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경막하혈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기간및방법

4. 간호과정

5. 결론

본문내용

rophil
74.1
%
40.0~74.0
증가 : 감염, 악성종양, 혈액질환, 약물중독, 심한운동
감소 : 장티프스, 급성백혈병, 빈혈, 비장기능항진증
lymphocyte
17.6
%
19.0~48.0
증가 : 간염, 이하선염, 홍역, 수두, 감염, 알레르기
감소 : 심장질환, 악성종양, 부신피질호르몬투여
monocyte
4.6
%
3.4~9.0
증가 : 결핵, 아급성 심내막염, 패혈증, 매독, 급성 골수성 백혈병
eosinophil
2.3
%
0.0~7.0
증가 : 알레르기성질환, 기생충감염, 만성 골수성 백혈병, 악성빈혈
감소 : 장티프스 초기, 심한 스트레스
명칭
5월 26일
단위
정상치
임상적 의의
basophil
0.2
%
0.0~1.5
증가 : 만성 골수성 백혈병, 건성다혈증, 괴양성 대장염, 점액수종
LUC
1.1
%
0.0~4.0
증가 : 만성염증
MCV
88.3
fL
80~94
증가 : 악성빈혈, 심한간장질환
감소 : 출혈성 빈혈
MCH
30.3
pg
27~31
증가 : 악성빈혈, 심한간장질환
감소 : 출혈성 빈혈
MCHC
34.3
g/dL
33~37
증가 : 악성빈혈, 심한간장질환
감소 : 출혈성 빈혈
●단순촬영●
chest AP and both Lateral view : No active lung disease.
●약물투여●
약명
약리작용
용량
부작용
Anorex
골격근 이완제
25mg
졸림, 현기증, 불쾌감, 피로, 설사, 쇠약
Curan
소화제
150mg
발진, 간장애
Mortilium
소화제
10mg
간장애, 의식장애, 경련
Pontal
진통소염해열제
250mg
발적, 시야혼탁, 토혈, 설사, 두드러기
Rivotril
항전간제
0.5mg
졸음, 어지러움, 운동실조
Gasmotin
소화제
5mg
간기능장애, 황달, 발진, 두드러기
Gliatilin
뇌기능장애치료제
400mg
Sensival
우울증치료제
25mg
Bup-4
과민성방광 치료제
20mg
안조절장애, 수면장애, 졸음, 어지러움
Mucopect
진해거담제
30mg
소화불량, 구토, 가슴쓰림, 두드러기,
Magmil
제산제 및 하제
500mg
Depakote
발작치료제
500mg
Fosamax
골다공증치료
10mg
오심
Efexor
항우울제
75mg
불안, 신경과민, 수면장애, 두통, 현훈
간호과정 적용
날짜
간호진단 및 치료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5/26
#1.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S."근육 운동이 필요할 것 같아.“(간병인)
O. 의식이 drowsy상태로 전혀 운동을 할 수 없고 사지가 허약하고 힘이 없음
1.환자의 의식이 명료해졌을 때 근육허약으로 인한 문제가 없도록 한다.
1.활동의 정도를 사정한다.
2.능동적, 수동적 관절운동을 수행한다.
3.등장성, 등척성 운동을 가르치고 도와준다.
4.저항운동을 가르치고 사지에 적용한다.
5.필요시 베개, 타월, 핸드롤, 손수건 등을 사용하여 신체정렬을 유지한다.
6.활동수준을 높이도록 격려한다.
1.보호자의 도움으로 관절운동을 한다.
2. 보호자와 함께 하루 2번 휠체어를 이용해 병동을 돈다.
날짜
간호진단 및 치료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5/28
#2.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S.“가래 끓는 소리가 나요”(간병인)
O.의식은 drowsy상태로 자가간호를 할 수 없는 상황이고 호흡시 가래끓는 소리 들림
1.숨이 고르고 가래 끓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1.반좌위를 취해준다.
2.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3.폐 부분을 cupping해준다.
4.호흡양상을 계속 관찰한다.
5.폐음을 계속 청진한다.
1.가래 끓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2.호흡양상이 정상이다.
(18~22회)
날짜
간호진단 및 치료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5/30
#3.부동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 장애
S.“욕창 생기려나 빨갛게 되네.”(간병인)
O.뼈돌출 부위 발적, 땀에 젖어 있고 구겨져있는 침상, 기저귀 착용
1.뼈 돌출 부위의 발적이 없어진다.
2.시트를 건조하게 유지하고 구김이 없다.
1.피부상태를 사정한다.
2.1~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3.체위변경시 욕창이 생기기 쉬운 부위를 마사지해준다.
4.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C가 풍부한 식이를 제공한다.
5.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1.뼈 돌출 부위의 발적이 없어졌다.
2.시트 구겨진 곳이 없다.
날짜
간호진단 및 치료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6/2
#4.의식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S.“옆에 있으니 괜찮아.”(간병인)
O.체위변경 후나 운동 후 side rail이 올려져 있지 않음
1.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시 안전하게 이동한다.
1.side rail을 올려준다.
2.낙상요인 또는 낙상유발요인을 사정한다.
3.손상을 유발하는 요인을 제거한다.
4.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5.보호자가 항상 옆에 있도록 한다.
1.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시 안전하게 이동했다.
2.항상 side rail이 올려져 있다.
날짜
간호진단 및 치료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6/3
#5.만성질병과 관련된 자존감저하
S.“환자가 오늘따라 힘이 없는것 같아.”(간병인)
O.장기간 입원으로 우울해 보이며 기운없는 표정
1.신체적-위생적 요구를 충족시킨다.
1.자가간호 활동이 증가되었을때 격려한다.
2.질병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한다.
3.신뢰적 관계를 유지한다.
4.신체적-위생적 요구를 충족시킨다.
5.모든 간호에 참여하도록 지지한다.
1.자가간호를 하지 못하였다.
Ⅴ. 결론
본 사례 대상자는 경막하혈종으로 수술 후 재활치료 받던 환자였다. 처음 연구를 시작했을 시에는 대상자와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고 Levin tube로 feeding하셨지만 28일부터는 oral intake 시작하셨고 30일부터는 단어로 약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했고, 아직 거동이 많이 불편하시지만 상태 호전되어 6월 4일 퇴원하셨다.
◈ 참고문헌
고일선외 공저, 제7판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2006
전시자외 공저, 제4판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5
최순희외 공저, 간호과정, 정문각, 2006
유재희이 공저, 제3판 기본간호 수기, 현문사, 2003
http://blog.naver.com/hongju102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8.11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7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