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북극의 나누크; 정상과 비정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사명감이었건, 영화로 돈을 조금 벌어보고자 했던 심산이었던 간에 영화는 그 자체로 관객에게 울림을 준다. 그것은 인간이 인간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보고 이누이트들의 삶을 바라보는 데에 있어 관객 자신만의 톡특한 시선과 느낌과 감정을 가지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누구의 시각이 옳고 그름을 떠나 관객은 감독의 의도한 음악과 편집과 구도와 상황설정에 따라 감독이 느끼고 생각한 바에 따라 영화를 감상하게 된다. 감독은 관객들로 하여금 자신의 시선과 시각과 느낌과 감정을 그대로 전달하고 공유하려는 의도를 가진 듯 해 보인다. 감독이 그런 의도를 가지지 않았다 할 지라도 그가 만들어낸 모든 극적인 장치들을 통해 날 것의 소재들은 이미 재구성된 형식으로 관객들에게 다가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미지의 재현은 완전한 사실의 복사일 수 없다’는 것을 〈북극의 나누크〉는 증명한다. 비교적 수용하기 쉬운 나누크의 삶의 이야기에서 위의 지적은 가혹한 것일지 모른다. 하지만 히틀러의 다큐멘터리에서 보이는 것처럼 영화를 의도적 기법을 통해 특정 사상과 이데올로기를 주입하는 도구로 쓴다면 그것은 굉장히 위험한 무기가 될 수 있다.
  • 가격1,1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6.10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