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를 이용한 최적입지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IS를 이용한 최적입지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스포츠센터 선정이유

2.스포츠센터의 입지요인

3.스포츠 센터 입지선정을 위한 흐름도

4.입지선정을 위한 분석과정

5.결 과

본문내용

로 slope_grid를 만든다.
먼저 anyang_ele.shp를 활성화 시켜놓은 상태에서 surface create to tin from
features를 눌러서 tin을 만든다.
ok를 누른후 저장경로 설정후 tin으로 저장. 그 후 contour_grid를 만든다.
tin를 활성화 시켜놓은 상태에서 theme convert to grid를 눌러서
contour_grid를 만든다. surface derive slope를 눌러서 slope_grid를 만든다.
( 이때, 셀 사이즈는 10으로 할것.)
2단계 - 안양시 지도 (건물)에서 타 스포츠센터 위치 추출 그 후 900m 버퍼링
1) anyang_all.shp에서 주택외 건물만 추출(다른 스포츠 센터만 필요해서 주거지역 배제)
2) 선택된 건물을 새로운 커버리지로 저장 (anyang_bd.shp)
(Theme→Convert to shapefile 클릭 후 저장 경로 선택)
3) anyang_bd.shp가 3D 파일이므로 폴리곤으로 전환과정.
script를 연후 위에 툴바창에 를 클릭후 cvtplply_and_field.ave파일을 찾아서 ok를 클릭, 그 후 를 왼쪽부터 순서대로 클릭하면 2D로 전환된다.
전환된 anyang_bd_2d.shp와 anyang_emd.shp를 클립 실행. (anbd_final.shp 저장)
실행후에 anbd_final.shp 속성창에 edit를 해서 필드 추가하고 각각의 스포츠센터
위치를 네이버 지도에서 찾은 내용을 바탕으로 속성에 id와 비교해서 추가한 필드에
스포츠센터 이름 입력. 찾은 스포츠센터는 2개이상의 시설이 있는 중형 스포츠센터임.
4) 타 스포츠센터만 선택후 convert to shape(sportct.shp)에 저장해서 버퍼 실행.
아래그림 순서대로 진행(거리를 300m로 정한 이유는 다른 스포츠센터와의 서비스권에
대한 영향을 따진 입지선정에 관한 논문 참고.)
5) 만들어진 스포츠센터 버퍼를 convert to grid 실행.(셀 사이즈는 항상 10주의!!)
3단계 - 안양시 지도에서 지방도와 일반국도 추출, 그 후 700m 버퍼링
1) anyang_all.shp에서 일반국도와 지방도만 추출.
2) 선택된 도로를 새로운 커버리지로 저장 (anyang_rd3d.shp)
(Theme→Convert to shapefile 클릭 후 저장 경로 선택)
3) anyang_rd3d.shp가 3D 파일이므로 2D로 전환과정.
anyang_rd3d.shp를 활성화 시킨후에 를 클릭하면 바로 2D로 전환(road2d.shp)
전환된 road2d.shp와 anyang_emd.shp를 클립 실행. (road_final.shp 저장)
4) road_final.shp활성화 시킨후 버퍼실행.
아래그림 순서대로 진행(거리를 100m로 정한 이유는 도로의 접근성에 대한 영향을
따진 입지선정에 관한 논문 참고.)
5) 만들어진 도로 버퍼를 convert to grid 실행.(셀 사이즈는 항상 10주의!!)
4단계 - 인구 자료와 anyang_all.shp파일 속성자료 join 후 calculate해서 인구밀도 생성
1) 먼저 인구에 대한 엑셀 자료 총조사인구 총괄.dbf3으로 저장후 아크뷰로 불러온다.
2) 아크뷰에서 속성을 추가해서 총조사인구 총괄.dbf불러들인다.
3) 두 속성창에서 공통 속성 필드를 찾아서 join한다.
join후에 모습.
4) 이렇게 한 후에 저장 후 우리가 필요로 하는 20~64세 인구의 밀도를 구한다.
x-tool에서 calculate~~~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뜨고
여기서 edit를 해서 필드 area_km과 density를 추가한다. 그 후 를 클릭해서 질의문을 실행해서 조건에 맞추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뜬다.
5) 인구밀도가 들어간 pop.shp파일을 convert to grid 해준다.
5단계 - 1, 2, 3, 4단계 Map calculate 후 입지 후보지 선정 (면적 고려)
먼저 각 단계들의 grid파일을 reclassfy해서 점수 부여
- 점수부여
경사도 표고도 경쟁 업체와의 위치 인구밀도
0~5%
10
5~10%
5
10~15%
1
15~20%
1
20~
1
0~50m
10
50~100m
5
100~150m
1
150~200m
1
200~
1
0~300m
1
300~600m
5
600~900m
10
0~10
1
10~20
7
20~30
10
도로와의 인접성
0~100m
10
100~200m
10
200~300m
10
300~400m
5
400~500m
3
500~600m
1
600~700m
1
이렇게 점수를 부여해서 map calculate 5개 grid를 합친후 convert to shape한다.
그 후에 gridcode가 45보다 큰 것을 선별하고 면적 고려.
경사도 reclassify
표도고 reclassify
경쟁업체 reclassify
도로 인접성 reclassify
인구밀도 reclassify
map calculator
map calculator를 shape파일로 전환 (convert to shape)
그 다음 query실행해서 속성창에 gridcode가 45이상인 지역을 추출후 저장 (best.shp)
위 그림은 gridcode가 45이상인 지역을 선택한 화면.
그리고 화면마다 reclass of contour_grid가 활성화 되어있는데, 지도가 나타나는 화면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캡쳐하기 위해서 그렇게 함. 원래는 사용하려는 파일을 활성화 시키고, 작업수행 함.
gridcode 45이상인 지역
속성을 확인해보니 면적은 안나와서 안양시 인구밀도(pop.shp)와 클립을 해서 지역들의 면적을 찾아냄.
input을 pop.shp로하고 overlay theme를 best.shp로 정하면 best.shp의 속성은 사라지고 best.shp의 polygon에 pop.shp속성이 나타나게 되므로, 면적을 알아내서 우리가 입지하는데 최소 면적인 11570.3m² 이상 폴리곤을 최적 입지로 선정. 아래 그림은 이 과정에 대한 그림.
이렇게해서 선정된 결과 : best.shp의 polygon모두가 최적입지에 선정.
결 과

키워드

공학,   gis,   도시조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6.0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