솔크(Jonas Salk) 박사는 의학적인 연구란 의술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인간애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칸으로 하여금 연구소 건물은 오직 실험만을 위한 것일 필요는 없다는 새로운 자각을 하게 해 주었다. '예측할 수 없는 것'의 현존이란 은폐된 존재를 일상 혹은 현존 속으로 탈은폐시키겠다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탈은폐를 공시적 비움의 측면으로 작품을 분석해 볼 수 있다.
. 루이스 칸 - 킴벨 미술관
자연의 빛을 미술품을 비추기에 가장 적합한 빛으로 가공하여 전시실로 공급하도록 고안된 천장을 갖고 있는 미술관으로 잘 알려져 있는 킴벨 미술관은 미술관 설계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자연광 안에서 제작된 미술작품은 자연광 안에서 전시되어야 한다"는 칸의 믿음을 실천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결론 / 평가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가? 라는 원론적인 물음에 대한 답은 건물이 들어서는 위치와 목적에 따라 천차만별적으로 달라지겠지만 적어도 도시에서의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건축가 승효상의 웰컴시티가 좋은 모범 답안이 될 수 있지 않나 싶다.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잘 어우러지며 1차적인 이용자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공간이 배타적이지 않다. 도심 한가운데서 도심과 Communication 하며 공적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웰컴시티가 도시환경에서 이미 자동차에게 주도권을 뺏겨 공적 보행공간 조차 확보하지 못한 오늘날의 시민들에게 필요한 도시건축이 아닐까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사) 한국건축가협회 http://www.kia.or.kr/
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금요문학-미래를 향해 서는 일상의 집. 건축가 승효상 강연.
3. 승효상. "빈자의 미학". 미건사. 1998.
4. 김기호 외 3명. "도시에서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가". 공간 1990년 5월호.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5.06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