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상 발표 a+자료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와상 발표 a+자료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와상의 정 의 및 실태

2와상의 원인

3와상노인의변화

4와상의 합병증

5와상예방방법

6와상노인의 간호및 관리방법

7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계단, 화장실, 복도 등 위험한 장소 곳곳에 조명을 켜 놓는 것이 중요하다.
6) 냉 ㆍ난방
실온이 15℃ 이하가 되면 난방을 하도록 한다. 특히, 목욕을 한 후나 의복을 바꿔 입을 때는 22℃ 이상이 되어야 한다. 노인에게는 온돌바닥이 좋으므로 온돌과 난방기를 병용하는 것이 좋다.
냉방은 외부와의 기온차가 15℃ 이내가 되게 하여야 하고, 냉방기와 선풍기 바람은 직접 이용자에게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편안한 자세
와상노인은 항상 누워 있기 때문에 노인대상자의 불편ㄴ감을 감소시키고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서 자세를 바꾸면서 편안한 자세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1) 앙와위
앙와위(仰瓦位 : supine position) 는 천장을 보고 똑바로 누워 있는 자세이다.
① 휴식 또는 수면시에 편안감을 준다.
② 척추수술 또는 척추 손상시 척추의 선열을 유지한다.
③ 심한 출혈 또는 저혈압시에 주요장기(뇌, 심장)에 순환을 촉진한다.
이때, 앙와위는 발꿈치, 둔부, 팔꿈치, 견갑골, 두개골 후면, 발가락 등이 압력을 받으므로, 베개를 이용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2) 복와위
복와위 (腹臥位 : pron position)는 배로 엎드리는 체위로 둔부와 무릎관절을 충분히 신전시킬 수 있고, 구강으로부터 분비물의 배액을 촉진한다.
그러나 복와위는 가슴과 배를 압박하여 호흡운동에 장애를 주며, 일어서려고 할 때 꼬리뼈 부위를 강하게 앞으로 굽혀야 하고, 등의 근육도 심하게 움직여야 할 뿐 아니라 목의 근육도 머리를 들어올릴 때 긴장하므로, 경추나 요추에 장애가 있는 노인대상자에게는 복와위를 하지 않도록 한다.
3) 측와위
측와위(側臥位 : lateral position)는 옆으로 누워 있는 자세로서 둔부 및 무릎관절, 어깨를 굴절시킨다. 측와위는 휴식 및 수면을 취하기에 편안한 자세이다.
그러나 양와위에 비해서는 바닥에 닿는 면적이 적어 불안정하고 다소의 근육긴장이 있다.
4) 반좌위
반좌위(半座位 )는 머리를 45℃ 정도 세운 자세로서 폐확장을 최대로 하여 심장질환 노인은 자주 취하여 주는 것이 좋다.
반좌위는 독서, 식사, TV시청에도 좋은 자세이다.
반좌위시 압박받는 부위는 발꿈치, 팔꿈치, 둔부, 견갑골, 발가락과 무릎이므로 베게를 이용하여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3) 이동방법
(1) 일어서기
침대를 의지
무릎이 꺽이지 않도록 주의
(2) 이동하기
- 침대에서 의자로 이동
팔걸이에손을잡고의자에기댐
건강한쪽 손과발로 허리를 돌리고 앉는다
- 선자세의 균형잡기
손잡이나 의자를 잡고 3분정도 서있도록 연습
전후좌우로 체중이동 중심잡기연습
- 걷는연습
1일 2회 걷는 연습
평행봉등 훈련에 사용
보행기 사용
(3) 앉히기
(1) 침 대
(2) 휠체어
한발을 노인무릎사이에
노인의 무릎을 수발인의 무릎을 이용하여 천천히 앉힘
와상상태가 되면 보행, 배설, 청결유지, 옷 입기, 식사하기 등의 기본적인 문제부터 정상 활동에 이르기까지 일상적인 모든 면에서 도움이 필요하게 되고, 와상기간에 따라 불용증후군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게 된다.
변화된 생활과 자립심을 상실한 노인들은 질병으로부터의 회복력 저하와 삶에 대한 의욕 저하 등으로 자칫 우울감에 빠지게 되고 죽음을 생각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간호의 제공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 불용증후군의 예방과 악화를 방지한다.
(1) 환자 간호
일반적으로 와상환자는 온돌바닥에 누워 자내는 것보다 가능하다면 침대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침대 사용은 먼지가 밑으로 가라앉아 청결하고, 청소를 하거나 침구를 말리거나 일어서 동작 시에도 용이하다. 베개는 낮고 큰 것으로 준비하고, 침요는 조금 딱딱한 것이 체위 변경 시에 도움이 되고 요통완화에도 좋다. 침대에 누워서도 창을 통해 충분한 햇빛을 받고 바깥을 내다볼 수 있으며, 적절한 실내 상태(온도20℃,습도:60℃)가 유지되도록 한다.
(2) 가족지지
장기간의 수발과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환자의 가족들은 큰 부담을 느끼게 된다. 24시간 지속적인 보호를 요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다행히 일정 부분을 대상자 자신이 해결할 수 있다거나 또 간병인의 도움을 받는다 해도 결국 대부분의 간호는 가족들의 몫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대부분의 수발자나 그 가족들이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감수하면서 까지 와상 노인 간호를 수행해야 할 형편라면, 가족들만이 이를 감당하려 하지 말고 여러 가지 지역사회의 지지체계를 이용하면서 수발하는 지혜를 갖자는 데 의미를 두었다.
우선, 환자의 방에 TV, 비디오, 여러종류의 녹음 테이프 등을 비치해 주어 노인 혼자서 무료하게 보내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친구들이나 손자녀의 방문으로 노인들이 즐거운 시간을 갖도록 중재하는 것은 환자는 물론 수발자 자신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가정간호사의 도움을 얻어 효과적인 간호방법을 익히거나, 가정봉사원 단기보호시설주간보호시설낮병원이동 목욕 서비스시간제 간병인제도 지역사회 봉사단체 등을 형편에 맞게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의 도움을 받는 시간읠 최대한 활용하여 수발자 자신은 휴식을 취하거나 환자 간호 모임 혹은 환자 가족 모임 등에 참여하여 도움이 되는 정보를 교환하거나 위안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충분한 사회적 지지체계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나 그러한 중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체계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해 혼자만의 고민과 중압감을 함께 나누면서 환자를 수발할 수 있도록 가족들 스스로도 노력해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의 다양한 가족 지지 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시급하다.
※ 참고문헌
1. 노후이것만은 꼭 알아야 한다, 유동윤, 제삼기획
2. 노인시설관리론. 조소영외 2명, 학문사
3. 노인수발의 노하우, 고승덕 외 3명, 계축문화사
4. http://blog.naver.com/bbibbi0906?Redirect=Log&logNo=30015627608
5. http://blog.empas.com/shtjdrud7/
6. http://oldanna.or.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5.06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