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에 대해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필리핀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거대한 군도국가 필리핀


Ⅱ. 본론
1. 필리핀의 지도
2. 필리핀의 국기
3. 필리핀이 역사

Ⅲ. 필리핀의 특성
1. 필리핀의 기후
2. 필리핀의 주민
3. 필리핀의 수도 - 마닐라
4. 필리핀의 자연환경
5. 필리핀의 경제
6. 필리핀의 정치· 사회
7. 필리핀의 문화
8. 필리핀과 한국과의 관계

Ⅳ. 결론
1. 필리판의 전망
2. 느낀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국문화의 대표적인 면이다 여느 동남아국가들처럼 필리핀도 경제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잇는 집단이 화교들이기에 이들이 중국에서 들여온 중국의 문화는 상당히 광범위하게 퍼져 잇는데 이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장례문화이다. 죽은자를 위해 집을 짓고 그것도 모자라 온갖 자전제품과 보석들로 치장을 해놓은것을 보면 참으로 특이한 중국인들의 생활패턴을 알 수가 이어진다. 이외에 사구 특히 미국식 생활습관에 익숙한 필리핀인들이지만 상류층으로 올라갈 수록 동양식의 예의범절을 중요시 여기고 웃어른들을 공경하는 모습들을 쉽게 접할 수 잇는데 이런문화들은 중국식 문화의 영향이라 할 것이다
4) 기타
이 박에 필리핀에는 이슬람 문화와 말레이문화 일본문화 등이 공존을 하지만 그들 문화는 일상생활에 어느 정도 보이는 것들일 뿐 가장 큰 문화를 만들어낸 것은 위의 3개 문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댄뿌라와 스시를 좋아하고 이슬람 전통복장을 착용하고 다니는 여성들의 모습 등에서 보이는 필리핀의 여러 가지 문화들은 그 다양성이 참으로 신기하다 할 것이다.
8. 필리핀과 한국과의 관계
1949년 3월 3일 정식으로 외교관계가 수립되었다. 1954년 1월 양국에 상주공관이 설치되었고, 1958년 2월에 각각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북한과는 미수교 상태이지만 1970년 이후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실리노선을 취하면서 북한과의 수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주요 협정으로는 소포우편협정(1960. 8)·무역협정(1961. 2)·문화협정(1970. 8)·경제기술협력협정(1983. 2)·투자증진보호협정(1994. 4) 등이 체결되어 있다. 6·25전쟁에 참전했고, 1981년 7월, 1994년 11월 우리나라 대통령의 필리핀 방문으로 양국간의 교역 및 경제협력이 더욱 강화되었다. 건설 부문에서 각별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밖에 신발·자동차부품·전자제품 분야의 우리나라 기업들이 많이 진출해 있다. 1996년의 대한 수출액은 5억 8,133만 달러이며, 대한 수입액은 19억 602만 달러이다. 1997년 현재 교민은 1,500명, 체류 자는 6,499명이다.
경제 분야에서는 2002년 의 경우 한국 정부의 허가 기준으로 8,100달러가 필리핀에 투자되었는데, 해당 연도 말까지 공적 적으로 투자 누게는 7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소 건설공당 진출 등을 감안하며 총투자누계는 35억 달러 규모르 추산된다.
한국 건설 업체의 필리핀 진출도 라모스 대통령이 안정개력번영의 캐치프레이즈를 내걸어 필리핀재건을 추진해온 1992년 이후의 활기를 띄게 되었다. 1996년 6월말 현재 한국 건설업체가 필리핀에서 시공 중인 건설프로젝트는 총 12건으로 4억 4,000만들러 규모인데, 주로 도로와 항만 등 인프라 건설 부문과 대도시 주변의 콘도미니엄 건설이 주룔를 이루었다.
라모스 대통령 정부는 ‘필리핀 2000비전’의 구호 아래 2000년부터 신흥공업국으로의 진입을 목표로 소비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도약한다는 중장기 국가개발정책을 추진해왓으며, 이 정책은 에스트라다 대통령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이화 함께 과거 미군기지였던수빅(Subic) 지역을 자유무역항으로, 클라크(Clark) 지역을 대규모의 국제공항과 공단지역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필리핀의 건선경기가 크게 위축되어 수주 량은 감소하였으나 2002년 이후 건설경기의 회복이 기대되고 있다.
결 론
필리핀은 최근 동아시아 외환사태의 추이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EIU는 필리핀의 경제가 1996년 5.5퍼센트 성장을 기록한 이래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1998년에는 2.5퍼센트까지 하락하였다가 1999년 다시 4퍼센트로 성장률이 되살아났다. 2001년 1월 신정부출범으로 경제가 다시 안정세를 유지하게 되었다. 앞으로 필리핀경제의 주요 성장 동인은 수출 부문이 될 것이다. 필리핀의 수출부문은 폐소 화 절하 이전에 두 자리 수의 성장률을 달성한 바 있으며, 인근 동남아 국가들의 수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경쟁력 약화를 상대적으로 덜 체험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에 걸쳐 필리핀 경제는 수출을 주목적으로 하는 제조업부문에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투자는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신규투자 중 상당 부분이 하이테크부문이로 유입되어 있으며 이는 필리핀의 양질의 노동력과 결합하여 국제시장에서 높은 경재우위를 창출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필리핀 수출품의 주요 시장인 미국, 일본 등 주용 국의 경제 여건의 병화, 주요 투자재원으로서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외국 자본의 필리핀에 대한 선호도의 변화, 아세안자유무역지대를 비롯한 역내 경제협력의 순조로운 진행 여부 등 여러 요소들의 필리핀 경제의 앞날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냉정의 종식과 WTO체제의 출범으로 경제적 이익이 가장 중요한 행동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는 새로운 국제경제질서 하에서 이러한 대내외적 환경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필리핀을 과거의 가난과 역격을 극복하고 부강한 국가로 건설하겠다는 필리핀 국가들의 의지가 지혜가 필리핀의 미래를 경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이번에 필리핀을 하면서 필리핀이 어떤 나라인가에 대해서 알게 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동남아 지역연구라는 과목을 배우면서 지금까지 시야를 국내로 보고 있었는데 국외로 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렇게 레포트를 통해서 공부하고 보니 가고 싶은 나라가 되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직접 필리핀의 방문해서 지금까지 조사했던 것을 체험할 수 있는 시간으로 만들 것이다.
<참고 문헌>
박광섭 「아세안과 동남아 국가 연구」 대경 출판사 2001. 12.
양승윤 「필리핀」 한국외국어 대학교 출판부 1998. 9.
필리핀 관광청 한국사무소 http://www.wowphilippines.or.kr/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69745
필리핀 지도와 Information
http://cafe.naver.com/pkttour.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34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8.12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