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기관지염케이스(Bronchiti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이약을 1회 5-7mg/kg용량을 4-6시간 간격으로 필요시에 복용하며 1일 최대 4회를 넘지 않는다. 체중이 30kg이하인 소아에게는 1일 최대 25ml을 초과하지 않는다
부작용 : 재생불량성빈혈.용혈성빈혈.과립구감소.혈소판저하.호상구증가.혈액장애.소화성궤양.위장출혈.천공.궤양성대장염.혈변.위염.췌장염.존슨증후군.리엘증후군.황달.GOTGPT.AL-P상승.천식발작유발.두드러기.습진.자반.발진.가려움증.무시.암점등의시각장애.난청.이명.미각이상.수막염.심한두통.구역.구토.불면.목이뻣뻣함.발열.의식장애.혈압저하.혈압상승.심계항진.급성신부전.핍뇨.혈뇨.요단백.BUN.혈중크레아티닌상승.고칼슘혈증.안와주위부종.권태감.발열.비출혈등등..
Inhalation>
mucomyst sol
분류 : 진해거담제&기침감기약
효능효과 : 기관지천식,만성기관지염,기관지확장증,폐결핵,폐기종,상기도감염(인.후두염),폐화농증,폐렴,낭성섬유증,수술후 폐합병증 등의 객담 배출 및 기관지 조영,기관지경검사,폐암 세포진,기관절개술시 전.후 처치
용법용량 : 안면마스크,마우스피스,기관누공형설술이용분무 : 1-10ml을 2-6시간마다(추천용량:305ml,1일3-4회), 분무텐트 및 흡입기 이용분무 : 환자 개인적 요구 및 편이도에 EK라 사용 , 직접주입 : 1-2ml을 1시간 마다, 진단용 기관지조영시 : 1-2ml을 2-3회 분무요법 또는 기관지내 주입법에 의해 투여
부작용 : 오심,구토,설사,가슴앓이,식욕부진,혈당,오한,발열등
간호진단
사정 ))
체온이 38.2로 체크됨
얼굴이 발갛게 상기 되어 있음
만져보면 머리와 온몸이 뜨거움
진단 ))
고체온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체온조절
목표 ))
단기목표 - 환아의 체온이 37.1이 된다.
장기목표 - 정상체온을 유지하고 고체온으로인한 합병증을 예방한다.
계획 ))
1. 열을 내리는 간호를 한다.(ex: 몸을 닦여준다)
2. 안정된 체온을 유지한다.
3.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이룬다.
수행 ))
1. v/s을 8시간마다 체크하였다.
2. 체온을 1시간 간격으로 체크하였다.
3. 환아의 몸을 닦여주도록 설명하였다.
4. 수분 섭취를 격려하였다.
5. 필요시 해열제를 먹이도록 하였다.
6. 옷을 얇게 입히고 병실 안이 서늘하도록 환경변화를 도모
7. 침구를 가볍게 덮어 주도록 교육하였다.
8. 환아가 좋아하는 음료제공, 정맥 수액을 공급하였다.
9. duty마다 일정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I/O을 확인하였다.
이론적근거 ))
1. 환아의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제공의 자료가 된다.
2. 지속적인 관찰로 인해서 체온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3. 전도에 의한 열 손실 방법이다.
4.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손실된 체액을 공급 받을수 있다.
5. 열을 빨리 내려 준다.
6. 시원한 환경은 복사에 의한 열소실로 체온이 내려가게 한다. 침구를 가볍게 하고 옷을 얇게 입음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열 소실을 유도할 수 있다.
7.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서 체온을 조절할수 있다.
8. 체온저하가 왔을때의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9. 지속적인 관찰로 체온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평가 ))
3/26일
pm10:00 해열제 복용후 36.1'c 체크됨
3/27일
am12:00 36.3'c 체크됨
am02:00 36.6‘c 체크됨
am06:00 37.5'c 체크됨
am08:00 36.8'c 체크됨
pm02:00 37.9'c 체크됨
pm06:00 36.7'c 체크됨
로 기록되어 계속 안정된 체온을 유지 하였다.
섭취량과 배설량이 균형을 이루었다.
사정 ))
숨쉴때 그르렁 소리가 난다
객담 배출이 어렵다
흉부 청진시 가래 끊는 소리가 난다
기침과 심호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v/s 맥박 : 125~130회/1분 , 호흡 25~30회/1분
진단 ))
객담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목표 ))
단기목표 - 분비물을 배출하고 효율적으로 기침을 할 수 있다.
장기목표 -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 할 수 있다.
계획 ))
환아의 v/s 사정한다
분비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수 있도록 한다.(ex : 등을 두드려준다)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한다.
적절한 환경을 유지시켜준다.(ex: 뮤코미스트 흡입치료를 시행한다)
수행 ))
1. 환아의 v/s을 8시간마다 측정하였다. (맥박:136/호흡32/체온 36.6'c)
2. 분비물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해 타진하였다 (손을 컵모양으로 오므리고 등을 3~5분정도 타진한후 환아의 부모님께 자주 등을 두드려 주라고 당부 드렸다)
3. 하루 3컵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 하였다.
4. 가습기를 사용하여 객담을 묽게 하도록 하였다
5. 의사의 처방에따라 nebulizer를 실시 하였다
6. 기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숨을 깊은곳에서부터 기침을 할수 있도록 부모님께 가르쳐 드린후 아동을 도울 수 있도록 격려 하였다.
7.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환기를 시켰다.
8. 분비물을 배출시킨 후 빨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론적근거 ))
1. 환아의 사태를 파악하고 치료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제공의 자료가 된다.
2. 타진은 호흡기 내 분비물을 제거하고 촉진시켜준다.
3. 수분은 분비물을 묽게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와준다.
4. 가습기를 통하여 분비물을 액화시켜 배출을 도와준다.
5. 호흡기를 확장시키고 점액분비를 억제 시킨다.
6. 효율적인 기침을 통하여 분비물을 배출시켜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시켜 준다.
7. 적절한 습도를 유지 함으로써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공기의 정화로 이차적인 호흡기 감염을 예방할 수있다.
8.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차적인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평가 ))
호흡수가 24 → 32 → 28 → 28로 측정되었다.
분비물을 응고없이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었고 병실을 방문 했을때 환아의 등을 타진하는 모습을 볼수 있다.
부모님께서 적극적으로 기침을 유도하였고 환아가 잘 따라 했으며 환아의 호흡하는 모습이 편안해 보였다.
분비물을 자주 닦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환기를 통해 습도가 잘 유지되고 있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6.0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5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