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 없는 ‘문화’가 천리 간다
2. 오타쿠, 창조력의 원천
3. 표절은 숨기는 것이 아니라
드러내는 것이다
2. 오타쿠, 창조력의 원천
3. 표절은 숨기는 것이 아니라
드러내는 것이다
본문내용
로 대중 문화 상품의 시장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대략적인 계산만으로도 20~30배의 규모로 보인다. 이런 매력적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일본의 대중 문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들을 공략할 구체적인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 국가였다. 그들의 지배에서 풀려 난 지 100년도 되지 않았다. 자주 독립의 기쁨을 누리지 못하고 6.25전쟁을 겪어야만 했던 대한민국이나, 2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이었던 일본이나 결국은 같은 선상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문화 발전과 경제 발전은 별개가 아니라고 본다. 대중문화의 상품적 가치는 지금도 세계적으로도 충분히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에 '박정희'와 같은 훌륭한 지도자 아래 열심히 일했던 국민들이 있었듯이, 일본에는 일찍이 대중문화에 눈을 떴던 오타쿠들이 있었다. 대중문화 상품의 수출로 벌어들이고 있는 일본의 수익은 실로 어마어마하다. 다행히도 최근 들어 '한류열풍'을 통해 조금씩 길을 열어 가고 있으나 마케팅에서든, 작품성에서든 창조적인 머리들로 똘똘 뭉쳐있는 '오타쿠'들을 따라가기에는 미흡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 대중 문화에 대한 정부의 태도 등 바뀌어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다.
흔히 '사회는 진보적, 문화는 보수적'이라고 한다. 교육, 사회, 정치 모든 분야에서 바라보는 시각들이 그렇다. 점점 세계화되어가는 현대 사회에서 '대중문화'는 국가의 새로운 자산이자 경쟁력이다. 보다 많은 이들이 이 책을 읽고 공감하며, 언젠가는 일본인이 집필한 '나는 한국 문화가 재미있다'라는 책이 출판되기를 빌어본다.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 국가였다. 그들의 지배에서 풀려 난 지 100년도 되지 않았다. 자주 독립의 기쁨을 누리지 못하고 6.25전쟁을 겪어야만 했던 대한민국이나, 2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이었던 일본이나 결국은 같은 선상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문화 발전과 경제 발전은 별개가 아니라고 본다. 대중문화의 상품적 가치는 지금도 세계적으로도 충분히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에 '박정희'와 같은 훌륭한 지도자 아래 열심히 일했던 국민들이 있었듯이, 일본에는 일찍이 대중문화에 눈을 떴던 오타쿠들이 있었다. 대중문화 상품의 수출로 벌어들이고 있는 일본의 수익은 실로 어마어마하다. 다행히도 최근 들어 '한류열풍'을 통해 조금씩 길을 열어 가고 있으나 마케팅에서든, 작품성에서든 창조적인 머리들로 똘똘 뭉쳐있는 '오타쿠'들을 따라가기에는 미흡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 대중 문화에 대한 정부의 태도 등 바뀌어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다.
흔히 '사회는 진보적, 문화는 보수적'이라고 한다. 교육, 사회, 정치 모든 분야에서 바라보는 시각들이 그렇다. 점점 세계화되어가는 현대 사회에서 '대중문화'는 국가의 새로운 자산이자 경쟁력이다. 보다 많은 이들이 이 책을 읽고 공감하며, 언젠가는 일본인이 집필한 '나는 한국 문화가 재미있다'라는 책이 출판되기를 빌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