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로스토프 양가의 귀족을 중심으로 각각 작가가 사랑하는 인물들을 등장시켜 각자의 슬픔·기쁨·고민 등 많은 생활을 통하여 유례없는 가정소설적인 요소를 짜 넣음으로써 이것이 이 소설로 하여금 한낱 역사소설의 영역을 넘어서 세계 최고의 고전적 지위를 점하게 하였습니다.
안드레이 공작과 피에르 베즈호프와는 특히 중요한 주인공들입니다. 명예욕이 강하고 현실적이어서 전형적인 귀족 인텔리겐치아인 안드레이 공작은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부상한 뒤로 삶의 허무감에 사로잡혀 현실생활에서 후퇴하였다가 마침내 죽게 됩니다. 소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에 대하여 피에르 베즈호프는 많은 곤란과 모색 끝에 인생의 목적은 사는 데 있다는 삶의 철학을 깨닫고, 역시 삶의 화신같이 발랄한 나타샤와 함께 새 생활의 길을 떠납니다. 나타샤는 이 작품에서 톨스토이의 생명 긍정의 사상을 체현하는 존재가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녀는 천진난만하고 조금의 꾸밈도 없이 항상 자연 그대로 행동을 합니다.
이는 작가 톨스토이의 신혼 당시의 밝은 '옵티미즘(낙천주의)'의 반영입니다. 안드레이 공작이 작가가 제시한 '삶'이란 과제에 대해 명백하게 부정적인 해답을 내려 '마이너스' 방향으로 간 탓으로 멸망한 데 대하여, 피에르는 긍정적인 해답을 내려 '플러스'를 향한 일보를 크게 내디뎠기 때문에 행복한 새 생활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처참한 전쟁을 그려 가면서도 작품에서 의외로 밝은 청춘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문구는 「어째서 지금까지 이 높은 하늘이 눈에 띄지 않았을까? 그러나 이제라도 겨우 이것을 알게 되었으니 나는 정말 행복하다. 그렇고 말고! 이 끝없는 하늘 외에는, 모든 것이 공허하고 모든 것이 기만이다. 이 하늘 이외에는, 아무 것도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입니다.
아우스테르리쯔의 격전에서 중상을 입고 쓰러진 안드레이 포르콘스키가 의식을 되찾고, 머리 위의 푸른 하늘을 바라보고 마음속에서 중얼거리는 말입니다.
저는 처절한 전쟁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이 소설을 읽고 나서 왠지 모르게 등장인물 각자의 생활을 통해 삶의 기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의 명작을 감상하게 되었다는 것이 스스로도 벅찬 감동이었습니다.
참고문헌
* <<톨스토이>> 안코라브린 -한일사
*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메레지 코프스키 -금문서적
* <<톨스토이의 삶과 문학>> 로망롤랑 -청암
안드레이 공작과 피에르 베즈호프와는 특히 중요한 주인공들입니다. 명예욕이 강하고 현실적이어서 전형적인 귀족 인텔리겐치아인 안드레이 공작은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부상한 뒤로 삶의 허무감에 사로잡혀 현실생활에서 후퇴하였다가 마침내 죽게 됩니다. 소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에 대하여 피에르 베즈호프는 많은 곤란과 모색 끝에 인생의 목적은 사는 데 있다는 삶의 철학을 깨닫고, 역시 삶의 화신같이 발랄한 나타샤와 함께 새 생활의 길을 떠납니다. 나타샤는 이 작품에서 톨스토이의 생명 긍정의 사상을 체현하는 존재가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녀는 천진난만하고 조금의 꾸밈도 없이 항상 자연 그대로 행동을 합니다.
이는 작가 톨스토이의 신혼 당시의 밝은 '옵티미즘(낙천주의)'의 반영입니다. 안드레이 공작이 작가가 제시한 '삶'이란 과제에 대해 명백하게 부정적인 해답을 내려 '마이너스' 방향으로 간 탓으로 멸망한 데 대하여, 피에르는 긍정적인 해답을 내려 '플러스'를 향한 일보를 크게 내디뎠기 때문에 행복한 새 생활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처참한 전쟁을 그려 가면서도 작품에서 의외로 밝은 청춘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문구는 「어째서 지금까지 이 높은 하늘이 눈에 띄지 않았을까? 그러나 이제라도 겨우 이것을 알게 되었으니 나는 정말 행복하다. 그렇고 말고! 이 끝없는 하늘 외에는, 모든 것이 공허하고 모든 것이 기만이다. 이 하늘 이외에는, 아무 것도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입니다.
아우스테르리쯔의 격전에서 중상을 입고 쓰러진 안드레이 포르콘스키가 의식을 되찾고, 머리 위의 푸른 하늘을 바라보고 마음속에서 중얼거리는 말입니다.
저는 처절한 전쟁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이 소설을 읽고 나서 왠지 모르게 등장인물 각자의 생활을 통해 삶의 기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의 명작을 감상하게 되었다는 것이 스스로도 벅찬 감동이었습니다.
참고문헌
* <<톨스토이>> 안코라브린 -한일사
*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메레지 코프스키 -금문서적
* <<톨스토이의 삶과 문학>> 로망롤랑 -청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