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물 부족
2. 생물멸종
3. 소음공해
4. 황사
5. 새집증후군
6. 이슈! - 태안기름유출사고
2. 생물멸종
3. 소음공해
4. 황사
5. 새집증후군
6. 이슈! - 태안기름유출사고
본문내용
1. 물 부족
물, 바닥을 드러내다.
공기와 더불어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자원인 물.
그 양과 질은 인간뿐만이 아닌 지구의 생명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현재 전 세계의 물은 부족과 오염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그 사용량은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현실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자원의 확보는 더욱 어려워진 상황이다.
물 부족 국가?
국제연합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에서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평가해 물이 부족하다고 분류한 나라를 말한다.
연간 물 사용 가능량이 1,000㎥ 미만 : 물 기근국가
1,000~1,700㎥ : 물 부족국가
1,700㎥ 이상 : 물 풍요국가
인구 밀도가 낮은 아이슬란드가 1인당 60만 6,500㎦로 세계 최고의 물 부유국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3년 1인당 물 사용 가능량이 1,470㎥로 물 부족국가에 해당하고, 2000년 사용 가능량도 1,488㎥로 역시 물 부족국가에 해당하는 한편, 2025년에는 많게는 1,327㎥, 적게는 1,199㎥가 될 것으로 분석되는 등 갈수록 물 사정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
우리나라는 연간 강수량이 세계 평균인 973㎜보다 많은 1,283㎜이지만, 국토의 70% 정도가 급경사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강수량의 대부분이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내림으로써 많은 양이 바다로 흘러간다. 또한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강수량은 세계 평균의 12%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 부족의 원인
1) 강수량의 여름집중호우
비가 여름에 집중적으로 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mm로 세계평균보다 1.3배 높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연 강수량은 2,955㎥으로, 세계 1인당 연 강수량의 12.5%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에 내리는 비의 양을 수자원 총량으로 보면 연간 약 1,267억㎥정도인데, 이 중 지하로 스며들거나 증발되는 양을 제외하고 하천으로 흘러가는 물의 양은 50% 정도.
물, 바닥을 드러내다.
공기와 더불어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자원인 물.
그 양과 질은 인간뿐만이 아닌 지구의 생명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현재 전 세계의 물은 부족과 오염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그 사용량은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현실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자원의 확보는 더욱 어려워진 상황이다.
물 부족 국가?
국제연합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에서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평가해 물이 부족하다고 분류한 나라를 말한다.
연간 물 사용 가능량이 1,000㎥ 미만 : 물 기근국가
1,000~1,700㎥ : 물 부족국가
1,700㎥ 이상 : 물 풍요국가
인구 밀도가 낮은 아이슬란드가 1인당 60만 6,500㎦로 세계 최고의 물 부유국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3년 1인당 물 사용 가능량이 1,470㎥로 물 부족국가에 해당하고, 2000년 사용 가능량도 1,488㎥로 역시 물 부족국가에 해당하는 한편, 2025년에는 많게는 1,327㎥, 적게는 1,199㎥가 될 것으로 분석되는 등 갈수록 물 사정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
우리나라는 연간 강수량이 세계 평균인 973㎜보다 많은 1,283㎜이지만, 국토의 70% 정도가 급경사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강수량의 대부분이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내림으로써 많은 양이 바다로 흘러간다. 또한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강수량은 세계 평균의 12%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 부족의 원인
1) 강수량의 여름집중호우
비가 여름에 집중적으로 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mm로 세계평균보다 1.3배 높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연 강수량은 2,955㎥으로, 세계 1인당 연 강수량의 12.5%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에 내리는 비의 양을 수자원 총량으로 보면 연간 약 1,267억㎥정도인데, 이 중 지하로 스며들거나 증발되는 양을 제외하고 하천으로 흘러가는 물의 양은 50% 정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