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장치
2.실험목적
3.실험이론
4.실험방법
2.실험목적
3.실험이론
4.실험방법
본문내용
서 면도날에 의해 실이 끊겨 초속 로 포물선운동을 하게 하였을 때 포물선운동을 한 수평거리를 , 높이를 , 진자가 지면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라 하면 진자의 수평속도 와 의 관계는
이며, 이식으로 계산된 운동에너지 값과 위치에너지 값 을 비교하여 에너지 보존법칙이 성립됨을 본다.
4.실험방법
① 그림과 같이 1m 되는 실의 한쪽은 고정대 위에 고정시키고, 한쪽에는
추를 매단다. 고정대 아래에는 면도칼을 고정시키되 추의 위쪽 약 2cm 이내
의 곳이 면도칼에 닿도록 고정시킨다. (추에서 면도날이 닿는 부분까지의 실
의 길이가 되도록 짧은 것이 좋다.)
② 추를 적당한 높이까지 위로 올린 다음 놓아 보아 추의 실이 끊겨 추가
떨어지는 위치를 살펴 그 위치에 고무판을 깔고 추가 떨어지는 위치가 표시
되게 고무판 위에 먹지와 종이를 올려놓은 다음 움직이지 않도록 압핀으로
고정시킨다.
③ 추를 실에 매달기 전에 추의 무게를 천칭으로 측정한 다음 추를 1m 길
이의 실에 매달고 높이 H를 자로 측정한다.
④ 실을 팽팽하게 하여 추를 높이 Δ 만큼 높인 후 놓아준다. 이때 Δ 를
측정해 둔다.
⑤ 추의 실이 면도날에 끊겨 포물선운동을 하면서 떨어진다. 그러면 추가
떨어진 위치가 먹지에 의해 표시되었을 것이다. 이 위치와 추의 연직기준점
과의 거리 X를 측정한다. (이 기준점은 연직추를 이용해서 정한다.)
⑥ 이 data로부터 x방향속도 를 구하여 이때의 운동에너지
를 구한다. 또한, 위치에너지의 변화 를 구한다.
⑦ 위의 과정을 를 변화시켜서 측정하여 기록한다. 이때의 높이 H는 일
정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며, 이식으로 계산된 운동에너지 값과 위치에너지 값 을 비교하여 에너지 보존법칙이 성립됨을 본다.
4.실험방법
① 그림과 같이 1m 되는 실의 한쪽은 고정대 위에 고정시키고, 한쪽에는
추를 매단다. 고정대 아래에는 면도칼을 고정시키되 추의 위쪽 약 2cm 이내
의 곳이 면도칼에 닿도록 고정시킨다. (추에서 면도날이 닿는 부분까지의 실
의 길이가 되도록 짧은 것이 좋다.)
② 추를 적당한 높이까지 위로 올린 다음 놓아 보아 추의 실이 끊겨 추가
떨어지는 위치를 살펴 그 위치에 고무판을 깔고 추가 떨어지는 위치가 표시
되게 고무판 위에 먹지와 종이를 올려놓은 다음 움직이지 않도록 압핀으로
고정시킨다.
③ 추를 실에 매달기 전에 추의 무게를 천칭으로 측정한 다음 추를 1m 길
이의 실에 매달고 높이 H를 자로 측정한다.
④ 실을 팽팽하게 하여 추를 높이 Δ 만큼 높인 후 놓아준다. 이때 Δ 를
측정해 둔다.
⑤ 추의 실이 면도날에 끊겨 포물선운동을 하면서 떨어진다. 그러면 추가
떨어진 위치가 먹지에 의해 표시되었을 것이다. 이 위치와 추의 연직기준점
과의 거리 X를 측정한다. (이 기준점은 연직추를 이용해서 정한다.)
⑥ 이 data로부터 x방향속도 를 구하여 이때의 운동에너지
를 구한다. 또한, 위치에너지의 변화 를 구한다.
⑦ 위의 과정을 를 변화시켜서 측정하여 기록한다. 이때의 높이 H는 일
정하게 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