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확수법(MPN)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확수법(MP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및 원리

2. 재료, 시약, 기구

3. 실험 방법

4. 결과

5. 고찰 및 이해

본문내용

듀란관의 기포를 빼기 어려워진다.
② 시험관을 Autoclave에 넣을 때에는 입구를 막되 꽉 막지 않도록 주의한다.(꽉 막으면 깨질 위험이 있다.)
③ 시험관에 일반적인 피펫이 들어가지 않아서 실험조작이 어려울 경우에는 “피펫에이드”를 사용한다.(사용법은 피펫과 동일)
④ 희석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균조작과 vortexing이다.
∞ Peptone water
펩톤은 단백질의 산, 알칼리,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부분 분해산물 중 프로테오스보다 저분자로 수용성이며 열에 응고하지 않고 황안염석이나 다른 침전법으로도 침전하지 않는다. 뷰렛반응을 하면 크기가 다른 양성 펩티드의 혼합물이고 여러 가지 펩티다아제에 의하여 다시 분해되어 아미노산이 되며 특히 미생물 배양기의 질소원으로 사용된다. 펩톤수는 이러한 펩톤을 수용액에 녹인 것인데 미생물 배양에서의 무기염류로 이용되어 증류수보다 미생물 배양에 보다 좋은 조건을 제시한다.
6. 참고문헌
John Garbutt, 『Essentials of Food Microbiology』, Arnold, 1997
박신인,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효일, 2004
이갑상, 『미생물학 분자생물학사전』, 대학서림, 1997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6.16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