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와 강판에 곱게 갈은 생강을 한줌 정도 섞어서 종이에 펴고 환부에 붙여 준다. 하루에 한차례씩 약이 말라서 굳어질 때마다 새것으로 갈아서 붙여 주 면 차츰 부기가 빠지고 열이 내리면서 고통이 사라지고 낫는다.
12) 쑥- 쑥의 줄기와 잎을 막 찧어서 환부에 그대로 붙이고 붕대를 감아 준다. 하루에 한차례 씩 약이 굳어질 때마다 새것으로 바꾸어 갈아붙이는데 계속 4∼5일간만 치료하면 놀라운 효과가 있게 된다.
13) 미꾸라지- 미꾸라지의 배를 갈라서 뼈를 발라내고 넓죽하게 편 채 그대로 환부에 대고서 붙여 준다. 말라버리면 다시 새것으로 2∼3일간만 계속해서 갈아붙이면 쉽게 낫는다.
14) 소황백(燒黃栢) 7.5g, 황백(黃栢) 11g, 치자가루 7.5g, 장뇌(樟腦)를 약간 섞고 식초를 부어 반죽을 한 다음 이 약을 헝겊에 두껍게 펴서 환부에 붙여 주는데 아침저녁으로 하루에 두차례씩 새것으로 갈아 붙여 주면 차츰 고통이 사라지고 발리 치료가 되는 놀라운 효과가 있다. 이 약은 염좌에도 효과가 있다.
15) 고추가루 1.8g에 치자가루를 잘 섞은 다음 달걀의 흰자로 반죽을 해서 환부에 듬뿍 바르고는 유지로 덮고 붕대로 감아 준다. 굳어질 때마다 새것으로 3∼4회 정도만 갈아붙이면 차츰 열이 내리고 고통이 사라지며 효과가 있다.
5-3 타박상의 부위별 민간요법.
1) 전신 타박통에 생계
온몸에 타박상을 입어 용신을 못할 정도로 아픈 경우에는 생계를 곱게 찧어 뜨거운 술로 양끝 먹는다. 취하면 더욱 좋다.
2) 지렁이 소분 (燒粉)
큰 지렁이 (목부분이 흰 것)를 밀폐된 그릇 속에 넣고 태워 그 가루를 술로 마신다.
3) 부 추
타박상으로 힘줄이 상한 경우에는 부추를 곱게 찧어 환부에 두텁게 발라준다. 속효를 본다고 한다.
4) 볶은 계껍질과 계장
타박상으로 힘줄이 끊긴 경우에는 생계의 껍데기와 계장을 함께 짜어 약간 볶아 상할 곳에 붙인다.
5) 힘줄 잇는데 수세미 잎
수세미의 두터운 잎 (생것)을 이른 아침에 따다가 그늘에서 말려 가루로 하여 두텁게 붙여 둔다.
6) 타박으로 머리가 터진데 반하(半夏)와 식초
타박으로 머리의 이마부위가 터진데는 반하(半夏)를 곱게 가루로 하여 식초에 개어 바르면 매우 효과가 크다.
7) 타박상으로 버리뼈가 들어난 경우
오배자(五倍子)가루와 백반가루를 반반 섞어 상처에 발라 주면 피가 즉시 머지고 상처도 빨리 아문다.
1. 풀 세 가지 : 병원이 먼 곳에서 상처를 입으면 즉시 풀 세 가지 (어떤 것이든 상관 없다고 함)를 꼭꼭 씹어서 상처에 두껍게 발라두면 덧나지 않고 잘 아문다(美). 그렇게 안하고 시간을 끌면 병원에 가도 상처가 오래 가며 흠집이 남는다.
2. 거미를 붕대 : 어떠한 상처든 거미줄을 많이 모아 넓적한 붕대처럼 만들어 상처에 처매 둔다. 덧나지 않고 잘 아문다.
8) 뇌골(腦骨)이 상한데 벌꿀과 총백
뇌골 부위에 타박을 입어 뼈가 상한 경우에는 벌꿀과 총백(蔥白 : 파의 흰 부분)을 함께 짜어 두텁게 바르면 속하게 낫는다.
9) 타박으로 목뼈가 삔 경우
질이 좋은 붕사가루를 등심(燈心)으로 찍어 눈의 네 귀에 넣어준다. 눈물이 나오며 곧 후련해지는데 3번만 하면 낫는다.
10) 눈알에 타박을 입은데는 호박
호박의 껍질과 속을 버리고 곱게 짜어 눈위에 두텁게 바르고 수건으로 움직이지 않게 싸매둔다. 곧 부기가 가시고 아픔도 멈춘다. 마르면 갈아 붙인다. 눈동자만 상하지 않았다면 시력에 지장이 없게된다. 호박은 늙은것일수록 좋다.
11) 소의 침 (추液)
타박으로 눈알을 다친 경우에 소의 침을 하루 세번 눈알에 발라 주고 바람을 피하도록 한다. 술과 같은 열성(熱性)음식을 피해야 한다. 눈알에서 피가 나오는 경우에도 잘 듣는다.
12) 허리를 삔데는 백포도(白葡萄)
허리를 급히 삐었을때는 백포도 말린것을 1량 좋은 술에 끓여 마신다. 중증도 두번만 마시면 완쾌 한다고 한다.
13) 손발 삔데 강총병(薑蔥餠)
생강과 파의 흰부분을 반반 섞어 곱게 찧어 밀가루로 반죽해 떡같이 만들어 뜨겁게 하여 환부를 덮는다.
14) 생대황 (生大黃)
손발 삔 부위에 생대황과 생강을 찧어 즙을 발라주면 빨리 낫는다.
1. 빵굽는 소다 : 소다를 물에 타서 상처를 씻어 주고 마르기 전에 후추 가루를 고루 뿌려 둔다(美). 좀 아프지만 덧나지 않고 잘 낫는다.
2. 컴프리 뿌리 : 짓찧어 상처에 두껍게 처매는 것도 널리 알려진 치료법이다. 아주 잘 낫는다.
레포트를 마치면서..
타박상을 주제로 레포트를 조사하면서 타박상이란 것은 우리 생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어느 곳에 부딛 치거나 혹은 붓거나 혹은 멍이 들기 마련인데 이런 타박상을 그냥 얼음으로 찜질만 하는 줄로만 알았었는데 이번 레포트를 조사하면서 각 부위별 응급 처치법 및 양방이나 한방에서는 의학적으로 어떻게 치료를 하게되며 우리가 집에서 민간요법으로는 많은 방법으로 각 부위별 치료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민간요법으로 인한 우리 조상들의 오랜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었다. 단지 아쉬웠던 것은 의학서적을 많이 찾아 봤지만 타박상이란 질병은 너무도 흔한 병이여서 그런지 어떤 의학서적에서도 자세히 나와 있지 않는 바람에 레포트를 조사하면서 한방이나 민간 요법 쪽으로는 많은 조사를 했지만 양방에 관해서는 자료를 많이 구하지 못해서 아쉬웠다.
이번 계기로 흔히 지나칠 수 있던 타박상이란 질병에 대해서 좀더 많이 알 수 있었던 좋은 기회 였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인터넷 네이버 백과 사전 http://www.naver.com/
네이버 이미지 사진 http://www.naver.com/
한국 토종 약초 연구소 http://kherb.netian.com/
한의사 서영민 홈페이지 http://www.iamgooddoctor.com/totaltrauma.htm
안양 보화당 한의원 홈페이지 http://bohwadang.co.kr
불교한방병원 http://bulkyooh.co.kr
생활건강정보 메디칼 http://www.samna.co.kr/ko.htm
연세대학교 의대 의학정보 http://medicine.yonsei.ac.kr/
12) 쑥- 쑥의 줄기와 잎을 막 찧어서 환부에 그대로 붙이고 붕대를 감아 준다. 하루에 한차례 씩 약이 굳어질 때마다 새것으로 바꾸어 갈아붙이는데 계속 4∼5일간만 치료하면 놀라운 효과가 있게 된다.
13) 미꾸라지- 미꾸라지의 배를 갈라서 뼈를 발라내고 넓죽하게 편 채 그대로 환부에 대고서 붙여 준다. 말라버리면 다시 새것으로 2∼3일간만 계속해서 갈아붙이면 쉽게 낫는다.
14) 소황백(燒黃栢) 7.5g, 황백(黃栢) 11g, 치자가루 7.5g, 장뇌(樟腦)를 약간 섞고 식초를 부어 반죽을 한 다음 이 약을 헝겊에 두껍게 펴서 환부에 붙여 주는데 아침저녁으로 하루에 두차례씩 새것으로 갈아 붙여 주면 차츰 고통이 사라지고 발리 치료가 되는 놀라운 효과가 있다. 이 약은 염좌에도 효과가 있다.
15) 고추가루 1.8g에 치자가루를 잘 섞은 다음 달걀의 흰자로 반죽을 해서 환부에 듬뿍 바르고는 유지로 덮고 붕대로 감아 준다. 굳어질 때마다 새것으로 3∼4회 정도만 갈아붙이면 차츰 열이 내리고 고통이 사라지며 효과가 있다.
5-3 타박상의 부위별 민간요법.
1) 전신 타박통에 생계
온몸에 타박상을 입어 용신을 못할 정도로 아픈 경우에는 생계를 곱게 찧어 뜨거운 술로 양끝 먹는다. 취하면 더욱 좋다.
2) 지렁이 소분 (燒粉)
큰 지렁이 (목부분이 흰 것)를 밀폐된 그릇 속에 넣고 태워 그 가루를 술로 마신다.
3) 부 추
타박상으로 힘줄이 상한 경우에는 부추를 곱게 찧어 환부에 두텁게 발라준다. 속효를 본다고 한다.
4) 볶은 계껍질과 계장
타박상으로 힘줄이 끊긴 경우에는 생계의 껍데기와 계장을 함께 짜어 약간 볶아 상할 곳에 붙인다.
5) 힘줄 잇는데 수세미 잎
수세미의 두터운 잎 (생것)을 이른 아침에 따다가 그늘에서 말려 가루로 하여 두텁게 붙여 둔다.
6) 타박으로 머리가 터진데 반하(半夏)와 식초
타박으로 머리의 이마부위가 터진데는 반하(半夏)를 곱게 가루로 하여 식초에 개어 바르면 매우 효과가 크다.
7) 타박상으로 버리뼈가 들어난 경우
오배자(五倍子)가루와 백반가루를 반반 섞어 상처에 발라 주면 피가 즉시 머지고 상처도 빨리 아문다.
1. 풀 세 가지 : 병원이 먼 곳에서 상처를 입으면 즉시 풀 세 가지 (어떤 것이든 상관 없다고 함)를 꼭꼭 씹어서 상처에 두껍게 발라두면 덧나지 않고 잘 아문다(美). 그렇게 안하고 시간을 끌면 병원에 가도 상처가 오래 가며 흠집이 남는다.
2. 거미를 붕대 : 어떠한 상처든 거미줄을 많이 모아 넓적한 붕대처럼 만들어 상처에 처매 둔다. 덧나지 않고 잘 아문다.
8) 뇌골(腦骨)이 상한데 벌꿀과 총백
뇌골 부위에 타박을 입어 뼈가 상한 경우에는 벌꿀과 총백(蔥白 : 파의 흰 부분)을 함께 짜어 두텁게 바르면 속하게 낫는다.
9) 타박으로 목뼈가 삔 경우
질이 좋은 붕사가루를 등심(燈心)으로 찍어 눈의 네 귀에 넣어준다. 눈물이 나오며 곧 후련해지는데 3번만 하면 낫는다.
10) 눈알에 타박을 입은데는 호박
호박의 껍질과 속을 버리고 곱게 짜어 눈위에 두텁게 바르고 수건으로 움직이지 않게 싸매둔다. 곧 부기가 가시고 아픔도 멈춘다. 마르면 갈아 붙인다. 눈동자만 상하지 않았다면 시력에 지장이 없게된다. 호박은 늙은것일수록 좋다.
11) 소의 침 (추液)
타박으로 눈알을 다친 경우에 소의 침을 하루 세번 눈알에 발라 주고 바람을 피하도록 한다. 술과 같은 열성(熱性)음식을 피해야 한다. 눈알에서 피가 나오는 경우에도 잘 듣는다.
12) 허리를 삔데는 백포도(白葡萄)
허리를 급히 삐었을때는 백포도 말린것을 1량 좋은 술에 끓여 마신다. 중증도 두번만 마시면 완쾌 한다고 한다.
13) 손발 삔데 강총병(薑蔥餠)
생강과 파의 흰부분을 반반 섞어 곱게 찧어 밀가루로 반죽해 떡같이 만들어 뜨겁게 하여 환부를 덮는다.
14) 생대황 (生大黃)
손발 삔 부위에 생대황과 생강을 찧어 즙을 발라주면 빨리 낫는다.
1. 빵굽는 소다 : 소다를 물에 타서 상처를 씻어 주고 마르기 전에 후추 가루를 고루 뿌려 둔다(美). 좀 아프지만 덧나지 않고 잘 낫는다.
2. 컴프리 뿌리 : 짓찧어 상처에 두껍게 처매는 것도 널리 알려진 치료법이다. 아주 잘 낫는다.
레포트를 마치면서..
타박상을 주제로 레포트를 조사하면서 타박상이란 것은 우리 생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어느 곳에 부딛 치거나 혹은 붓거나 혹은 멍이 들기 마련인데 이런 타박상을 그냥 얼음으로 찜질만 하는 줄로만 알았었는데 이번 레포트를 조사하면서 각 부위별 응급 처치법 및 양방이나 한방에서는 의학적으로 어떻게 치료를 하게되며 우리가 집에서 민간요법으로는 많은 방법으로 각 부위별 치료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민간요법으로 인한 우리 조상들의 오랜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었다. 단지 아쉬웠던 것은 의학서적을 많이 찾아 봤지만 타박상이란 질병은 너무도 흔한 병이여서 그런지 어떤 의학서적에서도 자세히 나와 있지 않는 바람에 레포트를 조사하면서 한방이나 민간 요법 쪽으로는 많은 조사를 했지만 양방에 관해서는 자료를 많이 구하지 못해서 아쉬웠다.
이번 계기로 흔히 지나칠 수 있던 타박상이란 질병에 대해서 좀더 많이 알 수 있었던 좋은 기회 였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인터넷 네이버 백과 사전 http://www.naver.com/
네이버 이미지 사진 http://www.naver.com/
한국 토종 약초 연구소 http://kherb.netian.com/
한의사 서영민 홈페이지 http://www.iamgooddoctor.com/totaltrauma.htm
안양 보화당 한의원 홈페이지 http://bohwadang.co.kr
불교한방병원 http://bulkyooh.co.kr
생활건강정보 메디칼 http://www.samna.co.kr/ko.htm
연세대학교 의대 의학정보 http://medicine.yonsei.ac.kr/
추천자료
아동학대
스포츠시설 계획적인 정비과 경영관리
행동 문제 아동
근골격 또는 관절기능장애 아동
뇌졸중 간호 케이스
아동학대에 대한 국내외 사례 및 문제점 해결방안& 예방프로그램 포함(A+레포트)★★★★★
(아동복지)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선방안 - 2007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 아...
아동학대의 유형과 그 문제점에 대해 논하시오.
(아동복지론) 아동학대 예방 아동보호서비스 보고서
어린이집 안전사고의 문제에 대해 여러분을 생각을 피력하십시오.
노인 학대 문제 정의, 유형, 특징 및, 실태, 심각성, 대안 정책 서비스, 개선방안
★추천자료★[게슈탈트 놀이치료] 미약함에서 대담함까지: 게슈탈트 놀이치료 - 게슈탈트 놀이...
[성인간호학] 흉곽외상 (늑골골절, 연가양흉곽)
[간호학] 두부수술 종류 및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