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과 경관무력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유산 정의

유산종류

치료법

경관무력증

경관무력증 치료

본문내용

지 임신을 유지하여 조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통 분만억제제로 Yutopar를 많이 사용한다.
① 보통 5DW 1000cc +Yutopar 2 ample mix 하여 Infusion pump 15gtt/min로 시작한다. NST를 실시하여 자궁수축의 양상을 확인한 후 Yutopar 용량을 조절한다.
② Yutopar의 용량을 증강시킬 때
5DW 1000cc +Yutopar 2 ample mix 하여 Infusion pump 15gtt 22gtt
5DW 1000cc +Yutopar 4 ample mix 하여 Infusion pump 15gtt 22gtt
③ Yutopar의 용량을 감소시킬 때
5DW 1000cc +Yutopar 2 ample mix 하여 Infusion pump 22gtt 15gtt 7gtt 경구 Yutopar 3T #3po (IV와 PO를 2시간동안 over lap)
④ IV Yutopar stop 후 산모에 따라 labor가 다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IV route는 제거하지 말고 single fluid(보통 H/D)로 유지한다.
⑤ Yutopar의 부작용
빈맥, 저혈압, 심계항진, 흉통, 진전, 오심, 구토, 기침, 두통, 열감, 저칼륨혈증 등
★ 투여중단: PR 140회 이상, BP 90/60mmHg 이하, 부정맥, 흉통, 태아심음 180회 이상
간호사는 Yutopar의 부작용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산모에게 설명하여야 한다.
태아 폐성숙을 우한 약물 투여
24~34주에 조산이 예상된다면 즉시 투여한다.
- dexamethasone 5mg을 IM으로 12시간 간격으로 4번 투여한다. (총 20mg) dexamethasone은 24시간 이후부터 7일 사이에만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1주일 마다 반복 투여해야한다.
(4) 분만시 간호
분만을 해야 하는 경우
- 산모: severe PIH, 자간증, 출혈, 감염, 심장질환, 경관개대 4cm 이상, 임신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
- 태아: 37주 이상, 자궁내 태아사망, 치명적인 태아기형, fetal distress, IUGR, 융모양막염
조산
① 계속적으로 FHR과 자궁수축 정도를 monitoring 해야 함,
→ 조산아는 저산소증에 매우 취약하여 뇌손상이 쉽게 오므로 early deceleration이라 하여도 간과하지 말아야 함.
② 파수되면 내진하여 제대탈출 유무를 확인한다.
③ 미숙아 태아에게 호흡곤란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진통제 사용은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④ 분만2기 단축과 아두보호를 위해 회음절개가 필수적이다.
⑤ 즉시 따뜻한 자리에 눕히고 신생아 출혈을 예방하도록 Vit.K 1mg을 근육주사 한다.
조산아 간호
- 조산아의 특징: 피하지방 부족, 체온조절 미숙, 위/간 기능미숙, 저항력이 약함, 태지와 솜털이 많다.
- 조산아 간호: 체온조절, 감염예방, 체중측정, V/S, 영양공급 등.
☞ 참고문헌
- 여성건강간호학Ⅱ 최연순외 수문사(2003)
- 일산병원 분만실 메뉴얼
- 3학년 1학기 모성간호학 수업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5.12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4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