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공영방송프로그램][BBC방송][NHK]공영방송의 개념, 공영방송의 가치, 공영방송의 역할, 공영방송의 편성, 외국 공영방송의 편성 사례(BBC 방송, NHK), 공영방송의 위기와 딜레마 문제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영방송][공영방송프로그램][BBC방송][NHK]공영방송의 개념, 공영방송의 가치, 공영방송의 역할, 공영방송의 편성, 외국 공영방송의 편성 사례(BBC 방송, NHK), 공영방송의 위기와 딜레마 문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공영방송의 개념

Ⅱ. 공영방송의 가치
1. 방송문화의 다원성 제고 기능
2.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공공영역의 기능
3. 보편성을 통한 다원성의 회복
4. 새로운 역할 부여의 의미

Ⅲ. 공영방송의 역할
1. 공영방송의 기본 역할
2. 위기 시대의 역할(과거 IMF위기상황 하에서의 사례)

Ⅳ. 공영방송의 편성

Ⅴ. 외국 공영방송의 편성 사례
1. BBC 방송
2. NHK

Ⅵ. 공영방송의 위기와 딜레마 문제
1. 이중 목표 추구의 딜레마
2. 정당성에 대한 도전
3. 공영방송의 문제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청률이 쉽게 만든 오락 프로그램의 그것에 훨씬 못 미치는 것이 실제 상황이다. 그렇다고 해서 차별화된 프로그램 대신 시장 점유를 높이는 현실적 접근을 하게 될 경우, 시민들은 공영방송에 내는 수신료 및 채널 할당 등 공영방송이 지니는 각종 혜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반대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대거 편성해 시청률이 낮아질 경우 시민들은 보지도 않는 채널에 특혜를 주는 것에 대해 다시 회의를 품게 된다.
2. 정당성에 대한 도전
공영방송은 국가 독점 시대의 비효율적 유물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정당성에 도전을 받고 있다. 공영방송은 시장 내 독점적 지위를 보장받고 그 대신 보편적 서비스와 균형된 편성의 의무를 다하는 것으로 정당성을 보장받아 왔다. 그러나 계속되는 신규매체의 등장과 디지털 기술은 방송 서비스의 수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고 있고, 이러한 서비스들은 전통적으로 공영방송이 담당해 왔던 기능들을 점차 대체해가고 있다. 결국, 특권은 점차 사라지고 있으나 공영방송에 대한 기대치는 변함이 없다는 사실이 정당성 위기의 본질이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인정되었던 특권이 이제는 아래와 같은 사항들로 비난을 받는 대상이 되었다.
다채널 시대는 방송 매체의 역학 구도를 바꾸어 놓고 있다. 공영방송은 과거, 광고를 수입원으로 하는 소수의 민영 상업방송과 경쟁했으나 이제는 가입료를 주수입원으로 하는 다수의 다 채널 민영 상업 방송과 경쟁을 벌여야 하게 되었다. 이는 독점에서 과점으로 지위를 낮췄던 공영방송이 이번에는 다시 완전 경쟁 시장의 현실 속으로 뛰어 들어가게 됨을 의미한다.
3. 공영방송의 문제점
과거 소수의 채널 시대와 달리 다채널 시대에는 능력 있는 PD, 작가, 스타들에 필요한 금액이 치솟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 구매 비용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 공영방송이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고급 프로그램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그러나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야 하는 공영방송이 민영방송과 경쟁하여 우수한 제작, 출연진의 확보나 우수 프로그램의 조달에 필요한 비용을 감당해 내기란 매우 힘든 일이다.
경쟁 채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유명 스타의 출연료나 스포츠 중계권료가 폭등하고 있다. 미국의 NBC 방송국은 시리즈 드라마 ER을 구입하기 위해 전년도에 비해 620% 인상된 가격을 제작사에 지불하였다. NBC는 또한 유명 시추에이션 드라마 사인펠드(Seinfeld) 한 회분을 위해 550만 달러를 지불하였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240%가량 오른 값이다(BBC)
4. 시장 개방으로 인한 불공정 문제 제기
시장 개방과 함께 정부 보조금 등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각종 조치들에 대한 국제 기구의 감시가 예민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수신료와 정부 보조금 등은 불공정 문제의 제기를 받는다. 과거, 공영방송은 국내 시장에서의 독점이 묵인되었다. 공영방송은 광고를 주 수입원으로 하는 민영 상업 방송과 경쟁하기 위해 수신료와 정부보조금 등을 재원으로 하거나 일부 국가의 경우 부족한 재원을 광고방송으로 조달해 왔다. 그러나 수신료와 정부보조금을 받는 공영방송이 광고만을 재원으로 하는 민영방송과 경쟁할 경우 구체적인 분야에서 불공정 거래의 시비에 휘말리게 된다. 공영방송이 광고방송을 더할 경우 불공정 거래에 대한 문제 제기는 더욱 심해진다.
스포츠 중계권을 놓고 공영방송사와 민영방송이 경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이 문제는 쉽게 부각된다. 공영방송사가 고가를 제시해 중계권을 확보했을 경우 민영방송사는 수신료와 정부보조금을 가진 공영방송사가 이미 유리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고 문제삼게 될 것이다. 유명 탤런트를 놓고 벌이는 경쟁 상황도 마찬가지다. 이미 스페인의 방송사 Telecinco가 자국 공영방송사 RTVE 뿐만 아니라 유럽 각 국의 방송사들의 불공정성을 지적해,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정부 보조 문제가 EC(European Community)의 법률 기구에서 논란을 빚은 바 있다(Mather). 이후 유사한 사례가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영국 등에서 속속 등장했다. 아직 한국에서는 이런 구체적인 논리로 비난이 제기되기보다는 일반적인 스포츠 중계권 전쟁에 대한 비난이 있을 뿐이지만(예를 들어, 진성호, 2000), 앞으로 민방과 공영방송이 같은 방송 소재를 놓고 경쟁을 벌일 경우 같은 형태의 문제제기가 발생할 것은 논리적으로 자명한 일이다.
이상과 같은 위기 요소의 확대 속에서 실제로 공영방송 시청률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공영방송의 시청률을 떨어뜨리고 있으며, 이는 결국 공영방송 기능의 저하를 의미하게 된다. 이미 유럽 전체에서 1984년에 평균 시청 점유율이 82%였던 공영방송은 46%로 급격한 시청률 하락세를 경험하고 있다(Tongue). 디지털 위성 및 케이블TV 방송 가입 가구가 점점 늘어나면서 공영방송은 다른 지상파 방송과 함께 점유율이 계속해서 하락하게 될 것은 기존 가입자들의 시청 패턴을 통해서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BBC, 2000 July 4). 한국에서도 SBS의 등장으로 KBS와 MBC의 시청 점유율은 많은 큰 저하를 보였다. 물론 현재 케이블 TV와 위성방송 가입율이 크게 신장한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의 추세를 본다면 앞으로 이러한 다매체의 시장점유가 크게 확대될 것은 당연하다.
참고문헌
○ 강형철 (2003), 공영방송의 재원과 공익성 문제에 대한 논의, 한국언론정보학회 주최 세미나, 우리나라 공영방송의 개혁방향과 과제 발표문, 방송회관
○ 박웅진(2003), 공영방송 프로그램 비교분석, 우리나라 공영방송의 개혁방향과 과제, 한국언론정보학회 세미나
○ 박은희(2002), 다채널 시대의 공영방송 편성: 목표와 지향, 다채널 시대 공영방송 정착방안 한국방송학회세미나
○ 손 용(1989), 현대방송이론, 서울: 나남
○ 이재현(1998), 공영방송 편성패턴 비교분석, 방송문화연구 제10집
○ 정두남(2002), 공영방송 민영화 논의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필리파 마크, 마크 슈머, 이반 비어호프, 리차드 웜슬리 지음, 배현석 옮김(2000), 영국의 디지털 방송정책과 효과, 한국방송진흥원 총서 22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6.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