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위층의 비도덕적인 모습
1)고위층의 탈세
2)고위층의 병역비리
3)고위층의 빈약한 기부문화
2. 고위층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행하지 않는 원인
3.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한 사람들
1)워렌 버핏
2)영국의 해리 왕자
3)최 부잣집
4. 해결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고위층의 비도덕적인 모습
1)고위층의 탈세
2)고위층의 병역비리
3)고위층의 빈약한 기부문화
2. 고위층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행하지 않는 원인
3.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한 사람들
1)워렌 버핏
2)영국의 해리 왕자
3)최 부잣집
4. 해결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갚을 사람이라면 담보가 없어도 못 갚을 것”이라며 담보서약 문서를 모두 불태우기도 했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최 부잣집은 흉년 때마다 경상북도 인구의 10%에 이르는 사람에게 구휼을 베푼 것으로 나타났다.
4. 해결 방안
‘유전무죄 무전유죄’란 말이 있다. 이 말은 우리사회에서 고위층에게 법이 얼마나 약하게 적용된 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고위층은 형 집행을 받아도 금방 풀려나고, 자신의 지위를 내새워 비리나 탈세를 저지른다. 이런 행동은 비도덕적일 뿐만 아니라, 그것을 본 자식에게 대물림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고위층의 부정을 막기 위해서는 고위층에게 일반 시민들보다 더 엄중한 법의 처벌을 가해야 한다.
그러나 법의 처벌은 최후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법의 엄중한 처벌보다 먼저 실현되어야 할 것은 바로 고위층의 의식 전환이다. 고위층이 먼저 자신의 도덕적 의무, 곧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법이 무서워서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한다면 그것이 제대로 실행될 리 없다. 고위층이라는 인식보다는 자신도 국민의 한 사람이라는 것을 마음과 머릿속에 새기고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할 때 비로소 진정한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해리 왕자의 사례나 워렌 버핏 같은 사람을 보면 참 부럽다는 생각이 든다. 해리 왕자는 군복무 당시 ‘총알 자석’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그 정도로 그는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그는 군복무를 충실히 해냈다. 워렌 버핏은 상속세를 내는 것이 결코 자신에게 유리하지 않은 것임을 알고 있지만 사회의 균등을 이루기 위해 과감히 상속세 폐지를 반대한다.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이 부럽고, 그 생각을 그대로 실천하는 것이 대단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고위층은 아직도 병역의 의무를 피하기 위해서 유학을 가거나, 자신이 버는 만큼 내는 세금인데도 그것이 아까워 탈세를 저지르고, 남들에게 질타를 받을까봐 명목상의 기부를 행하고 있다.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이제는 도덕적으로 더 성숙한 나라로 발전해야하지 않을까. 최 부잣집, 워렌 버핏 등과 같이 고위층이 올바른 병역의 의무와 세금, 기부 등의 진실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행하는 날이 어서 오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노블레스 오블리주 - 세상을 비추는 기부의 역사>, 예종석, 살림, 2006
<노블레스 오블리주 - 현택수 사회비평>, 현택수, 동문각, 2002
4. 해결 방안
‘유전무죄 무전유죄’란 말이 있다. 이 말은 우리사회에서 고위층에게 법이 얼마나 약하게 적용된 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고위층은 형 집행을 받아도 금방 풀려나고, 자신의 지위를 내새워 비리나 탈세를 저지른다. 이런 행동은 비도덕적일 뿐만 아니라, 그것을 본 자식에게 대물림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고위층의 부정을 막기 위해서는 고위층에게 일반 시민들보다 더 엄중한 법의 처벌을 가해야 한다.
그러나 법의 처벌은 최후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법의 엄중한 처벌보다 먼저 실현되어야 할 것은 바로 고위층의 의식 전환이다. 고위층이 먼저 자신의 도덕적 의무, 곧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법이 무서워서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한다면 그것이 제대로 실행될 리 없다. 고위층이라는 인식보다는 자신도 국민의 한 사람이라는 것을 마음과 머릿속에 새기고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할 때 비로소 진정한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해리 왕자의 사례나 워렌 버핏 같은 사람을 보면 참 부럽다는 생각이 든다. 해리 왕자는 군복무 당시 ‘총알 자석’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그 정도로 그는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그는 군복무를 충실히 해냈다. 워렌 버핏은 상속세를 내는 것이 결코 자신에게 유리하지 않은 것임을 알고 있지만 사회의 균등을 이루기 위해 과감히 상속세 폐지를 반대한다.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이 부럽고, 그 생각을 그대로 실천하는 것이 대단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고위층은 아직도 병역의 의무를 피하기 위해서 유학을 가거나, 자신이 버는 만큼 내는 세금인데도 그것이 아까워 탈세를 저지르고, 남들에게 질타를 받을까봐 명목상의 기부를 행하고 있다.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이제는 도덕적으로 더 성숙한 나라로 발전해야하지 않을까. 최 부잣집, 워렌 버핏 등과 같이 고위층이 올바른 병역의 의무와 세금, 기부 등의 진실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행하는 날이 어서 오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노블레스 오블리주 - 세상을 비추는 기부의 역사>, 예종석, 살림, 2006
<노블레스 오블리주 - 현택수 사회비평>, 현택수, 동문각,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