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 왜 고시원을 선택했나?
Ⅰ. 고시원이란?
Ⅱ. 고시원 사용자 분석
ⅰ. 대학생
ⅱ. 직장인
ⅲ. 수험생(대학입시)
Ⅲ. 대학생 & 직장인이 이용하는 고시원(A)이란?
ⅰ. 왜 고시원을 선택했나?
ⅱ. 생활패턴
ⅲ. 고시원의 장점
ⅳ. 고시원의 단점
ⅴ. 고시원 사진 - 사진으로 본 고시원
Ⅳ. 수험생(대학입시)이 이용하는 고시원(B)이란?
ⅰ. 왜 고시원을 선택했나?
ⅱ. 생활패턴
ⅲ. 고시원의 장점
ⅳ. 고시원의 단점
ⅴ. 고시원 사진 - 사진으로 본 고시원
Ⅴ. 이용자가 생각하는 고시원 문제점
Ⅵ. 기사로 본 고시원(A) 문제점
Ⅶ. 미래의 고시원이 나아갈 방향
Epilogue. 에세이를 마치며
Ⅰ. 고시원이란?
Ⅱ. 고시원 사용자 분석
ⅰ. 대학생
ⅱ. 직장인
ⅲ. 수험생(대학입시)
Ⅲ. 대학생 & 직장인이 이용하는 고시원(A)이란?
ⅰ. 왜 고시원을 선택했나?
ⅱ. 생활패턴
ⅲ. 고시원의 장점
ⅳ. 고시원의 단점
ⅴ. 고시원 사진 - 사진으로 본 고시원
Ⅳ. 수험생(대학입시)이 이용하는 고시원(B)이란?
ⅰ. 왜 고시원을 선택했나?
ⅱ. 생활패턴
ⅲ. 고시원의 장점
ⅳ. 고시원의 단점
ⅴ. 고시원 사진 - 사진으로 본 고시원
Ⅴ. 이용자가 생각하는 고시원 문제점
Ⅵ. 기사로 본 고시원(A) 문제점
Ⅶ. 미래의 고시원이 나아갈 방향
Epilogue. 에세이를 마치며
본문내용
이 심하게 나타나는 곳이기도 하다. 코를 고는 사람, 이를 가는 사람 등 여러 부류의 사람이 함께 생활하기에 갈등이 고조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식당 겸 Self 휴게실이다. 영양사가 상주하여 제 시간에 제대로 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식사시간 이외에는 스터디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어 학생들의 학습 증진에 도움을 주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곳은 고시원 사무실로써 모든 통제를 할 수 있는 공간이다. CCTV를 통하여 열람실과 식당을 볼 수 있어 학생들의 학습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생활 상담을 하는 공간으로 힘든 수험생활에 도움을 주는 공간이다. 그리고 복사, 인쇄 등 수험생에게 필요한 각종 물품을 비치해두어 편하게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지금까지 고시원 A, B의 장단점과 이용자의 생활패턴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많은 내용이 있었지만, 이 둘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고시원(A)
고시원(B)
주사용자
대학생, 직장인, 일용직근로자
수험생(대학입시)
이용목적
대부분 잠자리를 위해
취침 + 식사 + 학습 등 다양
가 격
싸다(약 ₩400,000)
비싸다(약 ₩900,000)
제약요인
거의 없음
많음
장 점
구하기 용이
이용목적에 최적합
단 점
화재 가능성
규칙 부적응자 발생
지금까지 우리는 고시원 A, B를 살펴보았다. 지금부터는 위와 같은 고시원에서 생활하는 실사용자가 생각하는 문제점과 사회적으로 알려진 문제점을 알아보고 앞으로 고시원이라는 주거공간이 어떻게 변모해야 할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Ⅴ. 이용자가 생각하는 고시원 문제점
고시원 사용자의 말을 들어보면 그들이 생각하는 문제점에는 크게 화재위험성, 환기불량, 삭막함, 편의시설의 부족 등이 있었다.
첫째, 화재위험성이다. 잊을만하면 보도되는 고시원 화재사건의 영향이 크다. 그러한 보도가 내가 생활하는 고시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만연하게 된 것이다.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소방시설(완강기, 소화기 등)과 제대로 받지 않은 안전점검이 문제이다.
둘째, 환기불량이다. 고시원의 쪽방화가 되면서 건물과 건물 사이에 고시원이 들어서게 되었고 그에 따라 창문이 없거나 있어도 옆 건물에 막혀 채광이나 환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인간은 쾌적하게 살 권리와 일조권이라는 권리를 향유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셋째, 삭막함이다. 고시원은 철저히 개인주의 생활이 만연한 곳이다. Face-To-Face를 실현시킬 방안을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넷째, 편의시설의 부족이다. 요 근래에 지어진 고시원에는 PC실이나, 체력단련실 등의 편의시설을 제공해주지만 대다수의 고시원에는 이러한 편의시설 자체가 없다. 따라서 입주자간의 상호접촉을 유인하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Ⅵ. 기사로 본 고시원(A) 문제점
←‘불나면 끝’이라는 무시무시한 제목으로 시작하는 이 기사는 고시원의 문제를 여실히 나타내주는 기사이다. 예전부터 이러한 보도는 계속되었지만 아직도 시정이 되지 않아 고시원의 입주자들의 목숨을 담보로 영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용자가 생각하는 고시원의 문제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화재의 위험성이 있었다. 바로 그러한 것을 대변하는 듯 오른쪽과 같은 기사가 셀 수 없이 보도되고 있다. 얼마 전에는 잠실동 고시원 방화사건으로 한동안 시끄러웠던 적도 있었다.
Ⅶ. 미래의 고시원이 나아갈 방향
앞으로도 고시원이라는 주거공간은 없어지지 않을 전망이다. 그렇다면 고시원 입주자들의 안전을 위해서 미래의 고시원은 어떠한 모습으로 변모해야 할까? 크게 제도적인 부분과 고시원 자체적인 수정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관련 규정을 재정비하고 안전검사를 철저히 하는 것이다. 또한 고시원의 “임대주택화”라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로, “관련 규정의 재정비” 사업이다. 현행법상으로는 고시원은 신고만 하면 누구든지 운영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을 허가제로 바꾸면 당국에서 현황파악도 용이하고 안전시설 미비를 규제하기에도 편리할 것이다. 또한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소방법, 건축법 등 관련 법규를 충족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위험요소를 미연에 제거한다는 장점도 있다. 덧붙여 정기안전검사를 의무적으로 받게 함으로써 가장 큰 문제였던 화재의 가능성을 애초에 없애버리게끔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지어지게 될 고시원에는 의무적으로 방마다 창문을 갖추게끔 하여 환기(쾌적하게 살 권리)와 채광(일조권)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할 것이고, 건물과 건물 사이의 거리도 규제하여 혹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옆 건물로 옮겨 붙는 일이 없게 하는 등의 실질적으로 유용한 법규를 재정비해야할 것이다.
두 번째로, 고시원의 “매입형 임대주택사업”이다. 고시원은 매우 열악한 주거 공간이다.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나쁜 주거 공간을 없애는 것이지만, 그렇게 한다면 그곳에서라도 살 수 있었던 사람들을 거리로 내쫓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매입형 임대주택사업”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것으로써 도심 주변에 값싼 연립주택을 사들인 뒤 개조해 고시원의 수요 계층인 저소득층 독신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
또한 고시원 자체적으로 수정할 부분으로는 고시원 입주자들간의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여 삭막함을 해소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휴게실을 마련하거나, 체력단련실을 제공하여 입주자간의 대면접촉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일본에서 골목을 좁게 만들어 주민간의 대화를 이끌어 내려고 했던 것처럼 인위적으로라도 그러한 상황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것은 제도를 정비하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비용의 문제는 있겠지만 주거 공간이라는 1차적 목적을 생각한다면 사용자들의 혜택에 비하여 비용은 무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Epilogue. 에세이를 마치며
현재 나는 공인회계사를 준비하고 있고 고시원 생활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때에 고시원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에세이를 썼는데 솔직히 고시원에 들어가기가 꺼려진다. 하지만 현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조금씩 변모해가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우려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번 에세이를 준비하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식당 겸 Self 휴게실이다. 영양사가 상주하여 제 시간에 제대로 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식사시간 이외에는 스터디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어 학생들의 학습 증진에 도움을 주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곳은 고시원 사무실로써 모든 통제를 할 수 있는 공간이다. CCTV를 통하여 열람실과 식당을 볼 수 있어 학생들의 학습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생활 상담을 하는 공간으로 힘든 수험생활에 도움을 주는 공간이다. 그리고 복사, 인쇄 등 수험생에게 필요한 각종 물품을 비치해두어 편하게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지금까지 고시원 A, B의 장단점과 이용자의 생활패턴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많은 내용이 있었지만, 이 둘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고시원(A)
고시원(B)
주사용자
대학생, 직장인, 일용직근로자
수험생(대학입시)
이용목적
대부분 잠자리를 위해
취침 + 식사 + 학습 등 다양
가 격
싸다(약 ₩400,000)
비싸다(약 ₩900,000)
제약요인
거의 없음
많음
장 점
구하기 용이
이용목적에 최적합
단 점
화재 가능성
규칙 부적응자 발생
지금까지 우리는 고시원 A, B를 살펴보았다. 지금부터는 위와 같은 고시원에서 생활하는 실사용자가 생각하는 문제점과 사회적으로 알려진 문제점을 알아보고 앞으로 고시원이라는 주거공간이 어떻게 변모해야 할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Ⅴ. 이용자가 생각하는 고시원 문제점
고시원 사용자의 말을 들어보면 그들이 생각하는 문제점에는 크게 화재위험성, 환기불량, 삭막함, 편의시설의 부족 등이 있었다.
첫째, 화재위험성이다. 잊을만하면 보도되는 고시원 화재사건의 영향이 크다. 그러한 보도가 내가 생활하는 고시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만연하게 된 것이다.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소방시설(완강기, 소화기 등)과 제대로 받지 않은 안전점검이 문제이다.
둘째, 환기불량이다. 고시원의 쪽방화가 되면서 건물과 건물 사이에 고시원이 들어서게 되었고 그에 따라 창문이 없거나 있어도 옆 건물에 막혀 채광이나 환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인간은 쾌적하게 살 권리와 일조권이라는 권리를 향유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셋째, 삭막함이다. 고시원은 철저히 개인주의 생활이 만연한 곳이다. Face-To-Face를 실현시킬 방안을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넷째, 편의시설의 부족이다. 요 근래에 지어진 고시원에는 PC실이나, 체력단련실 등의 편의시설을 제공해주지만 대다수의 고시원에는 이러한 편의시설 자체가 없다. 따라서 입주자간의 상호접촉을 유인하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Ⅵ. 기사로 본 고시원(A) 문제점
←‘불나면 끝’이라는 무시무시한 제목으로 시작하는 이 기사는 고시원의 문제를 여실히 나타내주는 기사이다. 예전부터 이러한 보도는 계속되었지만 아직도 시정이 되지 않아 고시원의 입주자들의 목숨을 담보로 영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용자가 생각하는 고시원의 문제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화재의 위험성이 있었다. 바로 그러한 것을 대변하는 듯 오른쪽과 같은 기사가 셀 수 없이 보도되고 있다. 얼마 전에는 잠실동 고시원 방화사건으로 한동안 시끄러웠던 적도 있었다.
Ⅶ. 미래의 고시원이 나아갈 방향
앞으로도 고시원이라는 주거공간은 없어지지 않을 전망이다. 그렇다면 고시원 입주자들의 안전을 위해서 미래의 고시원은 어떠한 모습으로 변모해야 할까? 크게 제도적인 부분과 고시원 자체적인 수정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관련 규정을 재정비하고 안전검사를 철저히 하는 것이다. 또한 고시원의 “임대주택화”라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로, “관련 규정의 재정비” 사업이다. 현행법상으로는 고시원은 신고만 하면 누구든지 운영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을 허가제로 바꾸면 당국에서 현황파악도 용이하고 안전시설 미비를 규제하기에도 편리할 것이다. 또한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소방법, 건축법 등 관련 법규를 충족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위험요소를 미연에 제거한다는 장점도 있다. 덧붙여 정기안전검사를 의무적으로 받게 함으로써 가장 큰 문제였던 화재의 가능성을 애초에 없애버리게끔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지어지게 될 고시원에는 의무적으로 방마다 창문을 갖추게끔 하여 환기(쾌적하게 살 권리)와 채광(일조권)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할 것이고, 건물과 건물 사이의 거리도 규제하여 혹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옆 건물로 옮겨 붙는 일이 없게 하는 등의 실질적으로 유용한 법규를 재정비해야할 것이다.
두 번째로, 고시원의 “매입형 임대주택사업”이다. 고시원은 매우 열악한 주거 공간이다.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나쁜 주거 공간을 없애는 것이지만, 그렇게 한다면 그곳에서라도 살 수 있었던 사람들을 거리로 내쫓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매입형 임대주택사업”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것으로써 도심 주변에 값싼 연립주택을 사들인 뒤 개조해 고시원의 수요 계층인 저소득층 독신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
또한 고시원 자체적으로 수정할 부분으로는 고시원 입주자들간의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여 삭막함을 해소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휴게실을 마련하거나, 체력단련실을 제공하여 입주자간의 대면접촉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일본에서 골목을 좁게 만들어 주민간의 대화를 이끌어 내려고 했던 것처럼 인위적으로라도 그러한 상황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것은 제도를 정비하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비용의 문제는 있겠지만 주거 공간이라는 1차적 목적을 생각한다면 사용자들의 혜택에 비하여 비용은 무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Epilogue. 에세이를 마치며
현재 나는 공인회계사를 준비하고 있고 고시원 생활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때에 고시원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에세이를 썼는데 솔직히 고시원에 들어가기가 꺼려진다. 하지만 현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조금씩 변모해가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우려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번 에세이를 준비하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