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탈춤, 민요, 판소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봉산탈춤

2. 민요

3. 판소리

(1) 판소리란?

(2) 판소리의 기원

(3) 판소리의 역사

(4) 판소리의 특징

① 장단

② 조

③ 소리꾼과 고수

본문내용

주는데, 장엄하고 남성적인 장면과 여유있고 유유한 장면 등에 쓰인다. ]
③ 평조
우조와 유사하나 명랑하고 화창한 느낌을 주며, 기쁘거나 흥겨운 장면에 사용된다.
(3) 판소리의 소리꾼과 고수
소리꾼과 고수는 판소리 연행의 직접적인 담당자들이다. 고수는 말 그대로 북을 치는 사람을 가리킨다.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북은 소리북 혹은 고장북이라고 부른다. 소리북은 가죽을 늘여 양쪽에 댄 다음 북통에 못을 박아 고정시킨다. 소리북은 판소리 반주하는 북이라는 뜻이며, 고장북은 못으로 가죽이 고정된 북이라고 알려져 있다.
외국 성악곡에는 무반주 성악도 있지만, 아직까지 판소리 공연에서는 그러한 예가 없을 만큼, 판소리 공연에서는 고수를 동반하는 것이 필수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고수가 갖추어야 할 3가지 요소로 자세, 추임새, 가락을 든다.
① 바른 자세
바른 자세는 책상다리로 앉아 허리를 펴고 소리꾼을 똑바로 바라보는 것을 말하며, 소리 동중에는 꼭 필요한 동작과 안정된 반주로 소리하는 사람과 호흡하는 것이 강조된다.
② 추임새
고수의 추임새는 뱃솟에서부터 올라오는 무게 있는 음성으로 소리 가락이나 이야기의 진행상황에 잘 맞춰져야 한다. 대개 고수는 나이에 상관없이 소리꾼에게 존칭을 사용하지 않고 “좋다”,“잘한다” 하는 식이 일반적이다.
③ 가락
가락은 맛깔스럽게 소리와 조화하는 장단을 말한다. 특히 고수의 북은 판소리 사설의 내용이나 가락에 잘 어울려야 하고, 소리만의 단순성에서 벗어나 소리에 광채를 더하는 역할, 소리가 쉬는 부분을 메워주는 역할, 효과음 역할, 속도 조절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6.09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