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지지표 (GSI)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울시 성인지 지표 개념

2. 세부지표
(1) 여성의 경제세력화 영역
(2) 일가족 양립지원 강화
(3) 소수자 여성 사회통합
(4) 여성의 사회권 확대
(5) 여성의 대표성 제고

본문내용

력 관련 지표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성폭력 관련 시설 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성폭력 관련 지표를 대신한다. 이 지표는 사건 발생 건수증가 여부와 상관없이 시성의 수를 측정하여, 시성의 접근성을 높여 피해자들이 심리적 안전감을 느끼도록 하고, 또한 즉각적으로 실질적인 사후 대처를 통해 가해자 처리 건수를 높이는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⑥ (인구 100,000명 당) 가정 폭력 관련 시설 수
“성폭력 관련 시설 수” 지표와 동일
(5) 여성의 대표성 제고
① 성별 광역 및 기초의회의원 비율
광역 및 기초의회 여성의원 비율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구시군 의원 선거총람」에서 서울시 구 단위 기초 의회 여성의원 비율을 특히 구분하는 것은 서울시 전체 여성들의 성차별을 완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여성들의 대표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② 성별 5급 이상 공무원 비율
여성들의 공직진출이 증가하면서 여성공무원의 지표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여성공무원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과하고 대부분의 여성공무원들은 하위직에 머물러 있고 5급 이상 관리직 비울은 매우 낮은 편이다.
③ 성별 주요부서별 공무원 배치 비율
여성들이 공직에 진출하더라도 보직 배치에 있어서는 여성, 가정, 복지, 민원, 세무, 전산 등 전통적인 여성 직무분야에 편중되어 있다. 공무원의 경력형성이 비 핵심부서에서 핵심부서로의 수평적 이동을 통해 관리직으로의 상향 이동을 하는데 반해, 여성 공무원들은 조직 내에서 전략적이고 핵심적인 부처로 수평이동이 제한되어 핵심관리직으로서의 상향 이동에 제약을 받게 되어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7.0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