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융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방송통신융합
i. 방송통신융합의 개념
1. 방송과 통신
2. 방송통신융합의 정의
3. 방송통신융합의 유형
ii. 방송통신융합의 파급효과
1. 사회적 측면
2. 문화적 측면
3. 정치/행적 분야적 측면
4. 경제적 측면
iii. 방송통신 융합 시대에서의 콘텐츠 산업

III. 결론

본문내용

입장에서만 생각한다면 그 서비스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소음 없는 진공청소기가 실패했던 이유도 소비자는 소리가 나지 않는 청소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랬던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융합의 시대에 소비자가 접할 수 있는 내용의 다양성, 국민의 기본적 권리가 침해당하지 않을 독립성, 국민경제를 살찌울 수 있는 산업성, 국민 모두가 혜택 받을 수 있는 보편성 등의 쟁점들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 즉 국민의 입장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로, 미래의 우리 후배와 후손이 충분히 고려된 환경으로 진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인터넷이 처음 상용화되고 우리 실생활과 하나가 되었을 때 그 사용자의 대부분이 청소년을 포함한 젊은 층이었듯이 결국 현재 만들어지는, 그리고 만들어질 융합 환경의 실수요자는 청소년들이 될 것이다. 때문에 지금의 생각과 사고의 틀에 얽매이지 말고, 열린 생각으로 받아 들여야 할 것이다. 즉, 유연성과 여유로움을 가지고 대처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융합과정에서 소수의 희생을 강요해서 다수가 이익을 얻는 일은 지양되어야 하며, 동시에 소수가 양보하지 않아서 많은 이득을 가져올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는 경유는 없어야 할 것이다. 융합의 궁극적인 목적은 결국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가장 큰 수혜자는 국민이 되어야 하며, 그 과정에서 특정 이해집단이 왈가왈부하며 방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신의 주장과 이익을 한걸음씩 양보해서 모두가 win-win하는 사회를 만들어 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더불어 방송통신융합 시대에 걸맞는 방송과 통신을 통합하여 규제하고 제어, 총괄하는 단일 규제기관을 만들고 관련법 개정이 빠르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방송통신융합
-서적: 방송통신융합이 콘텐츠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과제, 2006 문화미디어산업백서
-웹사이트: 아젠다넷(www.agendanet.co.kr)
방송통신융합의미래
(http://blog.naver.com/hangyusub?Redirect=Log&logNo=30013439282)
방송통신융합시대, 콘텐츠가 생명
(http://blog.naver.com/t016mm?Redirect=Log&logNo=130011864606)
콘텐츠를 가져라, 세계는 문화콘텐츠 전쟁중
(http://blog.naver.com/ctnews_?Redirect=Log&logNo=50027273876)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6.19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0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