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맑스의 계급론
3. 베버의 계급론
4. 맑스의 계급론과 베버 계급론의 접근
5. 결론과 남은 문제
2. 맑스의 계급론
3. 베버의 계급론
4. 맑스의 계급론과 베버 계급론의 접근
5. 결론과 남은 문제
본문내용
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이들에 의해 기초가 형성된 계급론은 오늘날 다양한 방면으로 확대되어 사회의 모습을 파악하고 변동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심지어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조차 노동자계급, 화이트칼라계급 등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우리가 사용하는 계급이란 용어의 경계는 여전히 모호하다. 비록 베버가 계급의 다원화를 꾀하였으며, 사회계급을 통해 그 범주를 재조정하였다고는 하나 그 모호성, 추상성이 완벽히 제거되지는 못하였다. 그것은 사회적 실재 속에서는 사회계급들은 추상적인 존재가 아니라 활기찬 일상 활동에 종사하는 구체적으로 위치한 사람들의 집단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계급 구분의 모호함은 계급은 잠재적 권력의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 때문에 불안감을 더한다. 이것은 마치 민주화세력, 군부세력이 정당성의 유무를 판가름하는 기준이 되는 것처럼, 계급 역시 정당성 판단의 기준에 설 수 있다는 위험이다. 실질적으로 우리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라는 용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며 사회를 비판하고 변혁을 주장한다. 그리고 링의 한 코너에서 천천히 다가와 어느 한편을 손을 들고 그 편의 승리를 선언한다. 위 용어들이 얼마나 기술적이며 추상적인 것인가를 생각했을 때 그 판정의 위험성은 배가된다. 그리고 이에 더해지는 문제점은 이 비합리적인 기술적 분류를 악용할 정치적 집단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계급의 대변 이론(representation theory) 논쟁이 함께 하고 있으며, 이 부분은 다음의 과제에서 계급론의 심화와 함께 보다 깊이 다룰 문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 참고문헌 --------
Lewis A. Coser, 『사회사상사』, 신용하 박명규 (역) 시그마프레스, 2003. pp.51-106, pp.265-318.
Stuart Hall, 「마르크스계급론 - 정치적 수준과 경제적 수준」, 박준식 외 (역) (1986).『계급분석의 기초이론』. 서울: 도서출판세계. pp. 17-65.
Anthony Giddens, 「베버의 계급론 - 마르크스 이론에 대한 비판」, 박준식 외 (역) (1986).『계급분석의 기초이론』. 서울: 도서출판세계. pp. 66-80.
Dale Jonson, 「계급분석의 현대적 시각 - 변증법적 분석방법」,『박준식 외 (역) (1986).『계급분석의 기초이론』. 서울: 도서출판세계. pp. 113-139.
이러한 계급 구분의 모호함은 계급은 잠재적 권력의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 때문에 불안감을 더한다. 이것은 마치 민주화세력, 군부세력이 정당성의 유무를 판가름하는 기준이 되는 것처럼, 계급 역시 정당성 판단의 기준에 설 수 있다는 위험이다. 실질적으로 우리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라는 용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며 사회를 비판하고 변혁을 주장한다. 그리고 링의 한 코너에서 천천히 다가와 어느 한편을 손을 들고 그 편의 승리를 선언한다. 위 용어들이 얼마나 기술적이며 추상적인 것인가를 생각했을 때 그 판정의 위험성은 배가된다. 그리고 이에 더해지는 문제점은 이 비합리적인 기술적 분류를 악용할 정치적 집단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계급의 대변 이론(representation theory) 논쟁이 함께 하고 있으며, 이 부분은 다음의 과제에서 계급론의 심화와 함께 보다 깊이 다룰 문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 참고문헌 --------
Lewis A. Coser, 『사회사상사』, 신용하 박명규 (역) 시그마프레스, 2003. pp.51-106, pp.265-318.
Stuart Hall, 「마르크스계급론 - 정치적 수준과 경제적 수준」, 박준식 외 (역) (1986).『계급분석의 기초이론』. 서울: 도서출판세계. pp. 17-65.
Anthony Giddens, 「베버의 계급론 - 마르크스 이론에 대한 비판」, 박준식 외 (역) (1986).『계급분석의 기초이론』. 서울: 도서출판세계. pp. 66-80.
Dale Jonson, 「계급분석의 현대적 시각 - 변증법적 분석방법」,『박준식 외 (역) (1986).『계급분석의 기초이론』. 서울: 도서출판세계. pp. 113-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