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가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환율과 주가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미 FTA가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환율과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FTA란 무엇인가?
1) 정의
2) FTA 체결현황
3) 한미 FTA 협상타결 주요 내용 표
4) 한.미 FTA 금융 서비스 타결부분

2. FTA 금융서비스 분야 효과
1) 국내 은행의 수익성 및 건전성
2) 외국인 투자자의 상장주식 보유 및 거래 비중 (시가총액 기준)
3) 시가총액 대비 외국인 주식투자 비중은 1997년말 13.7%에서 2006년 7월말에는 39.1%로 증가
4) 국내‧외국계 자산운용사 수탁고 및 외국계 자산운용사 시장점유율 추이

3. 환율과 주가의 관계
1) 개념
2) 환율이란?
3) 환율의 변동 개념
4) 환율 변동의 일반적 의미 (주가 변동의미 포함)
5) 환 리스크(Exchange Risk)
6) 환리스크 관리
7) 환리스크 관리의 필요성

4. 참고해서 알아두어야할 용어
1) 경상수지란?
2) 자본수지란?

5. 결론 도출
1) 외환시장 관련 협상 결과 축약
2) 기대효과
3) 환율과 주가에 대한 나의 견해

6. 레포트 작성 소감

#참고 자료#

본문내용

은 풍부한 해외자금이 증시로 유입되어 증시안정성에 기여하고, 나아
가 주가 상승도 기대 할 수 있다.
5) 환 리스크(Exchange Risk)
환위험, 혹은 환리스크는 일반적으로 "환율의 변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험"을 말
한다. 즉, 장래의 예상하지 못한 환율변동으로 인한 경제적 주체의 가치변동 가능
성을 의미한다.
- 외환보유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도 환율이 오르면 이익, 환율이 내리면
손해를 보게된다. 따라서 외환보유는 필연적으로 위험을 동반하게 된다.
6) 환리스크 관리
기업이 예상치 못한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험을 적절히 감지하여 기업의 자산손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활동을 "환리스크 관리" 또는 "환리스크 헷지" 라고 한다.
-환리스크 관리 방법으로는 매칭, 리딩과 래깅, 네팅, 선물환거래, 스왑, 옵션 등
이 있다.
7) 환리스크 관리의 필요성
- 환율 변동폭 확대 (97년 자유변동환율제도)
- 기업의 외환규제 완화 (파생상품 및 외화대출 실수요원칙 폐지)
- 글로벌 외환시장 변동폭 확대 (환율전쟁 - 미국, 일본, 유럽, 중국 등)
- 외환거래 전면 자유화 시행 예정 (2009년)

이상과 같은 이유로 인해 환율의 변동성은 계속 확대될 것이므로 환위험을 관리
할 필요가 있다.
4. 참고해서 알아두어야할 용어
1) 경상수지란?
국제간의 거래에서 자본거래를 제외한 경상적 거래에 관한 수지.
경상수지는 국제수지의 기조(基調)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종합수지 다음
으로 많이 이용한다. 대체적으로 선진공업국은 경상수지가 흑자여서 수입 또는 자
본수출의 여력이 있으나, 발전도상국은 경상수지가 적자이므로 외자를 도입하여
생산력을 확충하고 수출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 상품수출 및 대외 서비스 거래는
국민소득의 증감요인이 된다.
2) 자본수지란?
한 나라의 일체의 대외 자본거래를 기록한 국제수지의 구성항목.
자본계정수지를 말하며, 경상수지(經常收支)와 더불어 중요한 국제수지이다.
국제수지 중에서 한 나라의 자본의 유출은 자산의 증가, 유입은 자산의 감소로서
계상되며, 외국자본의 유입은 부채의 증가, 유출은 부채의 감소로서 계상된다.
이 자본거래에 의한 자산 ·부채의 모든 변화를 가리켜 자본수지라고 하는 경우와,
수지잔고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한 나라로부터의 자본유출이 외국으로부터의 유입을 웃돌면 그 나라는 국제적인
자본대부국(資本貸付國)이 되며, 반대의 경우는 차입국(借入國)이 된다.
5. 결론 도출
1) 외환시장 관련 협상 결과 축약
(1) 상품 관세 철폐
-상품분야 100% 관세철폐, 94% 조기철폐
-디지털TV, LCD의 관세철폐
-물품취급수수료의 철폐(연 4,700만불 효과)
(2) 무역환경개선
-미국의 반덤핑 제소남용을 사전 억제 기회 마련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 기회마련
-수출 통관절차의 신속성 확보
(3) 서비스 및 투자
-투자환경 개선으로 외국인 투자 활성화
-서비스업 경쟁력 제고의 기반 마련
-신금융서비스를 통한 금융시장 안정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개방
2) 기대효과
(1) 소비자의 선택폭의 확장
-관세 철폐로 인한 교역증대, 경쟁을 통한 생산성 향상
-외국인 투자로 인한 소득증대 및 물가안정
(2) 교역 증대
-미국시장의 접근성 높아져 수출 증대
(3) 외국인 투자 증대
-미국의 한국에 대한 투자 증대
-미국시장 진출하고자 하는 중국 등 제 3국으로부터의 투자 증대
(4) 생산성 향상
-경쟁 촉진, 시스템 선진화로 생산성이 향상
(5) 소비자 후생증대
-수입제품 가격하락과 가격경쟁 통한 소비자 물가 안정
-서비스시장 개방은 서비스 질 향상을 통해 소비자에게 이익
3) 환율과 주가에 대한 나의 견해
위의 여러 가지 조사들을 토대로 한다면 FTA를 통해 높은 경제 성장률을 이룩하
고, 국가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완만한 환율 하락은 풍부한 해외자금이 증시로 유입
되어 증시안정성에 기여하고, 나아가 주가 상승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됩니
다.
아직 FTA의 체결 완료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아서 앞으로의 시장이 어떻게 변모해
나갈지, 또한 어떤 변수들이 있을지는 몰라도 국내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될 외국
투자자들에 의한 주식시장 등의 활성화가 예상되며,기업들의 경쟁력 제고 또한 주
가 상승을 도모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경상수지 및 종합수지의 흑자폭이 충분히 증가 하는 경우 환율이 하락하며 수
입또한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입물가 하락으로 물가 안정에도 기여할 것이며, 외채 부담이 줄고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영량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FTA에 의한 정책이 완벽히 정착되고 인식
되어 세계시장을 단일 시장으로서 접근하여 국가 이익과 국민들의 경제적인 안정이 이
루어 지길 기대합니다.
6. 레포트 작성 소감
레포트 작성전 FTA와 관련한 많은 자료에 대한 인식이 없었기 때문에, 여러 자료들을
찾아보고 저의 주관적인 견해를 대입시켜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어려운 부분들이 많아 자료의 정리가 조금 미흡하지만 과제물 작성을 통해 좀더 깊이있
는 상식을 얻게된거같아 기쁩니다.
이것으로 FTA가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환율과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레포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미흡하더라도 양해 바라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참고 자료 #
-한국 금융 연구원
-한·미자유무역협정체결지원위원회
-한국은행자료
-문화부·산자부·재경부 보도자료
-한미 자유무역 협정 홈페이지( http://fta.korea.kr/ )
-네이버 용어사전
-http://www.funddoctor.co.kr/Fboard/content.asp?name=freeqna&number=12248
-http://blog.naver.com/khj56kr?Redirect=Log&logNo=110015039345
-http://blog.naver.com/bjan2002?Redirect=Log&logNo=120021029121
-http://www.kif.re.kr/KMFileDir/128209865467656250_16-16-n-5.pdf
-2006-01-14 YTN TV 뉴스자료
.....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7.07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