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5. 주의 사항
2.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5. 주의 사항
본문내용
원형 트랙의 반경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2) 구의 공간이동장치를 그림과 같이 트랙의 끝점 C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실험대에 장치하 고 실험실 바닥면으로부터 트랙까지의 높이를 측정한다.
3)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모눈종이와 먹지를 깔고, 높이(점 A와 점 C의 높이차)에서 구가 원형 트랙의 꼭지점 T를 겨우 통과하도록 구를 굴러내려 [눈치 빠른 학생은 이 되게 시도할 것임. 이는 어디까지나 오차가 없는 이상적인 경우임], 트랙 끝점 C로부터 떨어진 낙하 지점까지의 수평거리를 5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구한다.
4) 식 (8), 즉 에서으로 놓고 점 C에서의 구의 속력의 제곱을와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5) 또한 식 (4)를 사용하여 점 T에서의 구의 속력의 제곱을 원형 트랙의 반경값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5) 점 A 및 점 B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차이 와 점 A 및 점 C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차이 를 계산한다. 이들 값이 영이 아닐 경우 오차 와를 계산한다. 이들 오차의 원인을 분석한다.
6) 구가 원형 트랙의 꼭지점 T를 겨우 통과하는 경우 점 A와 점 T에서의 에너지 보존을 확인하기 위하여이 성립되는지 검토한다. 성립하지 않을 경우 오차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2) 일 때
1) 구의 공간이동장치를 그림과 같이 트랙의 끝점 C가 수평면과 적당한 각를 이루도록 설치하고 실험실 바닥면에서 점 B까지의 높이와 점 C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2)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모눈종이와 먹지를 깔고, 높이(점 A와 점 C의 높이차)에서 구가 원형 트랙의 꼭지점 T를 겨우 통과하도록 구를 굴러내려 떨어진 수평거리를 5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구한다.
3) 과정 1)과 2)에서 측정한 및의 값을 식 (8) 에 대입하여을 계산한다. 또한 식 (4)를 사용하여를 계산한다.
4) 점 A 및 점 B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차이 와 점 A 및 점 C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차이 를 계산한다. 이들 값이 영이 아닐 경우 오차 와를 계산한다. 이들 오차의 원인을 분석한다.
5) 구가 원형 트랙의 꼭지점 T를 겨우 통과하는 경우 점 A와 점 T에서의 에너지 보존을 확인하기 위하여이 성립되는지 검토한다. 성립하지 않을 경우 오차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5. 주의 사항
1. 쇠구슬을 놓을 때 임의적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2. 트랙이 투사방향과 일치하게 잘 맞추어져야 한다
2) 구의 공간이동장치를 그림과 같이 트랙의 끝점 C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실험대에 장치하 고 실험실 바닥면으로부터 트랙까지의 높이를 측정한다.
3)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모눈종이와 먹지를 깔고, 높이(점 A와 점 C의 높이차)에서 구가 원형 트랙의 꼭지점 T를 겨우 통과하도록 구를 굴러내려 [눈치 빠른 학생은 이 되게 시도할 것임. 이는 어디까지나 오차가 없는 이상적인 경우임], 트랙 끝점 C로부터 떨어진 낙하 지점까지의 수평거리를 5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구한다.
4) 식 (8), 즉 에서으로 놓고 점 C에서의 구의 속력의 제곱을와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5) 또한 식 (4)를 사용하여 점 T에서의 구의 속력의 제곱을 원형 트랙의 반경값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5) 점 A 및 점 B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차이 와 점 A 및 점 C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차이 를 계산한다. 이들 값이 영이 아닐 경우 오차 와를 계산한다. 이들 오차의 원인을 분석한다.
6) 구가 원형 트랙의 꼭지점 T를 겨우 통과하는 경우 점 A와 점 T에서의 에너지 보존을 확인하기 위하여이 성립되는지 검토한다. 성립하지 않을 경우 오차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2) 일 때
1) 구의 공간이동장치를 그림과 같이 트랙의 끝점 C가 수평면과 적당한 각를 이루도록 설치하고 실험실 바닥면에서 점 B까지의 높이와 점 C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2)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모눈종이와 먹지를 깔고, 높이(점 A와 점 C의 높이차)에서 구가 원형 트랙의 꼭지점 T를 겨우 통과하도록 구를 굴러내려 떨어진 수평거리를 5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구한다.
3) 과정 1)과 2)에서 측정한 및의 값을 식 (8) 에 대입하여을 계산한다. 또한 식 (4)를 사용하여를 계산한다.
4) 점 A 및 점 B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차이 와 점 A 및 점 C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차이 를 계산한다. 이들 값이 영이 아닐 경우 오차 와를 계산한다. 이들 오차의 원인을 분석한다.
5) 구가 원형 트랙의 꼭지점 T를 겨우 통과하는 경우 점 A와 점 T에서의 에너지 보존을 확인하기 위하여이 성립되는지 검토한다. 성립하지 않을 경우 오차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5. 주의 사항
1. 쇠구슬을 놓을 때 임의적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2. 트랙이 투사방향과 일치하게 잘 맞추어져야 한다
추천자료
[일반물리학 및 실험] 옴의 법칙
[일반물리학실험] (예비) 교류회로
[일반물리학 실험] 마찰계수 측정
[일반물리학 실험] RLC회로의 임피던스 : 저항(resistor), 인덕터(inductor) 및 축전기(capac...
[일반물리학 실험] RLC 공진회로 : 주파수 변화에 따른 RLC 병렬회로의 전류와 임피던스의 변...
[일반물리학실험] (결과) 직류회로 : 여러 개의 저항체와 직류 전원으로 구성된 직렬회로와 ...
[일반물리학실험] (결과) 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과 회절
[일반물리학실험] (결과)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교류전류가 흐르는 도선에서 발생하는 자기...
[일반물리학 실험] 휘스톤 브릿지 실험 (휘트스톤 브리지 / Wheatstone Bridge)
[일반물리학 실험] 관성모멘트와 각 운동량 보존 : 회전하는 물체의 관서오멘트를 실험을 통...
[일반물리학 실험] 중력가속도 실험-Air track
[일반물리학실험] 에어테이블 결과 보고서(Advanced Air Table) - 에어테이블을 이용한 속도...
[일반물리학 및 실험] 전자기 유도 (결과)
횡파 일반물리실험.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