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장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장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이론

4. 실험기구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및 토의

7.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시킨다.
5. 실험결과
지름( 단위 :mm )
표점거리 ( mm )




SM45C
10
9.05
70
75.1
S20C
10
7
50
55.1
AL2024
10
9.4
50
56.2
AL7075
10
9.4
50
55
(1) 항복강도 (σy)
엑셀 데이터를 바탕으로 탄성구간내의 기울기(탄성계수)를 0.2% 옵셋법으로 구 하였다. 만능 시험기의 작동시작시 비정상적인 응력분포를 보인 최초 일정구간 을 제외하였으며, 그 이후 0.2% 오프셋을 취하여 항복 강도를 구하였다.
시 편
실험 σy
(㎏/㎟)
SM45C
66690
S20C
51750
AL2024
30240
AL7075
30890
(2) 인장강도
※인장강도 계산법 :
시 편
실험 σB
(㎏/㎟)
SM45C
70060
S20C
53370
AL2024
42170
AL7075
42190
(3) 연신률
SM45C
S20C
AL2024
AL7075
L
(버니어 캘리퍼스)
7.29
10.2
12.4
10
인장시험 데이터
11.723
12.163
14.215
13.443
(4) 단면수축률
SM45C
S20C
AL2024
AL7075
Φ
18.99
51.90
12.66
12.66
(5) 탄성계수 (E)
※ Hooke의 법칙에서 유도함 :
시 편
σy
(㎏/㎟)
ε
실험 E
(㎏/㎟)
SM45C
66690
7.29
9148.15
S20C
51750
10.2
5073.53
AL2024
30240
12.4
2438.71
AL7075
30890
10
3089
6. 고찰
실험 전에 교수님께서 말씀하셨듯이, 애초에 시편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 시편이 전반적으로 균일하지 않았고, 시편의 끝 부분에는 미세한 균열이 육안으로 확인이 될 정도였다. 시편의 중앙에서 항복과 파단이 일어나야 이상적인 실험이 되었을 텐데 아쉽다. 또한, 인장의 과정에서, 시편이 점점 가늘어지는 것을 측정할 방법이 없어 진 응력선도를 직접 그려보지 못한 것도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또한 실험 결과의 그래프에서 불 수 있듯, 탄성영역과 소성영역의 명확한 구분이 힘들다. 따라서 항복강도와 탄성계수를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실험의 결과로 도출된 수치가 재료 본연의 성질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변형이 거의 안 이루어졌을 거라는 나의 예상과는 달리. 육안으로는 전혀 확인할 수 없었던 변형률이 그래프에 나타났고, 이론적인 그림과 실제 변형의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유익한 실험이었다.

키워드

기계,   실험,   인장,   공학,   계측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6.03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