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괴공학 - 초음파 탐상 실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장치 및 구성

3. 실험 방법 및 절자

4. 실험 결과

5. 결과 비교 분석

6. 토의

7. 결론

본문내용

탐촉자의 중심에 표시를 하여 6dB drop법의 오차를 최소로 한다.
④ 세밀한 자를 사용한다.
⑤ 경험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비파괴 시험을 설계한다.
7. 결론
이번 실험을 통해 Creeping Wave 및 6 dB drop법의 기초적 실험 설계 및 장비 사용법 등을 이해하였고, 실험 결과와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시험편의 결함을 산출해 보았다. 그 결과가 실제 결함의 크기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Creeping Wave의 경우 오차율 6.05%로 비교적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6 dB drop법의 경우 결함크기 산출에서는 45.8%의 큰 오차율을 기록했지만, 결함의 깊이측정에서는 3.8%의 오차율로, 대략적인 결함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는 무리가 없었다. Creeping Wave를 통해서는 결함의 위치는 확인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오실로스코프 화면상에 저면신호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었다. (∴Skip에 의한 결함위치 측정 불가)
이와같이 실험의 결과값을 통해 각각의 검사법에 따른 장 단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실험의 시험편과는 관련이 없지만, 6 dB drop법의 또 다른 단점으로 시험편이 너무 얇으면 근거리 음장의 방해(탐촉자의 크기가 과대할 경우에도 문제 발생)로 인하여 결함을 찾기 힘들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UT를 통하여 정확한 결함의 위치 / 크기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결함에 대한 사전 지식과 여러종류의 시험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적절한 시험방법 및 탐촉자의 선택으로 그 시험편에 가장 알맞은 실험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7.3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