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왕퇴의 귀부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한 대의 문화

Ⅲ. 뜻밖의 발견

Ⅳ. 출토품
ⅰ) 관(棺)
① 흑지채회관(黑地彩檜棺)
② 주지채회관(朱地彩繪棺)
ⅱ) 백화(帛畵)
① 상단부(天上)
② 중단부(現世)
③ 하단부(地下⋅水中)
ⅲ) 칠기(漆器)
① 정(鼎)
② 종(鐘)
③ 이중구자렴(二重九子奩)
④ 운문칠안(雲紋漆案)과 배반(杯盤)
ⅳ) 목용(木俑)

Ⅴ. 맺음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20]벽사목용(僻邪木俑)(36개)着衣侍女俑(10개)[圖21]으로 구분한다. 이 중 冠을 쓴 남자인형 두 개와 着 ▲ [圖 20] 채회입용 ▲ [圖 21] 착의시녀용
衣시녀 인형 열개가 가장 정교한 것으로, 의상은 파손되어 있으나 그 옷이菱形의 무늬를 한 비단이었던 것을 알 수 있고 얼굴이 잘 조각되어 조금도 훼손된 데가 없다. 남자인형의 경우 머리에서 넓적하게 비스듬히 뒤로 뻗쳐나간 冠은 백화에 그려져 있는 수문신(守門神)의 冠과 비슷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시녀형 인형 중에는 푸른 견으로 만든 가발을 지닌 것이있는데 30cm 정도 길이로 길게 뒤로 내려갔다.
彩繪立俑[圖. 20]은 모두 101개가 발견 되었고, 몸과 몸과 옷의 윤곽을 만든 후 눈, 눈썹, 입술을 그리고 옷 무늬를 표현했다. 북쪽 변상에서 발견된 彩繪樂俑[圖.20]은 다섯 개가 한 세트를 이룬다. 무릎을 꿇은 인형들은 각기 악기를 가지고 있다. 둘은 피리()를 입에 대고 있고 셋은 커다란 거문고(瑟)를 앞에 놓고 있다. 이들 악기는 완전히 겉모양뿐 실제로는 쓸 수 없는 것 들이다.
이 외에 벽사(僻事)를 위한 인형은 지극히 작고 조잡한 것들로 복숭아나무를 깎아서 먹으로 눈과 입을 그린 정도인데, 복숭아나무를 사용한 이유는 복숭아나무를 사용하면 귀신을 쫓는다는 仙木이라는 생각에서 온 것 같다.
Ⅴ. 맺음말
마왕퇴의 발굴은 세기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왕퇴의 발굴을 통해 중국은 고고학적, 의학적, 회화적, 조각적, 의복 등의 역사를 앞당겼으며 2100여 년 전의 중국 귀족들의 생활과 문화를 한 눈에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마왕퇴에서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 되었지만 그 중 백화는 중국 최고(最古)의 회화 작품일 뿐만 아니라 그 예술성 또한 뛰어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우리는 백화를 통하여 당시 책에 전해지던 신화전설에 관한 기록들이 실제로 전승되고 있던 것임을 알 수 있고, 백화가 당시의 사후세계관과 조상 숭배사상, 후장 풍속 등을 반영 하여 당시 귀족사회의 풍속과 그들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우주관, 그리고 신화와 죽음의 세계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볼 수 있다. 특히, 마왕퇴의 T형 백화는 지금까지 내려오는 전한시대의 그림이 전무한 상황에서 이러한 희귀성 말고도 훌륭한 인물 묘사와 생동적이며 예리한 선, 밝은 색채 등 성숙한 기교를 보여줌으로써 그 자체가 높은 수준의 걸작품이라 할 수 있다.
Ⅵ. 참고문헌
마왕퇴의 귀부인 1,2
- 웨난 지음. 이익회 옮김.
도서출판 일빛 (2001.03.25)
韓國과 中國의 考古美術 (pp.225-251)
- 김재원 지음
문예출판사 (2000.10.15)
간추린 중국미술의 역사 (pp.53-55)
- 북경 중앙미술학원 미술사계 중국미술사교연실 지음.
박은화 옮김. (주)시공사 (1998.03.15)
중국 미술사 (PP.49-50, 71-72)
- 마이클 설리번 지음. 한정희최성은 옮김
도서출판 예경 (2005.02.21)
고대 중국 중국 문명, 그 기원에서부터 당 왕조까지
- (pp.98, 104-105, 134, 216-217, 219-221, 232, 237)
마우리지오 스카르파리(Maurizio Scarpari)지음. 박승규 옮김
(주)생각의 나무 (2003.11.01)
- 목차 -
Ⅰ. 머리말
Ⅱ. 한 대의 문화
Ⅲ. 뜻밖의 발견
Ⅳ. 출토품
ⅰ) 관(棺)
① 흑지채회관(黑地彩檜棺)
② 주지채회관(朱地彩繪棺)
ⅱ) 백화(帛畵)
① 상단부(天上)
② 중단부(現世)
③ 하단부(地下水中)
ⅲ) 칠기(漆器)
① 정(鼎)
② 종(鐘)
③ 이중구자렴(二重九子)
④ 운문칠안(雲紋漆案)과 배반(杯盤)
ⅳ) 목용(木俑)
Ⅴ. 맺음말
Ⅵ.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5.28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