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년 전과 지금은 달라지지 않은 것이다. 여전히 남성들은 굳세며 끈기 있어야 하고, 강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그런 것들은 동일한 성별을 지닌 남성을 통해서 학습되어질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이 논리를 반대로 뒤집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여자 선생님의 비율이 남성보다 높아진 것은 약 10~20년 전부터 나타나게 된 현상이었다. 이때는 여성에게 직업의 문이 좁았기 때문에 남자 선생님이 월등하게 많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여학교에서도 물론 남자 선생님이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남자 선생님이 대부분이었을 시절, 여학생들은 '남성화'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남자 선생님들로 하여금 더욱 조신하고 조용하며, 차분한 여학생이 되어야한다고 교육 받았다. 그러므로 여성 교사의 수가 많다고 해서 남학생이 '여성화 '되어가고 있다는 말은 무의미한 것이며 그 이전에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라는 구분이 무의미한 것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우리는 남과 여의 구분이 자유로운 시대에서 살고 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판사나 검사들 중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아졌다고 보도되며 남성 미용사가 늘어났다는 신문 기사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모순점을 가지고 있다. 진정으로 남과 여의 역할 구분이 유연해졌다면 이전에 성별의 벽을 뛰어넘었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호기심이 줄어들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에 대한 기사나 보도로 특별하다고 취급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판사나 검사와 같은 전문직이 남성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보육원 선생님이나 미용사와 같이 섬세하고 감성적인 면을 필요로 하는 직업이 여성으로 대표된다는 생각들이 아직도 변하지 않은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아직도 여성과 남성의 구분,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에 대한 정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성별이라는 것으로 한 개인의 능력이나 인격, 성격 등을 규정하며 그것이 바뀔 수 없는 것이며 바꾸게 되면 사회적으로 일탈하게 된다는 생각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아직도 사회의 기득권으로 대표되는 남성들이 이러한 생각들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재생산 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반대로 여성들은 지금까지의 성 역할의 차이를 수용하는 것이 사회적인 동정이나 보상 등을 받을 수 있고 그것을 벗어나려고 할 때에는 그 만큼의 희생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쉽게 목소리를 낼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남성은 끊임없이 여성과 소통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하며 여성 역시 그동안 교육 받아왔던 소극적이고 순종적인 기존의 여성상에서 벗어나 본인이 지닌 능력과 인격, 성격 등을 성별에 관계없이 발휘하려는 도전과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대한 정의와 그를 받아들였던 우리들의 편견, 선입관들은 하루아침에 바뀔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계속해서 문제를 제기하며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수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인터뷰 발췌 :<36>조혜정의 ‘한국의 여성과 남성’ - http://blog.daum.net/glinhaus/12478920
사 전 적 의 미 발 췌 : www.naver.com
우리는 남과 여의 구분이 자유로운 시대에서 살고 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판사나 검사들 중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아졌다고 보도되며 남성 미용사가 늘어났다는 신문 기사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모순점을 가지고 있다. 진정으로 남과 여의 역할 구분이 유연해졌다면 이전에 성별의 벽을 뛰어넘었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호기심이 줄어들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에 대한 기사나 보도로 특별하다고 취급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판사나 검사와 같은 전문직이 남성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보육원 선생님이나 미용사와 같이 섬세하고 감성적인 면을 필요로 하는 직업이 여성으로 대표된다는 생각들이 아직도 변하지 않은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아직도 여성과 남성의 구분,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에 대한 정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성별이라는 것으로 한 개인의 능력이나 인격, 성격 등을 규정하며 그것이 바뀔 수 없는 것이며 바꾸게 되면 사회적으로 일탈하게 된다는 생각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아직도 사회의 기득권으로 대표되는 남성들이 이러한 생각들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재생산 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반대로 여성들은 지금까지의 성 역할의 차이를 수용하는 것이 사회적인 동정이나 보상 등을 받을 수 있고 그것을 벗어나려고 할 때에는 그 만큼의 희생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쉽게 목소리를 낼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남성은 끊임없이 여성과 소통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하며 여성 역시 그동안 교육 받아왔던 소극적이고 순종적인 기존의 여성상에서 벗어나 본인이 지닌 능력과 인격, 성격 등을 성별에 관계없이 발휘하려는 도전과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대한 정의와 그를 받아들였던 우리들의 편견, 선입관들은 하루아침에 바뀔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계속해서 문제를 제기하며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수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인터뷰 발췌 :<36>조혜정의 ‘한국의 여성과 남성’ - http://blog.daum.net/glinhaus/12478920
사 전 적 의 미 발 췌 : www.naver.com
키워드
추천자료
[자원봉사론]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중년(여성, 남성)문제 해결을 위해 자원봉사...
자원봉사론4B)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노인문제 해결을 위해 자원봉사를 어떻게 ...
[자원봉사론]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여성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자원봉사...
[노인문제] 현대사회 노인문제에 대한 고찰 및 사회복지적 접근방안 모색[노인우울증]
[사회복지개론] 현대사회 가족문제와 가족복지정책
[산업심리학] 현대사회의 특징과 현대인의 삶의 특징
자원봉사론4A공통)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중 하나를 골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
여성복지론 - 현대사회와 여성복지의 필요성(여성이 경험하는 생애주기에 따른 불평등과 위험...
[사회복지개론] 현대사회의 가족문제에 대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
[사회복지개론]현대사회 노인문제가 대두되는 배경과 해결방안을 논하시오.
[인간행동의심리학적이해]현대사회의 특징과 이에 부합되는 현대인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