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2.0의 개념과 특성 및 적용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Web 2.0 개념

2. Web 2.0 특성

3. Web 2.0 적용사례

4. Web 2.0 결론

본문내용

, 조직형태에 대한 재해석
네트워크 기반 하에서 전통적인 고용주-직원의 관계와는 다름 형태로 사업을 수행하는 모델이 등장
- 다수의 개인이 참여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이른바 collective enterprise 개념의 기업이 증가(IBM의 풀타임 직원수는 전세계 33만 명인 반면, 이베이 에서 지속적으로 판매활동을 하는 미국인관 72만명)
3. Web 2.0 적용사례
웹 2.0이 대두되면서 웹비지니스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한 예로 웹 1.0시대의 포털서비스의 주 수익원인 광고수익을 높이기 위해 이용자를 포털로 유입시키는 것에 대한 고민을 하였으나 웹 2.0 시대에서는 포털의 자사 유입경로 확대와 서비스 경쟁력 확대를 위해 RSS, API공개, 위젯 서비스 등을 시행하고 있다. 웹 2.0이 포털의 기본 수익 구조를 흔들어 놓은 것이다. (위젯이나 RS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포털의 초기면을 거치지 않고, 관련 컨텐츠를 바로 바로 확인 가능, 특히 전문 뉴스사이트의 경우, RSS FEED를 도입하고 있어 굳이 포털사이트에서 RSS를 할 필요가 없음. 그에 따른 사이트의 PV와 UV 감소는 광고 노출 수입을 줄어들게 함) 따라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게 된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 위젯, 툴바, 데스크톱 검색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
- 문맥광고, 수익 공유 등 신 기법 광고 서비스
- 새로운 콘텐츠 유통 채널
- UCC를 활용한 광고와 마케팅(RSS, Podcasting, Blog 등)
ex.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 판도라TV, 곰TV, 아프리카, 다모임, 엠군, 포털 동영상
포털의 집단 지성을 활용한 UCC 이벤트 : 다음 파이, 네이버 지식in, 야후 허브
블로그에 태그를 달아 저장, 태깅집단에 바이러스 마케팅이 가능
신 기법 광고 서비스
- 구글 Adwords, Adwords광고, Adsense 광고
Adwords : 광고주가 구글을 통해 직접 광고 등록을 하는 시스템
콘텐츠 타깃팅(CPC)과 사이트 타깃팅(CPM)의 두 가지 방식이 있음
광고주가 관련 키워드와 광고 내용을 직접 등록하면,
검색결과 옆에 광고가 게재됨. 광고가 Click 되었을 때만 과금
Adwords 광고 : 광고주가 등록한 광고를 구글 검색결과나 지메일, 구글어스 등 구글 서 비스 안에 노출되는 광고
Adsecse 광고 : Adwords를 통해 등록한 광고주의 광고를 다른 웹 사이트에 노출되는 네 트워크 광고
광고수익을 광고 게시자에 일정 배분함. 심지어 개인 블로그에도 애드센스 광고가 게재되고 있음
-> 구글의 수익 대부분이 검색광고를 통해 만들어짐. 애드센스 광고를 통한 수익이 50%를 넘어서고 있음
※ 구글 애드센스의 Web2.0 요소
1.분산: 방문객을 기다리는 광고에서 방문객이 있는 개별 페이지를 찾아가는 광고 로 바꿈
2.참여: 네티즌의 자발적 요청으로 이루어지는 광고 시장을 개척
3.플랫폼: 중간에 영업사원 없이 누구나 웹을 이용해 간단한 입력만으로 광고주가 되거나 광고 게시자가 될 수 있는 자동화 플랫폼을 만듦
4.확장: 자사 사이트 안의 광고 영역을 모든 웹 페이지로 넓힘
웹 2.0 적용 사이트(한국의 웹)
국내에서는 물론 발상지인 미국에서조차 "웹 2.0이 도대체 무엇이냐" 에 대한 논의는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많은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한국의 웹2.0 사이트들입니다.
http://www.afreeca.com
<특징>
-실시간 인터랙티브 개인 방송 미디어 누구나 방 송의 주인공이 가능
-제작한 영상을 여러사람과 감상가능
http://www.3fishes.co.kr
<특징>
- 설치형 RSS 피드 리더
- 즐겨 찾는 블로그, 뉴스, UCC, 웹 사이트의 새로운 정보를 웹사이트를 방문 하지 않고 확인가능
http://kr.qbox.com
<특징>
- 블로그,미니홈피를 감성(음악) 으로 검색할수 있다.
- 수많은 사용자들의 블로그, 미니홈피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4. Web 2.0 결론
현재 거대 트렌드로 구체화되고 있는 웹2.0에 대해 실용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웹2.0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과거부터 이상적으로 여겨졌던 소비자 참여와 협업이 인터넷을 통해 구현되는 형태이다. 국내에서는 이용자 참여가 기반이 된 웹2.0 개념의 서비스들의 조기에 시작되었으나 대외적인 영향력에는 한계가 있었다. (미니홈피, 지식검색 등) 또 국내 포털들은 폐쇄적인 체제를 갖추고 각 포털의 방문자수를 집계해 서로 우열을 가리는 배타적인 태도 또한 ‘개방‘과 ’공유’라는 웹의 기본정신과 많이 동떨어져 있는 게 사실이다.
웹의 역동성이 가져올 기회와 위험을 직시
정보의 절대량이 폭증함에 따라 양질의 정보를 선별하는 기능이 중요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제어할 수 있는 사회적인 메커니즘을 개발
진정한 의미에서 웹 2.0은 플랫폼과 상관없이 다양한 웹 기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윈도 OS와 같은 편의성이 제공되며, 사용자가 웹을 이용하는 건지 기존 윈도 OS상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인지 헷갈릴 정도의 다양한 기능이 제공될 것이다. 기존 윈도 프로그램과 다른 점이 있다면 정보를 웹을 통해서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과 그러한 정보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웹 OS에서 파일 탐색기를 사용하듯 편리하게 정보들을 쌍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것이 아직은 시기상조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웹 2.0 세상을 지배하기 위한 전쟁은 이미 시작되었다. 구글, MS는 물론 국내 대형포털들도 잇달아 서비스를 준비중이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와 검색 아이템을 스스로 선택하여 웹 페이지를 꾸미는 피코디 같은 웹 2.0 사이트도 오픈, 네티즌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웹 2.0 세상에서의 중심은 바로 사용자다. 형태만 바꾼 채 정보만을 나열한다거나 기존과 같이 몇몇 업체 위주가 주도하는 획일화된 서비스로 굳어진다면 웹 2.0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없게 될 것이다. 국내 굴지의 포털사이트는 물론, 인터넷 비즈니스 기업들은 철저하게 사용자에 초점을 맞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웹2.0,   web2.0,   rss,   웹1.0,   웹3.0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5.06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