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약물 남용의 개념
2.청소년 약물남용의 실태
3.청소년 약물남용의 원인
4.약물남용과 청소년비행
5. 약물남용의 후유증
6.약물남용의 치료와 예방
Ⅲ.결론
Ⅳ.참고자료 및 문헌
Ⅱ.본론
1.약물 남용의 개념
2.청소년 약물남용의 실태
3.청소년 약물남용의 원인
4.약물남용과 청소년비행
5. 약물남용의 후유증
6.약물남용의 치료와 예방
Ⅲ.결론
Ⅳ.참고자료 및 문헌
본문내용
서를 확정한다. ② 정부 주도의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을 위한 정규적 실태조사, 학교차원의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③ 청소년 약물남용치료, 재활 능력의 개발 및 확대, 무료치료 및 보험치료 제도 도입, 민간치료 시설건립 예산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④ 사회나 민간단체에서는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이 제대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며, 지방자치단체나 학교에서 약물남용 예방교육이 일어나도록 압력을 행사한다. ⑤ 가정에서는 부모님 스스로가 자녀들에게 술에 취한 모습이나 담배 피우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며, 매사에 모범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⑥ 학교는 가장 초기에 예방이 이루어져야 할 곳
(3) 학교, 부모, 학생, 주변의 역할▶<부모의 역할>① 약물 오·남용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서 옳고 그름에 대한 기준을 가르쳐 준다.② 자녀들의 생활을 잘 지도한다. 누구와 만나는지 관찰하며 그들의 관심사항 걱정거리에대해 이야기를 함으로써 또래집단으로부터 술, 담배, 약물 사용에 대한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도와준다.③ 술, 담배, 약물사용의 징후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어떤 증상이 발견되면 즉각 조치를취한다.▶<학교의 역할>① 본드, 가스 등 흡입제 및 술, 담배 그리고 약물사용에 대한 정기적인 실태조사를 한다.② 술, 담배 및 기타 약물사용에 대한 학교의 규칙과 벌칙들을 수립하여 실천한다.③ 마약류 및 약물사용에 대항해서 확립된 정책을 공정하고 일관성 있게 시행한다. 학교내와 학교기능으로부터 약물을 추방하기 위한 적합한 안전 대책을 수립한다.④ 유치원에서 고등학교 졸업반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예방교육 과정을 설치하고 올바른 약물 사용법을 지도하고 약물남용의 폐해에 대한 설명과 거절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교육한다.⑤ 마약류 퇴치 및 약물 남용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지역사회로부터 지원과 도움을 받도록노력한다. 학교당국, 학부모회, 지역사회, 교육위원회, 치료기관, 민간단체 등이 상호 필요한도움을 주며 일할 수 있는 협조 체제를 발달시킨다.▶<학생의 역할>① 술, 담배 및 기타 약물의 효과와 약물이 왜 위험한가를 배우고 약물을 시도해보라는 압력에 저항하는 방법을 배운다.② 술, 담배 및 약물이 해롭다고 하는 지식을 다른 학생들에게 알려주어 그들도 약물에의 위험에 빠지기 않도록 하며 약물 사용을 전파시키는 학생이나 밀매자를 부모나 학교 당국에알릴 수 있어야 한다.
▶<주변의 역할> 각 지방자치단체나 기관 등에서는 전문가를 파견하여 계몽교육 및 경제적인 도움을 줌으로써 학교가 약물 오·남용 예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Ⅲ. 결론
가장 활기차고 건강해야할 청소년기에 위험한 약물남용은 본인의 모든 꿈을 앗아가며, 스스로를 비참하게 만들어 패배감에 휩싸이게 된다. 한참 자라나야할 심신에 스스로가 나쁜 물질을 복용하여 후에 걷잡을 수 없는 후유증에 시달리게 될 그 어떤 불치병보다도 무서운 행위이다. 우리 사회는 제도적으로나, 가정적으로나, 그 예방차원의 교육을 철저히 하여 청소년의 약물남용을 허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한순간의 실수로 약물중독에 빠져버린 청소년들에게도 전문의의 감독 하에 체계적인 치료로 한시라도 빨리 어둠의 늪에서 빠져나와 많은 꿈을 꿀 수 있는 청소년 시기를 마음껏 누려야 할 것이다.Ⅳ.참고자료 및 문헌 박명윤 『청소년 문제론 약물 남용』 한국청소년 연구원 1992 서미경 『청소년 약물남용의 실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이정애 정희숙 『청소년들의 약물 사용실태에 대한 문헌적 연구』 최신의학 1995 김영화 외 공저 『사회문제론』대학출판사 2003 김영화 신원식 외 4명 공저 『사회문제』 2003
⑥ 학교는 가장 초기에 예방이 이루어져야 할 곳
(3) 학교, 부모, 학생, 주변의 역할▶<부모의 역할>① 약물 오·남용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서 옳고 그름에 대한 기준을 가르쳐 준다.② 자녀들의 생활을 잘 지도한다. 누구와 만나는지 관찰하며 그들의 관심사항 걱정거리에대해 이야기를 함으로써 또래집단으로부터 술, 담배, 약물 사용에 대한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도와준다.③ 술, 담배, 약물사용의 징후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어떤 증상이 발견되면 즉각 조치를취한다.▶<학교의 역할>① 본드, 가스 등 흡입제 및 술, 담배 그리고 약물사용에 대한 정기적인 실태조사를 한다.② 술, 담배 및 기타 약물사용에 대한 학교의 규칙과 벌칙들을 수립하여 실천한다.③ 마약류 및 약물사용에 대항해서 확립된 정책을 공정하고 일관성 있게 시행한다. 학교내와 학교기능으로부터 약물을 추방하기 위한 적합한 안전 대책을 수립한다.④ 유치원에서 고등학교 졸업반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예방교육 과정을 설치하고 올바른 약물 사용법을 지도하고 약물남용의 폐해에 대한 설명과 거절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교육한다.⑤ 마약류 퇴치 및 약물 남용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지역사회로부터 지원과 도움을 받도록노력한다. 학교당국, 학부모회, 지역사회, 교육위원회, 치료기관, 민간단체 등이 상호 필요한도움을 주며 일할 수 있는 협조 체제를 발달시킨다.▶<학생의 역할>① 술, 담배 및 기타 약물의 효과와 약물이 왜 위험한가를 배우고 약물을 시도해보라는 압력에 저항하는 방법을 배운다.② 술, 담배 및 약물이 해롭다고 하는 지식을 다른 학생들에게 알려주어 그들도 약물에의 위험에 빠지기 않도록 하며 약물 사용을 전파시키는 학생이나 밀매자를 부모나 학교 당국에알릴 수 있어야 한다.
▶<주변의 역할> 각 지방자치단체나 기관 등에서는 전문가를 파견하여 계몽교육 및 경제적인 도움을 줌으로써 학교가 약물 오·남용 예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Ⅲ. 결론
가장 활기차고 건강해야할 청소년기에 위험한 약물남용은 본인의 모든 꿈을 앗아가며, 스스로를 비참하게 만들어 패배감에 휩싸이게 된다. 한참 자라나야할 심신에 스스로가 나쁜 물질을 복용하여 후에 걷잡을 수 없는 후유증에 시달리게 될 그 어떤 불치병보다도 무서운 행위이다. 우리 사회는 제도적으로나, 가정적으로나, 그 예방차원의 교육을 철저히 하여 청소년의 약물남용을 허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한순간의 실수로 약물중독에 빠져버린 청소년들에게도 전문의의 감독 하에 체계적인 치료로 한시라도 빨리 어둠의 늪에서 빠져나와 많은 꿈을 꿀 수 있는 청소년 시기를 마음껏 누려야 할 것이다.Ⅳ.참고자료 및 문헌 박명윤 『청소년 문제론 약물 남용』 한국청소년 연구원 1992 서미경 『청소년 약물남용의 실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이정애 정희숙 『청소년들의 약물 사용실태에 대한 문헌적 연구』 최신의학 1995 김영화 외 공저 『사회문제론』대학출판사 2003 김영화 신원식 외 4명 공저 『사회문제』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