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물사의 통기도 시험 방법>
1. 목 적
2. 실험기구 및 시약
3. 관련지식
4. 실습내용
5. 결 과
6. 결 론
1. 목 적
2. 실험기구 및 시약
3. 관련지식
4. 실습내용
5. 결 과
6. 결 론
본문내용
이때 실온에서 압력수주 10㎝, 1000cc의 공기가 제대로 시험편 상부에 송입되고 그 때 시험편의 윗면 흐름의 평형압과 대기압의 차를 수주압력계로 측정하여 통기도를 구한다.
5. 결 과
시편의 무게
통과시간
물의 높이
시편높이
1 회
145g
3분12초
0.5cm
4.8cm
2 회
145g
5분13초
0.45cm
4.9cm
※ 1회 와 2회에 통과시간의 차이가 큰 이유는 시험기가 달랐기 때문이다.
- 1회 통기도는 P = VⅩh / pⅩaⅩt를 이용하여 구하면 261이다.
- 2회 통기도는 216이다.
6. 결 론
- 이번 실험을 통하여 주물사의 통기도를 알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통기도가
좋아야 주물사로 주형을 제작시 좋은 주형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주형에 용융금속을 주입했을 때 용융금속에서 나오는 gas, 주형의 수분 증발에 의한 gas, 주형의 공간에 있는 공기 등을 충분히 축출하지 않으면 이 들 gas가 주형공간의 일부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곳에는 용금이 채워지지 않고 공간으로 남아 있는 기공(氣孔; blow hole)이 발생하여 주물의 결함으로 남는다. 따라서 주형사는 gas와 공기가 적당히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5. 결 과
시편의 무게
통과시간
물의 높이
시편높이
1 회
145g
3분12초
0.5cm
4.8cm
2 회
145g
5분13초
0.45cm
4.9cm
※ 1회 와 2회에 통과시간의 차이가 큰 이유는 시험기가 달랐기 때문이다.
- 1회 통기도는 P = VⅩh / pⅩaⅩt를 이용하여 구하면 261이다.
- 2회 통기도는 216이다.
6. 결 론
- 이번 실험을 통하여 주물사의 통기도를 알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통기도가
좋아야 주물사로 주형을 제작시 좋은 주형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주형에 용융금속을 주입했을 때 용융금속에서 나오는 gas, 주형의 수분 증발에 의한 gas, 주형의 공간에 있는 공기 등을 충분히 축출하지 않으면 이 들 gas가 주형공간의 일부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곳에는 용금이 채워지지 않고 공간으로 남아 있는 기공(氣孔; blow hole)이 발생하여 주물의 결함으로 남는다. 따라서 주형사는 gas와 공기가 적당히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