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합한가 확인하고, 기록한다.
(5) 스위치를 on시킨다.
(6) 전류계와 전압계를 보면서 서서히 전원이 5V가 되게한다.
(7) 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기록한다.
(8) 전압계로 에 의한 전압강하 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9) ,,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10) 스위치를 off시킨다.
(11) 각 법칙에 적용하여 각 저항의 실험치를 계산 기록한다.
(12) 색 코드의 저항치와 실험저항치를 비교 평가한다.
5. 분석
실험1 => 토의사항 : 색코우드로 표시된 저항값과 측정값이 색 코우드로 표시된 오차 한계 안에서 일치하는가? 또 저항값 측정오차의 원인은?
- 옴의 법칙을 사용하면 V(전압) = I(전류) × R(저항)
각 저항에 걸린 전류와의 곱을 이용해 전압값을 구할수 있다
하지만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전압값을 구해보면 실질적으로 흘려준 전압의
값과 차이가 발생한다. 오차가 조금 발생한걸 생각해보았는데 멀티미터를 회로와 연결 한 상태에서 멀티미터 안의 내부 저항 값 또는 저항기와 연결된 도선의 저항을 생각안 하고 계산하여서 발생한 오차일수 있다.
실험2 => 토의사항 :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이 성립한다고 할 수 있는가?
-키로히호프의 전류법칙에 의하면 전류가 흐르는 길에서 들어오는 전류와나가는 전류의 합이 같다는 것이다.
실험3 => 토의사항 :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이 성립한다고 할 수 있는가?
-키로히호프의 전압법칙에 의하면 저항의 전압강하를 모두 합하면 가해진 전원 전압이된 다. 이번 실험에서 각 전압을 더해보니 실제적으로 가해준 전압과 거의 같게 나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오차가 상당히 적게나온 결과값이었다. 각 전압을 더하면 전체 전압값을 얻을수 있었다.
6. 검토 및 결론→ 실습보다는 이론이 중요한 실습이라 생각이 든다. 대부분의 회로는 법칙으로 80%정도 해석이 가능하다. 생각해보면 아주 간단한 이론이다. 들어가는 것과 나오는 것은 동일하다는 전류 이론과 전압이 보존되는 전압법칙 둘다 기본개념부터 차근차근 들어간다면 어렵지 않은 그런 내용이었다.
두개의 입력전압을 해석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방향이다.서로 다른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상호 간섭이 생긴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측정을 하면서 커런트 값을 조정하였더니 결과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일정한 주기를 보이며 값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였다. 실습과목이긴 하지만 이론과 이론의 숙련도가 많이 필요하다 생각이 든다.
(5) 스위치를 on시킨다.
(6) 전류계와 전압계를 보면서 서서히 전원이 5V가 되게한다.
(7) 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기록한다.
(8) 전압계로 에 의한 전압강하 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9) ,,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10) 스위치를 off시킨다.
(11) 각 법칙에 적용하여 각 저항의 실험치를 계산 기록한다.
(12) 색 코드의 저항치와 실험저항치를 비교 평가한다.
5. 분석
실험1 => 토의사항 : 색코우드로 표시된 저항값과 측정값이 색 코우드로 표시된 오차 한계 안에서 일치하는가? 또 저항값 측정오차의 원인은?
- 옴의 법칙을 사용하면 V(전압) = I(전류) × R(저항)
각 저항에 걸린 전류와의 곱을 이용해 전압값을 구할수 있다
하지만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전압값을 구해보면 실질적으로 흘려준 전압의
값과 차이가 발생한다. 오차가 조금 발생한걸 생각해보았는데 멀티미터를 회로와 연결 한 상태에서 멀티미터 안의 내부 저항 값 또는 저항기와 연결된 도선의 저항을 생각안 하고 계산하여서 발생한 오차일수 있다.
실험2 => 토의사항 :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이 성립한다고 할 수 있는가?
-키로히호프의 전류법칙에 의하면 전류가 흐르는 길에서 들어오는 전류와나가는 전류의 합이 같다는 것이다.
실험3 => 토의사항 :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이 성립한다고 할 수 있는가?
-키로히호프의 전압법칙에 의하면 저항의 전압강하를 모두 합하면 가해진 전원 전압이된 다. 이번 실험에서 각 전압을 더해보니 실제적으로 가해준 전압과 거의 같게 나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오차가 상당히 적게나온 결과값이었다. 각 전압을 더하면 전체 전압값을 얻을수 있었다.
6. 검토 및 결론→ 실습보다는 이론이 중요한 실습이라 생각이 든다. 대부분의 회로는 법칙으로 80%정도 해석이 가능하다. 생각해보면 아주 간단한 이론이다. 들어가는 것과 나오는 것은 동일하다는 전류 이론과 전압이 보존되는 전압법칙 둘다 기본개념부터 차근차근 들어간다면 어렵지 않은 그런 내용이었다.
두개의 입력전압을 해석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방향이다.서로 다른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상호 간섭이 생긴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측정을 하면서 커런트 값을 조정하였더니 결과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일정한 주기를 보이며 값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였다. 실습과목이긴 하지만 이론과 이론의 숙련도가 많이 필요하다 생각이 든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류와 자기장, Lenz의 법칙
전원의 내부저항, 전압안정 직류전원, DMM의 내부저항
전류계 및 전압계의 사용법
병렬 회로와 전류 분배 법칙
일반 물리학 실험-전류와 자기장, Lenz의 법칙
전류와 자기장 Lenz의 법칙 실험 보고서
[결과] 전압 배율기와 전류 분류기
[예비] 전압 배율기와 전류 분류기
[전기회로실험] 전압분할 및 전류분할 회로 설계 결과보고서
기초전기회로실험 - 직렬 연결된 저항기에 걸리는 전압강하의 합과 인가전압 사이의 관계 실험
4. 전류계, 전압계 및 전원장치의 사용법
실험보고서 -랩뷰(Lab 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저항 값을 측정
일반물리학 실험 - 휘트스톤 브릿지(휘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를 이용한 저항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