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도서관 일반적인 현황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학술정보관 소개
2. 층별 서비스
3. 과거와 현재의 도서관 시스템 비교

본문내용

히 교내에서 발간한 연속성간행물의 기사들은 원문그대로 인터넷을 통하여 볼 수 있다.
멀티미디어 검색을 통해 E-book, DVD 등까지 검색할 수 있고 한남대에서 수여된 석박사학위논문 원문을 보고자 할 때는 해당 뷰어를 PC에 설치함으로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단, web에서 공개를 원하지 않는 수여자의 학위논문은 제외된다.
현재 학술정보관의 OPAC에서는 책에 대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상세정보까지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 정보서비스
신간목록/도서신청 기능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희망도서를 웹을 통해 바로 신청할 수 있다.
학술정보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은자료 중 구입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희망도서신청'을 선택하여 구입신청 할 수 있다. 구입을 원하는 자료의 서명, 저자, 출판사등의 서지정보를 입력하면 되고, 처리상황은 신청자에게 E-mail을 통해 자동통보된다.
또 홈페이지의 추천도서 기능을 통해 새로 나오는 도서들을 빠르게 알 수 있고 홈페이지로 자료에 대한 신간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새로 나온 자료를 검색할 수도 있다.
* 디지털컨텐츠
학술정보관에서 구독중인 전자저널의 기사원문, 초록 등의 정보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 기관의 소장자료, 저널, 학위논문 등을 통합검색할 수 있다.
구독중인 국내외 전자저널에 대한 원문은 교내에서만 검색이 가능하며 원문 뷰어를 설치한 후 이용한다.
E-Book 제공을 하고 있고 E-Book 서비스는 대출과정을 거치고 5일후 자동반납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 원문복사/상호대차 서비스
학술정보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은자료에 대해서 국내외 다른 기관의 원문복사를 의뢰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사항은 1층 전자정보서비스데스크로 문의한다.
예전에는 직접 데스크에 와서 원문복사를 신청하여야 했으나 지금은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하고 원문복사서비스의 시간적 속도가 과거에 비해 매우 빠르다.
상호대차서비스는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은 자료를 국내외 협력도서관이나 문헌제공기관에 의뢰하는 서비스로 현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NDSL)과 학술정보 공동이용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여 Web상에서 직접 이용자등록 후 복사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도 있다.
* 대출/반납 서비스
대출정보관리기능을 통해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대출상황을 조회하고 변경할 수 있다.
대출사항조회, 예약사항조회, 구입희망도서 신청이 가능하며, E-Mail을 등록하면 반납예정일 통보, 예약도서 도착통보, 희망도서신청 처리과정 등이 제공된다. 이용자의 ID는 학번(교직원번호), 비밀번호는 주민등록번호 뒷부분 7자리로 설정되어 있다.
대출하고자 하는 자료를 학술정보검색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색하고 대출상황을 확인한다.
대출가능한 자료이면 직접 해당 주제자료영역 에서 찾아 학생증과 함께 1층 대출/반납서비스데스크에 제시하여 대출할 수 있다. 다만, 연체도서가 있으면 대출이 불가능하다.
웹서비스를 통해 타도서관의 자료이용신청도 할 수 있다.
과거의 대출시스템은 이용자가 직접 청구기호를 써서 사서에게 주면 사서가 직접 책을 찾아서 주는 시스템이었다. 사서가 직접 서가에서 책을 찾아 주고 정리하였기 때문에 책 분실률이 낮았고 사서에게 있어서도 서가의 배열정리 또한 수월하였다. 지금은 이용자가 직접 자유롭게 서가에서 책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그로 인해 분실률이 과거보다 증가하였고 이용자가 책을 잘못된 서가에 꽂음으로서 사서의 고충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각 서가마다 바구니나 카트를 설치하여 보고난 책을 수거하는 외국의 사례를 들 수 있다.
과거에는 책 뒤에 봉투형식으로 된 대출카드에 사서가 직접 손으로 대출카드를 작성하여야 했으나 지금은 학생증 바코드 입력을 통해 대출시스템이 운영된다.
그리고 과거에는 책을 연체하였을 시 연체료를 지불하는 연체료제도시스템이었으나 지금은 연체일만큼 책을 못빌리게 하는 시스템으로 변화되었다.
지금의 연체시스템은 대출한 자료를 기간내에 반납하지 못한 경우 1책당 연체된 날짜만큼의 대출이 정지되는 시스템으로 대출한 자료를 분실 또는 훼손하였을 경우 동일자료로 변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동일자료로 변상할 수 없을 때에는 학술정보처 내규에 따라 본관에서 책정하는 금액으로 변상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 My Library 서비스
개인공지사항, 개인정보관리, 대출/예약/분관대출조회, 희망도서신청/조회, SDI서비스신청/조회, My Collection 기능을 제공한다.
대출정보조회, 예약이 가능하며 SDI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대출 히스토리 저장이 가능하며 My Collection에서는 검색어를 저장하여 다음 검색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SDI(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서비스란 이용자가 관심있는 주제분야의 키워드나 학술지명을 등록해 두면 관련정보 입수 시 이메일 혹은 개인공지사항을 통해 정기적으로 최신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 기타서비스
한남대 졸업생, 휴학생 및 지역주민의 학술정보관 자료 대출을 위하여 특별열람증을 발급하고 있다. 단 발급신청시에는 졸업생, 휴학생은 가입신청서, 증명사진 1매, 지역주민은 재직증명서, 증명사진 1매를 신분증과 함께 제출하여야 하며 특별열람증의 이용기간은 1년이다. 상세한 사항은 1층 대출/반납서비스데스크로 문의한다.
3층 과학/기술/예술자료영역에서는 이미지의 활용용도가 높은 자료들을 위하여 Scanning Service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용도로는 1층의 멀티미디어 열람영역에 스캐너와 작업용 PC를 설치해 두고 있다.
<학술정보관의 발전과정>
90년 9월- 전산화 시작
전산화- 지속적인 예산필요 시스템업데이트 위해
목록시스템부터 자동화
91,92- 웹검색 시스템
카드목록 함께 사용
93- 대출시스템
96- 연속간행물시스템 기사색인
97- 원문관리시스템
99- 원문 (전자저널) 도입
2007. 3- 현재 장서량 65만권 구축
예전에 법대 1,2,3 층을 씀
큰변화-IT서비스 확장
  • 가격1,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5.31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