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듀서(PD) 양성과 방송 제작방식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방송국과 인력운용: 프로듀서(PD)
1. 방송 프로듀서(PD) 직업의 독특성
2. 지상파 방송사의 신입 프로듀서 고용 / 양성 방식
3. 방송사 조직의 성격
4. 해외의 프로듀서 채용사례

Ⅱ. 방송프로그램의 제작 특성
1. 연극, 영화, 라디오, TV, 멀티미디어의 차이
2. 방송 제작 시스템
(1) 기본 제작 시스템
(2) 방송 프로그램 제작팀

Ⅲ. 방송프로그램의 제작과정
1. 기획
2. 제작(production)
3. 후반작업(post-production)

Ⅳ. 제작방식의 변화에 따른 좋은 프로그램 만들기
1. 시청률 높은 프로그램 만들기
2. 질 높은 프로그램 만들기

Ⅴ. 우리나라 방송 제작방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1. 방송 제도의 문제
2. 제작 시스템의 문제
3. 제작의 개방화 문제
4. 전문인력의 확충문제
5. 관료 구조의 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Etzioni-Halevy, 1987) 관료제(bureaucracy)는 조직원의 윤리 규범이 바로 설정되고 수행된다면 명확한 업무의 분장과 규격과된 작업과정으로 일정수준의 결과가 지속적으로 도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렇지 못할 경우 업무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형식에 치우치는 무사안일에 빠지기 쉽다. 제 3장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 방송은 역사적으로 공영성이 강조되어 왔다. KBS는 물론이고 공영과 민영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는 MBC와 민영방송 SBS 모두가 공영방송 이념의 테두리 안에 들어가 있다. 한국의 공영방송은 정권의 개입 정도가 크다는 점에서 사실 국영방송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에 따라 조직구조는 관료제적 특성이 강하게 뿌리 박히게 되었다.
관료제적 특성은 전 분야에서 드러나고 있지만 제작 측면에서만 살펴본다면 예를 들어, 제작기획서 기안, 예산 지출, 출장 품의 등에서 여러 단계의 결재선을 거쳐야 할 정도로 결정과정이 경직돼 있다. 제작 기획 과정상에서도 하의상달(下意上達)이 아닌 상의하달(上意下達)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 장의 앞부분에서 설명한 것처럼 기본적인 제작기획은 프로듀서가 아이디어를 내서 편성부서 등 관련부서와 협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결재권자의 결재를 얻어 실행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한국방송에서 새 프로그램이 이렇게 시작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앞장에서 살펴보았듯이 개편 때가 되면 편성부서가 중심이 되어 편성안과 프로그램안을 만들어 결재를 받은 뒤 PD들에게 프로그램을 배당해 제작기획서를 제작하도록 하는 형식을 취한다. 끊임없이 형식과 소재를 개발해 현실에 적용해야 하는 대중예술매체에서 이 같은 경직성은 프로그램 저질화의 근인이 된다.
공영방송은 공영성을 더욱 강화해야 하겠다. 공영방송이 시청률에 민감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자존심 경쟁을 벌이는 기현상을 없애야 하겠다. 경쟁이 없어진다고 해도 운영의 합리성을 제고하고 전문가적 직업윤리의식(professionalism)을 고양하면 프로그램의 질은 저절로 향상될 것이다. 또한 민영방송도 심화하는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같이 정치적으로 문제를 풀어 가려고 하지 말고 합리적 제작시스템과 조직의 운용을 통해 효율성을 키워 나가야 하겠다.
어떻게 보면 방송의 질을 높이는 것은 '제도의 문제이기보다는 의지의 문제'(이경자, 1993, p. 14)일 지도 모른다. 1980년대 이후만 해도 방송제도를 바꾸려는 논의와 노력이 끊임없이 있어 왔고 실제로 큰 변화가 수차례 있었다. 그러나 방송 프로그램의 질이 더 좋아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지나친 시청률 경쟁으로 프로그램이 더욱 선정적이고 폭력성을 띠어 간다는 목소리가 높아만 가고 있다. 공영방송을 더욱 공영화하고 민영방송의 경쟁력을 더욱 증진시켜 재미있고 알찬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 것은 정권을 가진 사람, 관련 공무원, 정책 연구자, 방송사주, 방송종사자의 의지와 지혜에 달려 있는 것 같다.
참고문헌
김성문 (1993). 프로그램 획일화(모방 및 유사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 방안. ≪방송연구≫ 제 36호, 83∼98쪽.
김훈순·김명혜 (1996). 텔레비전 드라마의 가부장적 서사전략. ≪언론과사회≫ 제12호, 6∼50쪽.
심길중 (1996). ≪텔레비전 제작론≫ 한울 아카데미.
오명환 (1994). <<텔레비전 드라마 예술론>> 나남출판사.
우병동 (1996). 뉴스 보도의 정확성 연구: 오보 발생의 구조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 11호, 34∼65쪽.
이경자 (1993). 프로그램 편성의 질 제고방안. ≪방송연구≫ 제 36호, 2∼26 쪽.
이영삼 (1997). ≪텔레비전 영상 제작론: ENG 카메라의 촬영과 편집기법≫ 나남.
이행원 (1994). ≪취재보도의 실제≫ 나남.
한국방송개발원 (1995-29). ≪방송프로그램 제작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편) (1993). ≪방송보도론≫ 나남.
한균태 (1995). 공영방송의 제작시스템 개선방안 - KBS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편), ≪공영방송의 세계화와 프로그램의 질≫.
Arijon, D. (1976). Grammar of the film language. 황왕수(역) (1987), ≪영상문법≫ 다보문화.
Armer, A. A. (1990). Directing television an film. 김광호·김영룡(역) (1995), ≪텔레비전 연출론≫ 나남.
Boyed, A. (1997). Broadcast journalism: Techniques of radio and TV news. 4th ed. Oxford: Butterworth Heinemann. 이경자·이인희(역) (1997), ≪방송보도실무≫ 한울아카데미.
Browne, S. E. (1993). Videotape editing: A postproduction primer. 2nd ed. Boston: Focal Press.
Etzioni-Halevy, E. (1987). National broadcasting under siege: A comparative study of Australia, Britain, Israel, and West Germany. New York: St. Marting's Press.
Hedgecoe, J. (1995). Video: A complete introductory guide. London: Mitchell Beazley.
Lovell, R. P. (1993). Reporting public affairs. Prospect Heights, Illinois: Waveland Press, Inc.
Mayeux, P. E. (1991). 김흥규 (역) (1993), ≪방송뉴스론≫ 나남.
Millerson, G. (1983). Effective TV production. 2nd ed. Focal Press. 안병률(역) (1989), ≪텔레비전 제작실무≫ 나남.
Millerson, G. (1987). Video production handbook. Boston: Focal Press. 한국방송개발원(역) (1995), ≪비디오 프로그램 제작≫ 나남.
  • 가격2,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5.2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