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motic Hemolysis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Osmotic Hemolysi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실험 제목 : Osmotic Hemolysis
․ 실험 배경 : isosmotic, isotonic의 개념을 알고 혈액이 다양한 용액속에서 어떻게 되는지를 관찰한다.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결과
․ 개선점 & 의문

본문내용

따라서 친수성인 -OH기보다 소수성인 아세틸기가 많은 triacetin쪽으로 갈수록 세포막 permeability가 높아지고, 따라서 lysis도 빨리 일어나게 된다. triacetin은 거의 넣음과 동시에 lysis가 일어났다.
개선점 & 의문
혈액이 실험 후반부에 갈수록 굳어서 용매속에 금방 퍼지질 않았다. 혈액이 굳지 않도록 Ca++ 결합물질 등을 넣고 하거나, 아니면 여러명이 동시에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더 좋을뻔 했다.
적혈구 막의 정확한 glucose 운반 기전을 알고 싶다.
세포막의 Cl- permeability가 궁금하다. 생리학 책에 보면 세포안팎의 전위차는 주로 K+에 의한 것이라며 Cl-의 투과성이 크기는 하나 막전압에 따라 피동적으로 재배치되어 평형에 도달한다고 하는데,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만약 투과성이 크다면, NaCl을 넣었을 경우에는 세포 안팎의 전위와 Cl-의 이동을 같이 생각해야 하는 복잡함이 생긴다.
또한 혈구내에 투과성 이온이 없다고 먼저 가정해야 하는 것인지 의문스럽다. 투과성 이온이 있다면 어느정도 막을 통과하는지, 바깥에 존재하는 양이온, 음이온이 안으로 들어올 때 어떤 식으로 이동하는지 아주 복잡해진다.

추천자료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6.16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