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방 세포의 크기와 수를 감소시켰기 때문에 총 체지방을 줄이는 결과가 되었다. 운동을 하지 않고 식이만을 제한한 그룹의 총 지방량은, 마찬가지로 운동을 하지 않고 마음껏 먹은 그룹보다 낮았다. 음식물 섭취량을 줄이는 것은 세포의 크기와 수를 줄이는 결과과 되었다. 식이를 제한 한 쥐와 운동을 한 쥐의 체지방을 비교하면 최종적이 체중은 거의 동일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을 한 그룹의 지방세포수가 적고 세포 주변의 지방량도 적었다. 이러한 결과 성장 초기의 운동이 새로운 지방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운동 그룹과, 식이나 물을 자유로이 섭취하고 운동을 시키지 않은 그룹, 식이를 제한하면서 운동을 시키지 않은 그룹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식이 제한과 운동은 28주 후에 중지 되었다. 그 후 각 집단으로부터 몇 마리를 추출하여 체중, 체지방,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를 비교하였다. 나머지 쥐는 운동을 실시하지 않고 34주 동안 지속적으로 식이와 물을 제한 없이 섭취 시켰다. 그 후 체중, 지방의 크기와 수를 비교했다. 생후 28주된 쥐를 비교할 경우 운동을 한 쥐가 다른 그룹보다 체중이 가볍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 34주 동안은 먼저 운동을 하고 있던 쥐가 운동을 하지 않았던 쥐보다 낮은 체중을 계속 유지했다. 이와 같이 28주에 걸친 운동 프로그램을 생후 얼마 되지 않은 시기에 실행하면 실험이 끝날 무렵 현저할 만큼 체중의 감소가 지속되게 된다. 훈련기간 말기에 세포의 크기와 수를 비교하면 운동을 한 그룹이 하지 않았던 그룹보다 지방세포 수가 적고 크기도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기술한 실험결과와 일치되었다. 운동한 그룹은 하지 않았던 그룹보다 최종적인 체중이 적고 총 체지방량도 줄었으며, 또한 성장후의 지방세포수도 훨씬 적었다. 생후 26주 동안 운동을 실행한 결과, 그 후 34주 동안 운동을 하지 않은 시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숙된 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지방세포의 크기 및 수의 증가가 제한된 것이다.
만약 이러한 견해가 사람에게도 적용 가능하다면 성장 초기에 식이 요법이나 운동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새로운 지방 세포의 증식이나 이미 성숙된 세포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이나 체중 조절을 성장 후에 적용하고, 계속하면 총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자료에서는 세포의 크기만 축소될 뿐 그 수는 변화가 없었다. 운동이나 식이 제한을 중단하면 기존의 지방조직은 개개의 세포 체적이 증가함으로 다시 증가 할 것으로 생각되다. 일단 비만이 되어 버린 것을 고치기보다 운동이나 식이를 통하여 비만을 조기에 예방하는 것이 청소년 혹은 성인에게서 볼 수 있는 “지나친 비만”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 참고문헌
- 김현숙 외 8명, 21세기 스포츠 영양, 교문사, 2001년, p.305~309
- 이근일 외 6명, 스포츠 영양학, 신아출판사, 2006년, p.100~115
또 다른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운동 그룹과, 식이나 물을 자유로이 섭취하고 운동을 시키지 않은 그룹, 식이를 제한하면서 운동을 시키지 않은 그룹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식이 제한과 운동은 28주 후에 중지 되었다. 그 후 각 집단으로부터 몇 마리를 추출하여 체중, 체지방,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를 비교하였다. 나머지 쥐는 운동을 실시하지 않고 34주 동안 지속적으로 식이와 물을 제한 없이 섭취 시켰다. 그 후 체중, 지방의 크기와 수를 비교했다. 생후 28주된 쥐를 비교할 경우 운동을 한 쥐가 다른 그룹보다 체중이 가볍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 34주 동안은 먼저 운동을 하고 있던 쥐가 운동을 하지 않았던 쥐보다 낮은 체중을 계속 유지했다. 이와 같이 28주에 걸친 운동 프로그램을 생후 얼마 되지 않은 시기에 실행하면 실험이 끝날 무렵 현저할 만큼 체중의 감소가 지속되게 된다. 훈련기간 말기에 세포의 크기와 수를 비교하면 운동을 한 그룹이 하지 않았던 그룹보다 지방세포 수가 적고 크기도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기술한 실험결과와 일치되었다. 운동한 그룹은 하지 않았던 그룹보다 최종적인 체중이 적고 총 체지방량도 줄었으며, 또한 성장후의 지방세포수도 훨씬 적었다. 생후 26주 동안 운동을 실행한 결과, 그 후 34주 동안 운동을 하지 않은 시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숙된 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지방세포의 크기 및 수의 증가가 제한된 것이다.
만약 이러한 견해가 사람에게도 적용 가능하다면 성장 초기에 식이 요법이나 운동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새로운 지방 세포의 증식이나 이미 성숙된 세포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이나 체중 조절을 성장 후에 적용하고, 계속하면 총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자료에서는 세포의 크기만 축소될 뿐 그 수는 변화가 없었다. 운동이나 식이 제한을 중단하면 기존의 지방조직은 개개의 세포 체적이 증가함으로 다시 증가 할 것으로 생각되다. 일단 비만이 되어 버린 것을 고치기보다 운동이나 식이를 통하여 비만을 조기에 예방하는 것이 청소년 혹은 성인에게서 볼 수 있는 “지나친 비만”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 참고문헌
- 김현숙 외 8명, 21세기 스포츠 영양, 교문사, 2001년, p.305~309
- 이근일 외 6명, 스포츠 영양학, 신아출판사, 2006년, p.100~115
추천자료
스포츠와 매스컴, 미디어스포츠의 관계
스포츠 마케팅의 개요와 국내스포츠 마케팅 실태 및 전략분석(A+레포트)
스포츠 에이전트-스포츠 마케팅(A+레포트)★★★★★
스포츠 마케팅 -스포츠 소비자 행동-
현대스포츠의 있어서 해양스포츠의 역할
스포츠 일탈
해양스포츠의 실태와 문제점 및 발전방안 - 해양스포츠 개발사례 분석
스포츠 이벤트-정의,역사,효과,스포츠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
스포츠마케팅-정의,구성요소,글로벌화,엠부시 마케팅(Ambush Marketing),스포츠마케팅사례
스포츠와 건강 여름철 레저 스포츠 여름레저 활동을 즐기자!
스포츠와 사회화 (스포츠의 과정, 과정의 사회학)
스포츠과학 (한국체육과학연구원의 역할과 기능, 첨단기술의 각축장, 스포츠)
스포츠의 정의 및 특성과 인간생활(스포츠의 대중화와 생활화 및 교육적 측면)
스포츠 시장의 전망 - 21세기 또 하나의 유망 분야로서의 스포츠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