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Ⅰ. 서 론 ...............................................2
Ⅱ. 본 론 ..............................................3
1. 우주식품의 정의 ....................................3
2. 한국 우주식품 개발참여기관 .........................4
3. 한국 우주식품의 종류 .....................................4
4. 한국 우주식품 개발과정 ................................ 6
5. 인증 절차 ........................................7
Ⅲ. 결 론 ...........................................7
- 우주식품 공동 연구개발에 대한 효과 ................ 7
◎ 참고 자료 ..........................................9
Ⅰ. 서 론 ...............................................2
Ⅱ. 본 론 ..............................................3
1. 우주식품의 정의 ....................................3
2. 한국 우주식품 개발참여기관 .........................4
3. 한국 우주식품의 종류 .....................................4
4. 한국 우주식품 개발과정 ................................ 6
5. 인증 절차 ........................................7
Ⅲ. 결 론 ...........................................7
- 우주식품 공동 연구개발에 대한 효과 ................ 7
◎ 참고 자료 ..........................................9
본문내용
고 맛과 색깔 등이 처음상태 그대로 유지되는지를 평가하였다.
Ⅲ. 결 론
- 우주식품 공동 연구개발에 대한 효과
세계 각국이 우주식품 개발에 주력하는 이유는 무중력과 극한상황에서 견딜 수 있는 먹을거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얻어진 기술력이 여러모로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참여 기업들도 ‘우주 마케팅’으로 실리를 챙길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이다. 또한 우주식품 개발이 실생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큰 것도 한 이유다. 우주식품 개발에 참여한 한국식품개발원 김성수 박사는 “첨단 방사선 기술과 진공 포장기술 등은 우주식품의 미생물 처리와 장기 보존을 위해 개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08.04.01 중앙일보 기사 인용
컵라면에 들어 있는 건조 김치도 우주식품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된 사례다. 튜브형 고추장도 마찬가지다. 우주식품 기술은 군용 또는 비상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현재 미국·러시아 등 우주 개발 선진국들은 우주식품에 맛과 영양을 모두 담으려고 애를 쓴다. 특히 우주 환경에서의 신체 변화를 잘 견디기 위해 해당 영양소를 강조한 ‘기능성’ 우주식품 개발에 신경을 쓴다. 고단백·고칼슘 우유가 바로 그 예다. 입맛을 잃어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주인들의 임무 완수에 차질이 빚어지기 때문이다.
우주 현지에서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식품 재료를 직접 기르는 ‘수경 재배’ 방식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이번 우주여행에서 수경 재배를 실험하였다.
항우연 강상욱 연구원의 인터뷰를 인용하면 “우주식품 개발에 참여한 업체들은 국제적인 인지도 제고와 기술 혁신이라는 부수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며, 이번에 확보된 우주식품 제조기술은 향후 간편 식품이나 레포츠용 식품. 재난 등 비상시 구호 식량과 군 전투식량 개발에도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개발과정에 따른 협찬금 지원 여부에 따라 기술 경쟁력에 대해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는 기업이 있는 반면 별다른 홍보나 마케팅을 하지 못하고 있는 기업들도 있다. 오히려 어떤 기업은 우주식품으로 선정된 배경을 자사 제품의 품질보다는 공동연구기관의 공로로 돌리고 있다. 연구개발과정에 많은 비용의 투입이 필요한건 사실이지만 공동으로 연구하고 개발한 제품이 협찬금 지원 액수에 따라 홍보가능여부가 결정된다는 사실이 다소 안타까운 심정이다.
◎ 참고 자료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http://www.kari.re.kr/
2. 한국식품연구원 http://www.kfri.re.kr/
3. 한국원자력연구원 http://www.kaeri.re.kr/
4.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http://www.kinac.re.kr/main.asp
5. 산업기술연구회 http://www.koci.re.kr
6. 동아사이언스 http://www.dongascience.com/
7. 푸드 데스크 http://www.fooddesk.com/
8. 중앙일보 http://article.joins.com/
9. 연합 뉴스 http://www.yonhapnews.co.kr/
10. 디지털 타임스 http://www.dt.co.kr/
11. 스포츠 서울 http://www.sportsseoul.com/
12. Lemonpen http://www.lemonpen.com
13.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soysauceman.cafe
14. 오석봉의 에피소드 과학사 http://cgi.chol.com/~swethom/
15.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
16. 구글 http://www.google.co.kr/
17.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
Ⅲ. 결 론
- 우주식품 공동 연구개발에 대한 효과
세계 각국이 우주식품 개발에 주력하는 이유는 무중력과 극한상황에서 견딜 수 있는 먹을거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얻어진 기술력이 여러모로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참여 기업들도 ‘우주 마케팅’으로 실리를 챙길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이다. 또한 우주식품 개발이 실생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큰 것도 한 이유다. 우주식품 개발에 참여한 한국식품개발원 김성수 박사는 “첨단 방사선 기술과 진공 포장기술 등은 우주식품의 미생물 처리와 장기 보존을 위해 개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08.04.01 중앙일보 기사 인용
컵라면에 들어 있는 건조 김치도 우주식품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된 사례다. 튜브형 고추장도 마찬가지다. 우주식품 기술은 군용 또는 비상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현재 미국·러시아 등 우주 개발 선진국들은 우주식품에 맛과 영양을 모두 담으려고 애를 쓴다. 특히 우주 환경에서의 신체 변화를 잘 견디기 위해 해당 영양소를 강조한 ‘기능성’ 우주식품 개발에 신경을 쓴다. 고단백·고칼슘 우유가 바로 그 예다. 입맛을 잃어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주인들의 임무 완수에 차질이 빚어지기 때문이다.
우주 현지에서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식품 재료를 직접 기르는 ‘수경 재배’ 방식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이번 우주여행에서 수경 재배를 실험하였다.
항우연 강상욱 연구원의 인터뷰를 인용하면 “우주식품 개발에 참여한 업체들은 국제적인 인지도 제고와 기술 혁신이라는 부수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며, 이번에 확보된 우주식품 제조기술은 향후 간편 식품이나 레포츠용 식품. 재난 등 비상시 구호 식량과 군 전투식량 개발에도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개발과정에 따른 협찬금 지원 여부에 따라 기술 경쟁력에 대해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는 기업이 있는 반면 별다른 홍보나 마케팅을 하지 못하고 있는 기업들도 있다. 오히려 어떤 기업은 우주식품으로 선정된 배경을 자사 제품의 품질보다는 공동연구기관의 공로로 돌리고 있다. 연구개발과정에 많은 비용의 투입이 필요한건 사실이지만 공동으로 연구하고 개발한 제품이 협찬금 지원 액수에 따라 홍보가능여부가 결정된다는 사실이 다소 안타까운 심정이다.
◎ 참고 자료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http://www.kari.re.kr/
2. 한국식품연구원 http://www.kfri.re.kr/
3. 한국원자력연구원 http://www.kaeri.re.kr/
4.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http://www.kinac.re.kr/main.asp
5. 산업기술연구회 http://www.koci.re.kr
6. 동아사이언스 http://www.dongascience.com/
7. 푸드 데스크 http://www.fooddesk.com/
8. 중앙일보 http://article.joins.com/
9. 연합 뉴스 http://www.yonhapnews.co.kr/
10. 디지털 타임스 http://www.dt.co.kr/
11. 스포츠 서울 http://www.sportsseoul.com/
12. Lemonpen http://www.lemonpen.com
13.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soysauceman.cafe
14. 오석봉의 에피소드 과학사 http://cgi.chol.com/~swethom/
15.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
16. 구글 http://www.google.co.kr/
17.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
추천자료
중국의 생활과학_첨단기술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 정의와 특성,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 이론적배경, ...
과학영재(과학기술영재) 특성과 판별절차,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 목적, 과학영재교...
[인문과학][인문학][인문]인문과학(인문학)의 개념, 인문과학(인문학)의 가치, 인문과학(인문...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정의, 이론적 배경, 특징과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
STS학습모형(과학기술사회,수업)의 의미와 도입배경, STS학습모형(과학기술사회,수업)의 특징...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개념, 성격, 목표,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필...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정의와 특성,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변천과 장...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개념, 종류,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특징, 필...
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회)의 정의,특징,실태, 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회) 단계,프...
[한국, 신공정기술, 산업기술, 전자기술, 정보통신기술]한국의 신공정기술, 한국의 산업기술,...
[2005년, 2000년대]2005년(2000년대)의 인간체세포배아복제, 2005년(2000년대)의 정보화기술,...
[아동과학지도]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학자들의 이론을 정리해보고 이론에 근거한 발달단계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