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행성 行星 (planet)
행성의 운동
행성의 소행성
행성의 위성
성단 星團 (star cluster)
성운 星雲 (nebula)
【발광방법에 의한 분류】
① 방출성운(放出星雲) 혹은 발광성운
② 반사성운(反射星雲)
③ 암흑성운(暗黑星雲)
【모양에 의한 분류】
① 행성상성운
② 초신성의 잔해
③ 산광성운(散光星雲)
은하 銀河 (galaxy)
【나선은하 螺旋銀河 (spiral galaxy)】
【불규칙은하 不規則銀河 (irregular galaxy)】
【은하계 銀河系 (Galaxy)】
【은하군 銀河群 (group of galaxies)】
행성의 운동
행성의 소행성
행성의 위성
성단 星團 (star cluster)
성운 星雲 (nebula)
【발광방법에 의한 분류】
① 방출성운(放出星雲) 혹은 발광성운
② 반사성운(反射星雲)
③ 암흑성운(暗黑星雲)
【모양에 의한 분류】
① 행성상성운
② 초신성의 잔해
③ 산광성운(散光星雲)
은하 銀河 (galaxy)
【나선은하 螺旋銀河 (spiral galaxy)】
【불규칙은하 不規則銀河 (irregular galaxy)】
【은하계 銀河系 (Galaxy)】
【은하군 銀河群 (group of galaxies)】
본문내용
은하계는 안드로메다은하와 비슷한 나선은하이다.
☜ <나선은하-소용돌이은하(Sc)>
막대나선은하 (barred spiral galaxy)
봉상나선은하(棒狀螺旋銀河)라고도 한다. 막대나선은하에 대 하여 일반적인 나선은하는 정상나선은하라고 한다. 막대와 나 선 팔이 발달된 정도에 따라서 SBa, SBb, SBc로 분류한다. SBa는 정상나선은하와 구별하기 힘든 중간형으로, 중심핵이 큰 반면 막대와 나선팔은 뚜렷하지 않다. 막대와 나선팔 은 SBc 쪽으로 갈수록 발달되어 있고, 대신에 중심핵은 작아 진다. 에리다누스 자리의 NGC1300이 대표적인 막대나선은하 이다.
【불규칙은하 不規則銀河 (irregular galaxy)】
항성과 성간물질이 불규칙적으로 분포하며, 다음 두 가지 형으로 나뉜다. 제1형은 젊은 O·B형 별과 이온화수소영역이 많고, 나선은하의 연장과 같은 양상을 나타낸다. 마젤란은하가 그 예이다. 제2형은 항성이 보이지 않고 가 스성운의 집합체로 보이며, M82가 그 예이다. 은하의 진화단계에서 위치가 아직 불명확하지만 은하끼리의 충돌이나 폭발로 생긴 것이 아닌가 여겨지고 있다. 외부은하의 약 1/4을 차지한다.
☜
<사자자리의 왜소은하
- 봄철에 천정 근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
【은하계 銀河系 (Galaxy)】
외부은하(外部銀河)인 galaxy와 비교하기 위해 The Galaxy로 표기한다. 은하계는 안드로메다은하와 비슷한 성질을 갖는 나선은하이며 Sb형에 속한다. 일반적인 별의 분포는 밝은 별인 경우 비교적 천구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만 어두운 별들은 은하적도에 많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띠 모양으로 보이는 은하수를 형성하고 있다. 은하계는 약 1만 6000광년의 지름을 갖는 구형의 은하중심부와 그 주위에 9만 8000광년의 지름과 3광년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원판(disk)이 존재한다. 이를 은하면이라 하며 태양은 이 은하면에 위치하고 은하중심에서 약 3만 3000광년의 거리에 있다. 그 이외 부분은 지름 16만 광년의 타원체로 된 은하무리(galactic halo)가 있어 은하계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은하계 내의 별의 분포는 젊고 중금속 함량비가 많은 O나 B형, 또는 산개성단(散開星團)의 종족 I에 속한 별들은 은하면에 강하게 집중되어 있는 반면, 종족 Ⅱ에 속한 나이가 들고 중금속 함량비가 작은 구상성단(球狀星團)은 은하 중심부나 은하무리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나선팔들 사이의 거리는 5000광년이며 팔들의 평균두께는 2000광년 정도이다. 태양 근처에서의 나선팔의 방향은 은경 63°에서 243° 방향이다. 은하면에는 크고 뚜렷이 나타나는 3개의 팔이 지나가는데 은하중심에서 거리가 4만 광년 되는 맨 바깥쪽에 있는 팔을 페르세우스 팔(Perseus arm), 3만 4000광년의 거리에 태양을 지나는 백조 팔(Cygnus arm), 그리고 맨 안쪽에 은하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2만 8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궁수 팔(Sagittarius arm)로 나뉜다.
은하의 회전은 원판의 중심부(9800광년)에서는 회전속도가 은하중심에서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강체회전운동(剛體回轉運動)을 하지만 외부에서는 회전속도가 일정하거나 약간 감소하는 차등회전을 보이고 있다. 1927년 네덜란드의 H. 오트는 초거성(超巨星), 세페이드 변광성(變光星)과 O형별들의 고유운동으로부터 거리를 구하고 그들의 시선속도를 구함으로써 은하의 차등회전에 관한 상수값 A와 B를 얻었다. 이 값들은 계속적인 관측에 의해 수정되어 1964년 국제천문연맹(IAU)은 A=15 kms-1 kpc-1과 B=-10 kmS-1 kpc-1값을 채택하여 이를 우리은하의 회전상수로 사용하고 있다. 태양의 경우 그 회전속도는 매초당 250 km이며 이는 은하중심에 대한 태양의 공전주기가 2억 5천만 년이라는 뜻이 된다. 이는 지질시대 석탄기 말 이후에 태양이 은하계 중심 둘레를 한바퀴 돈 셈이 된다.
은하계의 질량은 안드로메다은하와 비슷한 태양의 1400억 배이며 그 절대안시등급(絶對眼視等級)은 -20.5등급이다. 은하계 내의 평균밀도는 약 4×20-24g/3로서 이는 1cm3당수소원자가 3개 정도 있는 상태로 거의 진공에 가까운 상태이다. 오리온 ·황소 ·큰개 등 북반구의 겨울 하늘에서는 조기(早期)형의 밝은 별들은 거의 대부분 이 은하수의 남쪽에 있으며, 북반구의 여름 하늘에서는 백조 ·거문고 등의 밝은 별이 대부분 그 북쪽에 위치한다. 이를 굴드대(Gould’s belt)라고 하며 약 2300광년의 길이에 230광년의 두께로 되어 있다. 이 대에는 많은 밝은 별과 많은 양의 은하성운들이 있으며 그 질량은 태양의 20만 배 정도이다. 은하면은 지구의 적도면에 비해 62 °36 ' 기울어져 있으며 은하중심의 위치는 α=17h42.4m, δ=-28 °55 '(1950년)이다. 은하계의 나이는 약 120억 년으로 추산되며 이는 은하계 내에 가장 오래된 구상성단(球狀星團)으로부터 구해진 값이다.
【은하군 銀河群 (group of galaxies)】
은하는 일반적으로 집단을 이루어 분포하는 경향이며, 은하군은 수백∼수천 개의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대규모의 은하단과 구별된다. 우리은하계 부근, 지름 약 500만 광년(光年)의 범위에 분포하는 은하군을 국부은하군(局部銀河群)이라 하며, 거리가 정해져 있는 확실한 성원수(成員數)는 약 20개, 약간 불확실한 성원까지 넣으면 약 30개의 집단이다.
국부은하군의 주요 은하는 대(大)마젤란은하·소마젤란은하·안드로메다은하 M31·삼각형자리은하 M33 등이며, 지름이나 질량이 작아 왜소은하라고 불리는 성원도 많다. 이 국부은하군은 우리은하계의 부근과 안드로메다은하 부근의 두 부집단(副集團)으로 나뉘고, 은하계는 대·소 두 마젤란은하, 그리고 안드로메다은하는 두 동반은하(同伴銀河)와 각각 삼련은하(三連銀河)를 이룬다. 이와 같은 단계적 집단구조는 은하 분포의 특징의 하나이다. 국부은하군 외에도 수십 개의 은하군이 알려져 있다.
☜ <나선은하-소용돌이은하(Sc)>
막대나선은하 (barred spiral galaxy)
봉상나선은하(棒狀螺旋銀河)라고도 한다. 막대나선은하에 대 하여 일반적인 나선은하는 정상나선은하라고 한다. 막대와 나 선 팔이 발달된 정도에 따라서 SBa, SBb, SBc로 분류한다. SBa는 정상나선은하와 구별하기 힘든 중간형으로, 중심핵이 큰 반면 막대와 나선팔은 뚜렷하지 않다. 막대와 나선팔 은 SBc 쪽으로 갈수록 발달되어 있고, 대신에 중심핵은 작아 진다. 에리다누스 자리의 NGC1300이 대표적인 막대나선은하 이다.
【불규칙은하 不規則銀河 (irregular galaxy)】
항성과 성간물질이 불규칙적으로 분포하며, 다음 두 가지 형으로 나뉜다. 제1형은 젊은 O·B형 별과 이온화수소영역이 많고, 나선은하의 연장과 같은 양상을 나타낸다. 마젤란은하가 그 예이다. 제2형은 항성이 보이지 않고 가 스성운의 집합체로 보이며, M82가 그 예이다. 은하의 진화단계에서 위치가 아직 불명확하지만 은하끼리의 충돌이나 폭발로 생긴 것이 아닌가 여겨지고 있다. 외부은하의 약 1/4을 차지한다.
☜
<사자자리의 왜소은하
- 봄철에 천정 근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
【은하계 銀河系 (Galaxy)】
외부은하(外部銀河)인 galaxy와 비교하기 위해 The Galaxy로 표기한다. 은하계는 안드로메다은하와 비슷한 성질을 갖는 나선은하이며 Sb형에 속한다. 일반적인 별의 분포는 밝은 별인 경우 비교적 천구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만 어두운 별들은 은하적도에 많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띠 모양으로 보이는 은하수를 형성하고 있다. 은하계는 약 1만 6000광년의 지름을 갖는 구형의 은하중심부와 그 주위에 9만 8000광년의 지름과 3광년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원판(disk)이 존재한다. 이를 은하면이라 하며 태양은 이 은하면에 위치하고 은하중심에서 약 3만 3000광년의 거리에 있다. 그 이외 부분은 지름 16만 광년의 타원체로 된 은하무리(galactic halo)가 있어 은하계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은하계 내의 별의 분포는 젊고 중금속 함량비가 많은 O나 B형, 또는 산개성단(散開星團)의 종족 I에 속한 별들은 은하면에 강하게 집중되어 있는 반면, 종족 Ⅱ에 속한 나이가 들고 중금속 함량비가 작은 구상성단(球狀星團)은 은하 중심부나 은하무리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나선팔들 사이의 거리는 5000광년이며 팔들의 평균두께는 2000광년 정도이다. 태양 근처에서의 나선팔의 방향은 은경 63°에서 243° 방향이다. 은하면에는 크고 뚜렷이 나타나는 3개의 팔이 지나가는데 은하중심에서 거리가 4만 광년 되는 맨 바깥쪽에 있는 팔을 페르세우스 팔(Perseus arm), 3만 4000광년의 거리에 태양을 지나는 백조 팔(Cygnus arm), 그리고 맨 안쪽에 은하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2만 8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궁수 팔(Sagittarius arm)로 나뉜다.
은하의 회전은 원판의 중심부(9800광년)에서는 회전속도가 은하중심에서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강체회전운동(剛體回轉運動)을 하지만 외부에서는 회전속도가 일정하거나 약간 감소하는 차등회전을 보이고 있다. 1927년 네덜란드의 H. 오트는 초거성(超巨星), 세페이드 변광성(變光星)과 O형별들의 고유운동으로부터 거리를 구하고 그들의 시선속도를 구함으로써 은하의 차등회전에 관한 상수값 A와 B를 얻었다. 이 값들은 계속적인 관측에 의해 수정되어 1964년 국제천문연맹(IAU)은 A=15 kms-1 kpc-1과 B=-10 kmS-1 kpc-1값을 채택하여 이를 우리은하의 회전상수로 사용하고 있다. 태양의 경우 그 회전속도는 매초당 250 km이며 이는 은하중심에 대한 태양의 공전주기가 2억 5천만 년이라는 뜻이 된다. 이는 지질시대 석탄기 말 이후에 태양이 은하계 중심 둘레를 한바퀴 돈 셈이 된다.
은하계의 질량은 안드로메다은하와 비슷한 태양의 1400억 배이며 그 절대안시등급(絶對眼視等級)은 -20.5등급이다. 은하계 내의 평균밀도는 약 4×20-24g/3로서 이는 1cm3당수소원자가 3개 정도 있는 상태로 거의 진공에 가까운 상태이다. 오리온 ·황소 ·큰개 등 북반구의 겨울 하늘에서는 조기(早期)형의 밝은 별들은 거의 대부분 이 은하수의 남쪽에 있으며, 북반구의 여름 하늘에서는 백조 ·거문고 등의 밝은 별이 대부분 그 북쪽에 위치한다. 이를 굴드대(Gould’s belt)라고 하며 약 2300광년의 길이에 230광년의 두께로 되어 있다. 이 대에는 많은 밝은 별과 많은 양의 은하성운들이 있으며 그 질량은 태양의 20만 배 정도이다. 은하면은 지구의 적도면에 비해 62 °36 ' 기울어져 있으며 은하중심의 위치는 α=17h42.4m, δ=-28 °55 '(1950년)이다. 은하계의 나이는 약 120억 년으로 추산되며 이는 은하계 내에 가장 오래된 구상성단(球狀星團)으로부터 구해진 값이다.
【은하군 銀河群 (group of galaxies)】
은하는 일반적으로 집단을 이루어 분포하는 경향이며, 은하군은 수백∼수천 개의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대규모의 은하단과 구별된다. 우리은하계 부근, 지름 약 500만 광년(光年)의 범위에 분포하는 은하군을 국부은하군(局部銀河群)이라 하며, 거리가 정해져 있는 확실한 성원수(成員數)는 약 20개, 약간 불확실한 성원까지 넣으면 약 30개의 집단이다.
국부은하군의 주요 은하는 대(大)마젤란은하·소마젤란은하·안드로메다은하 M31·삼각형자리은하 M33 등이며, 지름이나 질량이 작아 왜소은하라고 불리는 성원도 많다. 이 국부은하군은 우리은하계의 부근과 안드로메다은하 부근의 두 부집단(副集團)으로 나뉘고, 은하계는 대·소 두 마젤란은하, 그리고 안드로메다은하는 두 동반은하(同伴銀河)와 각각 삼련은하(三連銀河)를 이룬다. 이와 같은 단계적 집단구조는 은하 분포의 특징의 하나이다. 국부은하군 외에도 수십 개의 은하군이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