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예 비 레 포 트
1. 실험 일자
2. 실험 제목
3. 실험 목적
4. 시약 및 기구
5. 실험 원리 및 관련 이론 내용
6. 실험 방법
7. 고찰 및 참고 문헌
◈ 결 과 레 포 트
1. 피펫의 보정
2. 스테아르산 용액 한 방울이 덮은 표면적
3. 스테아르산 단층막의 두께 측정
4. 탄소 원자의 크기와 부피
5. 탄소 원자 1몰의 부피
6. 아보가드로 수의 계산
7. 결론 및 고찰
1. 실험 일자
2. 실험 제목
3. 실험 목적
4. 시약 및 기구
5. 실험 원리 및 관련 이론 내용
6. 실험 방법
7. 고찰 및 참고 문헌
◈ 결 과 레 포 트
1. 피펫의 보정
2. 스테아르산 용액 한 방울이 덮은 표면적
3. 스테아르산 단층막의 두께 측정
4. 탄소 원자의 크기와 부피
5. 탄소 원자 1몰의 부피
6. 아보가드로 수의 계산
7.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1.00ml에 해당하는 헥세인의 방울 수 (69 , 73)
헥세인 한 방울의 부피 (1/68ml 방울 , 1/73ml 방울)
2. 스테아르산 용액 한 방울이 덮은 표면적
단층막의 직경 (6.5cm , 7.0cm)
단층막의 넓이 π(6.5/2)^2 = 33.16cm^2 π(7.0/2)^2 = 38.47cm^2
3. 스테아르산 단층막의 두께
스테아르산 한 방울의 질량 7.2 x 10^-6 6.8 x 10^-6 ml
스테아르산 한 방울의 부피 7.7 x 10^-6 7.2 x 10^-6 ml
단층막의 넓이 (물 표면적과 같음) 33.16cm^2 38.47cm^2
단층막의 두께 (스테아르산 부피/단층막의 넓이 = 두께) 2.3 x 10^-7 1.9 x 10^-7 cm
4. 탄소 원자의 크기와 부피
단층막의 두께로부터 계산한 탄소의 크기 (스테아르산은 탄소 원자 18개가 연결된 것으로 생각한다.)
= 1.3 x 10^-8 , 1.1 x 10^-8 cm
탄소 원자가 정육면체라고 가정했을 때의 부피
2.2 x 10^-24 1.3 x 10^-24
5. 탄소 원자 1몰의 부피 = 12.00g/mol -> 3.42ml/mol -> Vm
다이아몬드의 밀도(3.51 g/cm)로부터 계산한 탄소의 몰 부피
3.42 g/mol
6. 아보가드로 수 계산
탄소의 몰 부피와 실험에서 얻은 탄소 원자의 부피로부터 계산한 아보가드로 수
Na = Vm/V1 1실험 1.6 x 10^24 2실험 2.63 x 10^24
실제 아보가드로 수와 비교해 본다. 6.02 x 10^23
7. 결론 및 고찰
헥세인 한방울의 부피를 통해서 스테아르산 한방울의 질량과 부피를 알 수 있었고 단층막의 직경과 넓이를 구함으로서 단층막의 두께도 알 수 있었다. 단층막의 두께로부터 계산한 탄소의 크기와 그에 따른 탄소원자의 부피를 알았고 이미 알고 있었던 탄소원자 1몰의 부피 3.42ml/mol 을 이용하여 Na=Vm/V1 라는 식으로 아보가드로 수를 계산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큰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1. 송화가루의 양이 너무 많아서 원형이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
2. 헥세인 방울 수를 잴 때에도 눈금실린더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3. 스포이드 피펫을 수직으로 세우지 않고 헥세인 방울을 세었다.
이러헌 점 때문에 아보가드로 수 6.02 x 10^23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위의 추측해본 결과를 간과하지 않는다면 더 정확한 실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헥세인 한 방울의 부피 (1/68ml 방울 , 1/73ml 방울)
2. 스테아르산 용액 한 방울이 덮은 표면적
단층막의 직경 (6.5cm , 7.0cm)
단층막의 넓이 π(6.5/2)^2 = 33.16cm^2 π(7.0/2)^2 = 38.47cm^2
3. 스테아르산 단층막의 두께
스테아르산 한 방울의 질량 7.2 x 10^-6 6.8 x 10^-6 ml
스테아르산 한 방울의 부피 7.7 x 10^-6 7.2 x 10^-6 ml
단층막의 넓이 (물 표면적과 같음) 33.16cm^2 38.47cm^2
단층막의 두께 (스테아르산 부피/단층막의 넓이 = 두께) 2.3 x 10^-7 1.9 x 10^-7 cm
4. 탄소 원자의 크기와 부피
단층막의 두께로부터 계산한 탄소의 크기 (스테아르산은 탄소 원자 18개가 연결된 것으로 생각한다.)
= 1.3 x 10^-8 , 1.1 x 10^-8 cm
탄소 원자가 정육면체라고 가정했을 때의 부피
2.2 x 10^-24 1.3 x 10^-24
5. 탄소 원자 1몰의 부피 = 12.00g/mol -> 3.42ml/mol -> Vm
다이아몬드의 밀도(3.51 g/cm)로부터 계산한 탄소의 몰 부피
3.42 g/mol
6. 아보가드로 수 계산
탄소의 몰 부피와 실험에서 얻은 탄소 원자의 부피로부터 계산한 아보가드로 수
Na = Vm/V1 1실험 1.6 x 10^24 2실험 2.63 x 10^24
실제 아보가드로 수와 비교해 본다. 6.02 x 10^23
7. 결론 및 고찰
헥세인 한방울의 부피를 통해서 스테아르산 한방울의 질량과 부피를 알 수 있었고 단층막의 직경과 넓이를 구함으로서 단층막의 두께도 알 수 있었다. 단층막의 두께로부터 계산한 탄소의 크기와 그에 따른 탄소원자의 부피를 알았고 이미 알고 있었던 탄소원자 1몰의 부피 3.42ml/mol 을 이용하여 Na=Vm/V1 라는 식으로 아보가드로 수를 계산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큰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1. 송화가루의 양이 너무 많아서 원형이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
2. 헥세인 방울 수를 잴 때에도 눈금실린더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3. 스포이드 피펫을 수직으로 세우지 않고 헥세인 방울을 세었다.
이러헌 점 때문에 아보가드로 수 6.02 x 10^23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위의 추측해본 결과를 간과하지 않는다면 더 정확한 실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기체상수의 결정(방법 및 결과, 고찰 모두 포함)
2009 소금결정 실험 레포트
기체상수의R결정 예비 + 결과
경영의사결정론 <다요소 의사결정 레포트> -선형변환을 이용한 스마트폰 비교분석 및 대안-
[결과]실험3. 수의 체계
아보가드로 수[NA]의 결정
발광 다이오드 및 제너다이오드 (PPT 자료) (결과 레포트)
아보가드로수의 결정
실험3-1 아보가드로수의 결정
아보가드로수의 결정
의사결정모형 레포트
창의적공학설계 레포트 - 엔지니어링 커뮤니케이션, 생산설계, 의사결정, 창의적 문제 해결 ...
용해도곱 상수 결정 실험(예비레포트)
[물리 레포트] Air-Resistance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