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고령화의 원인 분석과 대비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있고,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지속창출 정책}으로 산업단지 조기확충, 전략산업 집중 육성, 국내외 투자유치 활성화, 신규일자리 40000만개 창출 등이 있다.
4. 건강한 노후생활 지원
가정방문을 통한 보건의료복지서비스 제공(찾아가는 보건소 운영)
추진배경 : 의료취약계층에 대해 사회적 안정망 구축 및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으로 국민의료비 절감의 필요성 증대
사업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노인부부,
65세 이상 노인, 차상위 가구 등(‘06년 4만가구)
사업내용 : 대상자 등록 및 관리, 의료정보 및 직접 간호제공 및
대상자 요구에 맞는 서비스 연계 등 가정방문을 통한
포괄적인 보건의료복지서비스 직접제공 또는 연계
시행기관 : 구군 보건소
노인건강증진 허브보건소 운영사업
전국노인건강대축제
노인전담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노인 여가문화 인프라 지원
5.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저소득노인 생계안정 지원
무의탁 노인 명절 위로금 : 16,500명, 연 120천원(2회)
경로연금 : 수급자 월45~50천원, 저소득층 월30~35천원
노인교통수당 지원 확대(‘06년부터 확대지원)
- 기초수급노인 : 30,000 → 48,000원/분기
- 일 반 노 인 : 25,200 → 30,000원/분기
노인급식지원 : 경로식당 69개소 7,000명, 식사배달 60개소
1,954명, 밑반찬배달 주2회 500명
노인 적합형 일자리 창출
그밖의 대비책 - 노인복지 인프라 구축, 치매 등 노인성 질환자를 위한 노인병원 건립, 고령화친화용품 산업화 지원, 고령친화 U-Home Health Care 구축 등이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저출산고령화문제는 이미 심각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부산시는 다양한 대안을 마련하고 실천에 옮기고 있다.그러나 출산 장려, 고령화 대책은 시민의 호응도가 높아야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행정기관의 시책이 아무리 그럴듯해도 시민, 기업, 단체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으면 있으나마나한 것이다. 이런 문제 해결에는 재원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재정난이 타 지자체보다 낫다고 볼 수 없는 부산시의 능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물론 자체적으로도 최소의 재원으로 최대의 성과를 나타낼 수 있는 노력이 있어야겠지만, 대국적인 차원에서 정부의 정책마련 및 재정지원 또한 병행된다면 더욱더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6.17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0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