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서며
2. 원 인
1)취업
2)국제화 시대
3)사회적 인정
4)강대국에 대한 고정관념
3. 대 안
1)개인적 측면
2)사회적 측면
2. 원 인
1)취업
2)국제화 시대
3)사회적 인정
4)강대국에 대한 고정관념
3. 대 안
1)개인적 측면
2)사회적 측면
본문내용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는 '영어열풍', '영어지상주의'라 부를 만큼 영어에 대한 집착이 강하다. 여기에 진정한 영어실력이 아닌 객관적인 점수만 을 요구하여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분위기에 휩쓸려서 어쩔 수 없이 영어에 매달리는 대학생들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현실사회에서 부득이 영어를 써야하는 일은 많지 않다. 기업 역시 특정 몇몇 부서들과 외국계 기업들을 제외하고는 영어를 사용하는 일이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는 영어와는 전혀 상관없는 곳에서도 일정수준의 영어 점수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영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일정 수준이상의 영어 실력을 요구하고,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영어 이외에 다른 것들, 이를 테면 우리말이나 한자 능력을 요구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