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Title) : styrene monomer를 사용하여 polystyrene의 합성
2. 목적 (Object)
3. 이론 (Theory)
4. 실험장치 (Apparatus)
5. 실험방법 (Experimental method)
6. 고찰 (Observation)
7. 문헌 (Reference)
2. 목적 (Object)
3. 이론 (Theory)
4. 실험장치 (Apparatus)
5. 실험방법 (Experimental method)
6. 고찰 (Observation)
7. 문헌 (Reference)
본문내용
확한 온도는 알 수가 없었다. 분명히 수욕상의 온도(물의 온도)와 삼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의 중간정도 라고 예측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기준 온도를 수욕상(물의 온도)의 온도로 맞추어 놓고 실험을 계속해서 진행하였다. 2시간이 지나고 어느 정도 스티렌 모노머들이 일정한 배열로 결합 했다고 판단하고 몰딩기에 주입을 하였다. 주입도중 느낀점은 너무 점성이 낮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교반이 확실히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아니면 온도가 65~70℃보다 낮은 온도에서 반 중합체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 한다고 볼 수 있다. 몰딩기에 주입 후 삼구플라스크에 남아있는 스티렌 모노머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아세톤을 쓴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EMK(Ethyl Methyl Ketone)를 이용해서 세척을 하였다.
7. 문헌 (Reference)
▷ 고분자실험, 한국고분자학회, 자유아카데미, 1993년, p.54~58
▷ 고분자화학, 안태완, 문운당, 2001년, p.275~279
▷ 분광학적분석입문(3ed), Pavia, 자유아카데미, 2000년, p.15~73
▷ Sigma-Aldrich Hompage, http://www.sigmaaldrich.com/
7. 문헌 (Reference)
▷ 고분자실험, 한국고분자학회, 자유아카데미, 1993년, p.54~58
▷ 고분자화학, 안태완, 문운당, 2001년, p.275~279
▷ 분광학적분석입문(3ed), Pavia, 자유아카데미, 2000년, p.15~73
▷ Sigma-Aldrich Hompage, http://www.sigmaaldrich.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