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on Detection)-토큰링(token ring)-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등-LAN 표준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을 MAC과 LLC로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MAC으로 여러개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동시에 처리해 줄 수 있음(1)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1972년 미국. 제록스사에서 처음 이더넷에 처음으로채택된 매체 접근 방법-1983년 IEEE 802.3 표준이 되었으며, 모든 종류의 이더넷에적용-장점 :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것.-단점 :노드 수가 많고 각 노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많을 경우, 패킷 충돌이 많아져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
(2)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CSMA/CD는 802.11 표준으로 CSMA/CD 방식과 비슷하게 동작하지만 약간의 차이-CSMA/CD : 데이터 흐름을 감지하여 네트워크가 사용 중이 아니면 바로 패킷을 보내고, 보내는 도중 에러가 발생하면 이때 충돌을 검출하는 방법-CSMA/CA : 데이터 흐름을 감지하여 네트워크가 상용 중이 아니면 바로 패킷을 보내지 않고, 예비 신호를 먼저 보내데이터 전송 중 패킷 충돌을 피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는 충돌을 하지 않음(3) 토큰링(token ring)-1984년 IBM의 토큰링(token ring)에서 사용한 매체 접근 방법으로 1985년 IEEE 802.5 표준이 됨-토큰링(token ring)의 기본 동작-링 내의 어떤 노드도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프리 토큰(free token)이 케이블을 따라 한 방향으로 순환함-한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이 프리 토큰을 획득하여야 함-토큰을 가진 노드는 허용된 시간동안 데이터를 전송할 권한을 가짐-데이터 프레임은 한 바퀴 돌아 다시 송신 노드까지 오는데, 이 때 송신 노드는 이 데이터 프레임을 링에서 제거 함-데이터 전송이 끝났거나 허용된 시간이 지나면 토큰은 다시 자유 상태가 됨-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노드는 다시 이 프리 토큰을 획득하여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장점: 노드 수가 많거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에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 데이터의 손실이 없으므로 CSMA/CD보다 안정적-단점: CSMA/CD보다 구현이 복잡하고 가격이 높으며, 토큰을 잃어 버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토큰 관리가 필요-초기 LAN에서 많이 활용한 기술
6. LAN 프로토콜
-두 대의 컴퓨터가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종류의 프로토콜이 필요
-두 컴퓨터가 문제없이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OSI 7계층 중 제3계층과 제4계층의 프로토콜이 같아야 함.-LAN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 : TCP/IP, IPX/SPX, NetBEUI(1)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etocol)-1960년대 후반에 이기종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해 미국 국방성에서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TCP/IP는 취약한 보안 기능 및 IP 주소 부족 등과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 됨-대부분 LAN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하는 프로토콜-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는 여러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해 줄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6 이 상용화 (2) IPX/SPX(Internet Packet Exchange / Sequenced Packet Exchange)-NetWare의 클라리언트와 서버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TCP/IP와 마찬가지로 인터 네트워크에서 라우팅이 가능하며, 중소 규모 네트워크에 가장 적합한 작고 빠른 프로토콜-NDS(Novell Directory Service)를 통해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3) NetBEUI(Netbios Extended User Interface)-마이크로소프트사가 우니도 시스템끼리의 통신을 하기 위해 만든 프로토콜, IBM의 NetBIOS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만듦-부서 단위의 LAN을 위하여 설계-라우팅이 되지 않는 프로토콜, 인터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프로토콜-짧은 오버헤드를 가지므로 매우 빠름
2. LAN의 종류-LAN은 연결되는 노드 수, 적용 분야, 망의 형태, 속도 또는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LAN을 분류하는 방법 :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기술① 이더넷(ethernet)
② 토큰링(token ring) ③ 패스트 이더넷(fast ethernet)
④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⑤ ATM
⑥ 무선 LAN 등으로 분류
2. LAN의 종류1. 이더넷(ethernet)(1) 이더넷의 역사-1972년 미국의 제록스사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제품의 상표이름이었으나 현재는 고유한 네트워크의 한 종류-초기 이더넷: 버스 형태로 2.94[Mbps]의 속도를 제공 , 1[km]의 거리 제한과 100개의 노드를 연결할 수 있음-1982년 이더넷 2.0으로 공식적으로 변경, 현재의 이더넷 표준: 이더넷 2.0과 IEEE 802.3 표준에서 정의된 이더넷 네트워크 기술은 현재 전세계 가장 널리 사용되는 LAN.-보통 이더넷이라고 하면 1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이더넷을 말함(2) 이더넷의 특징 및 종류-IEEE 802.3 표준으로 제공하는 속도에 따라 :10[Mbps] 이더넷, 100[Mbps] 속도를 지우너하는 패스트 이더넷, 1000[Mbps] 속도를 지원하는 기가 비트 이더넷-제공하는 속도는 다르지만 같은 이더넷이므로 매체 접근 방법은 모두 CSMA/CD를 사용-신호 전송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는 베이스 벤드 방식을 지원-LAN을 구성하는 형태에 따라 버스형 이더넷과 성형 이더넷으로 구분-1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이더넷의 종류에는 10Base5, 10Base2, 10BaseT 등
(2)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CSMA/CD는 802.11 표준으로 CSMA/CD 방식과 비슷하게 동작하지만 약간의 차이-CSMA/CD : 데이터 흐름을 감지하여 네트워크가 사용 중이 아니면 바로 패킷을 보내고, 보내는 도중 에러가 발생하면 이때 충돌을 검출하는 방법-CSMA/CA : 데이터 흐름을 감지하여 네트워크가 상용 중이 아니면 바로 패킷을 보내지 않고, 예비 신호를 먼저 보내데이터 전송 중 패킷 충돌을 피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는 충돌을 하지 않음(3) 토큰링(token ring)-1984년 IBM의 토큰링(token ring)에서 사용한 매체 접근 방법으로 1985년 IEEE 802.5 표준이 됨-토큰링(token ring)의 기본 동작-링 내의 어떤 노드도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프리 토큰(free token)이 케이블을 따라 한 방향으로 순환함-한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이 프리 토큰을 획득하여야 함-토큰을 가진 노드는 허용된 시간동안 데이터를 전송할 권한을 가짐-데이터 프레임은 한 바퀴 돌아 다시 송신 노드까지 오는데, 이 때 송신 노드는 이 데이터 프레임을 링에서 제거 함-데이터 전송이 끝났거나 허용된 시간이 지나면 토큰은 다시 자유 상태가 됨-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노드는 다시 이 프리 토큰을 획득하여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장점: 노드 수가 많거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에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 데이터의 손실이 없으므로 CSMA/CD보다 안정적-단점: CSMA/CD보다 구현이 복잡하고 가격이 높으며, 토큰을 잃어 버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토큰 관리가 필요-초기 LAN에서 많이 활용한 기술
6. LAN 프로토콜
-두 대의 컴퓨터가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종류의 프로토콜이 필요
-두 컴퓨터가 문제없이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OSI 7계층 중 제3계층과 제4계층의 프로토콜이 같아야 함.-LAN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 : TCP/IP, IPX/SPX, NetBEUI(1)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etocol)-1960년대 후반에 이기종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해 미국 국방성에서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TCP/IP는 취약한 보안 기능 및 IP 주소 부족 등과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 됨-대부분 LAN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하는 프로토콜-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는 여러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해 줄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6 이 상용화 (2) IPX/SPX(Internet Packet Exchange / Sequenced Packet Exchange)-NetWare의 클라리언트와 서버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TCP/IP와 마찬가지로 인터 네트워크에서 라우팅이 가능하며, 중소 규모 네트워크에 가장 적합한 작고 빠른 프로토콜-NDS(Novell Directory Service)를 통해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3) NetBEUI(Netbios Extended User Interface)-마이크로소프트사가 우니도 시스템끼리의 통신을 하기 위해 만든 프로토콜, IBM의 NetBIOS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만듦-부서 단위의 LAN을 위하여 설계-라우팅이 되지 않는 프로토콜, 인터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프로토콜-짧은 오버헤드를 가지므로 매우 빠름
2. LAN의 종류-LAN은 연결되는 노드 수, 적용 분야, 망의 형태, 속도 또는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LAN을 분류하는 방법 :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기술① 이더넷(ethernet)
② 토큰링(token ring) ③ 패스트 이더넷(fast ethernet)
④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⑤ ATM
⑥ 무선 LAN 등으로 분류
2. LAN의 종류1. 이더넷(ethernet)(1) 이더넷의 역사-1972년 미국의 제록스사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제품의 상표이름이었으나 현재는 고유한 네트워크의 한 종류-초기 이더넷: 버스 형태로 2.94[Mbps]의 속도를 제공 , 1[km]의 거리 제한과 100개의 노드를 연결할 수 있음-1982년 이더넷 2.0으로 공식적으로 변경, 현재의 이더넷 표준: 이더넷 2.0과 IEEE 802.3 표준에서 정의된 이더넷 네트워크 기술은 현재 전세계 가장 널리 사용되는 LAN.-보통 이더넷이라고 하면 1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이더넷을 말함(2) 이더넷의 특징 및 종류-IEEE 802.3 표준으로 제공하는 속도에 따라 :10[Mbps] 이더넷, 100[Mbps] 속도를 지우너하는 패스트 이더넷, 1000[Mbps] 속도를 지원하는 기가 비트 이더넷-제공하는 속도는 다르지만 같은 이더넷이므로 매체 접근 방법은 모두 CSMA/CD를 사용-신호 전송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는 베이스 벤드 방식을 지원-LAN을 구성하는 형태에 따라 버스형 이더넷과 성형 이더넷으로 구분-1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이더넷의 종류에는 10Base5, 10Base2, 10BaseT 등
추천자료
과학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목표와 효과, 과학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필요...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개념과 목적,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유형과 필요성, ICT활용...
ICT(정보통신기술)활용개별화수업의 의미와 필요성, ICT(정보통신기술)활용개별화수업의 이론...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정의와 특징,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필요성과 기반조성,...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정의와 도입배경,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현황과 지침, I...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특징과 유형,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필요성과 기본방향,...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의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교수학습계획, ICT(정보통...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개념과 특징,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필요성과 기능, ICT...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개념과 형태,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목표와 기본방향, I...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정책, 캐나다와 미국의 정보통신기술(ICT)...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개념, 유형, 필요성,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과 교수활동, I...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수업설계의 이론적 기초, 중요성, 요소와 ICT(정보통신기술)활용...
일본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목표와 변천, 일본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지도내용...
국어과와 수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사회과와 과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