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삼국의 차문화 비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일 삼국의 차문화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의 차 문화
1. 우리 차의 유래
2. 민속과 우리 차 .
3. 생활 속의 우리 차 이야기
4. 한국의 차 생활과 명상
5. 한국 차의 특징

Ⅲ. 중국의 차 문화
1. 중국 차의 유래
2. 중국의 다양한 차 문화 풍속
3. 차 예의작법
4. 중국의 차 생활과 명상
5. 중국의 다도

Ⅳ. 일본의 차 문화
1. 차의 유래
2. 차의 종류
3. 다회(茶會)의 다양한 분류
4. 다실(茶室)
5. 차를 즐기는 마음가짐

Ⅴ. 삼국의 차 문화 비교
1. 공통점
2. 차이점

Ⅵ.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말한다. 내가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데 그 어울림 속에 어떠한 불평도 복잡함도 계급도 없는 것이다. 여기에는 오직 주인과 손님의 조화와 질서만이 있다. 이 和는 敬이 없으면 제대로 되지 않는다.
敬은 말 그대로 ‘공경’이다. 내가 남과 어울려 함께하기 위해서는 남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주인은 손님을 공경하고 손님은 주인을 공경해야 한다. 다실(茶室)에 좁은 입구가 있는 것도 손님이 자기 계급을 내세우지 않고 주인을 존중하고 공경하는 마음을 되살리기 위해서이다.
淸은 깨끗하고 잘 정돈된 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다실(茶室)과 다구(茶具)를 청결히 유지하기 위한 말일 뿐만 아니라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 세속의 때를 버려야 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寂은 흔들림 없는 고요함을 말한다. 마음을 평온하게 가다듬고 행동을 가라앉히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Ⅴ. 삼국의 차 문화 비교
1. 공통점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차 문화의 공통점이라 하면 대체로 녹차를 주로 마신다는 것을 꼽을 수 있고, 그 정신적인 면에 있어서는 서양의 화려함과 사치스러움에 대비되어, 단순함과 검소함을 추구하였다. 또한 차를 마시면서 다실(茶室)안에서 서로 교류하고 소통하여 차를 마시는 것이 하나의 의사소통수단으로서 작용하기도 하였다.
2. 차이점
1) 한국
한국 차의 특징은 ‘순박한 한국미’로 대별된다. 이러한 우리 차의 특징으로는 조용하고 실제적이면서도 자유로운 것을 꼽을 수 있는데, 오늘날 까지 이어져오는 한국 차의 전통을 보면 그 순박함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차의 특징은 역시 순박하고 조용하고, 자유스러운데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차처럼 너무 실용적이지도 않고, 일본의 차처럼 너무 형식적이지도 않은 조용하고 순박한 정신을 한국 차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 차의 특징은 역시 자연스럽고 평화스러우며 고려자기가 풍겨 주는듯한 질박성에 있다. 일본 다도에 있어서의 화(和) 경(敬) 청(淸) 적(寂)을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청(淸) 경(敬) 화(和) 락(樂)이라고 표현하면 더 명확하게 일본의 차와 한국 차의 대비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하간 한국 차의 특징을 한마디로 단정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우리의 막걸리식이나 질그릇 형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면 좋고, 청화적(淸和的)이라거나 약리적(藥理的)인 실질형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2) 중국
중국의 다도는 화(和, 평화) · 정(靜, 조용함) · 이(怡, 기쁨) · 진(眞, 진솔함) 등 네 가지의 도리를 추구한다. 화(和)는 중국 다도의 철학사상의 핵심이다. 정(靜)은 중국 다도 훈련에 필히 거쳐야 할 관문이다. 이(怡)는 중국 다도 중 심신(心身)이 누리는 기쁨이다. 진(眞)은 중국 다도가 추구하는 최종적인 목표이다.
3) 일본
일본 다도의 핵심은 화경청적(和敬淸寂)이라는 네 자로 대별된다. 이것을 다도(茶道)의 사규(四規)라고 한다.
和란 ‘어울림’을 말한다. 내가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데 그 어울림 속에 어떠한 불평도 복잡함도 계급도 없는 것이다. 여기에는 오직 주인과 손님의 조화와 질서만이 있다. 이 和는 敬이 없으면 제대로 되지 않는다.
敬은 말 그대로 ‘공경’이다. 내가 남과 어울려 함께하기 위해서는 남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주인은 손님을 공경하고 손님은 주인을 공경해야 한다. 다실(茶室)에 좁은 입구가 있는 것도 손님이 자기 계급을 내세우지 않고 주인을 존중하고 공경하는 마음을 되살리기 위해서이다.
淸은 깨끗하고 잘 정돈된 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다실(茶室)과 다구(茶具)를 청결히 유지하기 위한 말일 뿐만 아니라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 세속의 때를 버려야 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寂은 흔들림 없는 고요함을 말한다. 마음을 평온하게 가다듬고 행동을 가라앉히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및 자료
◇한국
이귀례, 『한국의 차문화』, 열화당, 2005
어연스님,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차』, 현암사 , 2006
김운학, 『한국의 차문화』, 이른아침, 2004
정동주, 『한국인과 차』, 다른세상, 2004
원광대학교 평생교육원, 『한국의 차문화』, 교육교재, 2002
박동춘, 『한국 선차의 수용과 전개』, 차의 세계, 2002
정상구, 『한국다시에 표현된 선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차학회지』제1권 1호, 1995
◇중국
김경우, 『중국차의 이해』, 다도사, 2005
왕총런, 『중국의 차문화』, 에디터, 2004
석도윤 · 이다해 , 『중국 茶 문화』, 하, 2006
리우이링, 『차의 향기 : 교양으로 읽는 중국 생활 문화』, 산지니, 2006
이진수,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 차문화』, 지영사, 2007
강판권, 『차 한잔에 담은 중국의 역사』, 지호 출판사, 2006
장서 장범성 , 『중국의 의식주 문화 산책』, 한림대학교출판부, 2007
◇일본
성태종 외, 『음식문화비교론』, 대왕사, 2006
왕총런, 『중국의 차 문화』, 에디터, 2004
김운학, 『한국의 차 문화』, 이른아침, 2004
센 겐시츠 외, 『일본 다도의 마음』, 월간 다도사, 2006
난보 소케이, 기노 쓰라유키 외, 『南方錄/古今集假名序/외』시사일본어사, 1993
浜元宗俊 , 『小習事全傳』, 淡交新社, 昭和三十八年
村岡博, 『茶の本』, 岩波書店, 昭和十五年
야나기 무네요시, 『다도와 일본의 美』, 한림신서, 1996
石田雅彦, 『「茶の湯」前史の硏究: 宋代片茶文化完成から日本の茶の湯へ』, 雄山閣, 2003
苑 第五版, 岩波書店
http://www.wind.ne.jp/bee/ur.htm
http://www17.ocn.ne.jp/~verdure/yogo/yogo_ki.html#kissayoujyouki
http://www.iliketea.com/
http://ja.wikipedia.org/wiki/%E6%A0%84%E8%A5%BF
http://www17.ocn.ne.jp/~verdure/yogo/yogo_e.html
http://www.tominagaen.jp/transmission.html
http://www.h3.dion.ne.jp/~ino-chao/newpage5.html
  • 가격3,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08.05.1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4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